• 제목/요약/키워드: Congenital Myotonic dystrophy

검색결과 9건 처리시간 0.033초

Myotonic dystrophy diagnosed during the perinatal period: A case series report

  • Shin, You Jung;Kim, Do Jin;Park, So Yeon;Chung, Jin Hoon;Lee, Yeon Kyung;Ryu, Hyun Mee
    • Journal of Genetic Medicine
    • /
    • 제13권2호
    • /
    • pp.105-110
    • /
    • 2016
  • Congenital myotonic dystrophy (CMD) which is transmitted in an autosomal-dominant manner, can also be observed in newborns born to asymptomatic parents who have a myotonic dystrophy type 1 or premutation allele, especially from the mother. A mother with myotonic dystrophy could be subfertile and the pregnancy could be complicated with the risk of a preterm birth. Newborns with CMD may demonstrate symptoms such as hypotonia and poor motor activity, as well as respiratory and feeding difficulties. Additionally, CMD has a high mortality rate at birth. Detection of the signs and symptoms during pregnancy is helpful for a prenatal diagnosis of CMD in cases where the family history is not known.

A Floppy Baby with Congenital Myotonic Dystrophy Complicated with Huge Subgaleal Hematoma Occurring in Non-instrumental Vaginal Delivery

  • Yim, Shin-Young;Cho, Kye-Hee;Kim, Jae-Young;Hong, Ji-Yeon;Lee, Il-Yung
    • Journal of Genetic Medicine
    • /
    • 제6권2호
    • /
    • pp.166-169
    • /
    • 2009
  • 모상건막하 혈종은 주로 진공흡인기 혹은 겸자 등을 사용하는 보조 질식분만 과정에서 발생하는 바, 비보조 질식분만과정에 발생하는 예는 드물다. 또한 선천성 근긴장성 이영양증과 모상건막하 혈종의 동시 발생은 희귀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저자들은 비보조 질식분만 과정에서 모상건막하 혈종이 발생하였고, 이후 선천성 근긴장성 이영양증으로 진단된 증례를 경험한바, 이는 선천성 근긴장성 이영양증에서 발생한 비보조 질식분만 과정과 관련된 모상건막하 혈종의 첫 증례인 것으로 판단되어 보고하고자 한다. 본 아동은 임신 기간 중 양수과다증과 태동의 저하를 보였으며, 출생직후 촬영한 뇌컴퓨터단층촬영 상좌측 두정부 및 후두부에 모상건막하 혈종이 발견되었으며 생후 2개월에 모계에서 유전된 선천성 근긴장성 이영양증으로 진단되었다.

  • PDF

Genotype-phenotype correlations in pediatric patients with myotonic dystrophy type 1

  • Kim, Hyeong Jung;Na, Ji-Hoon;Lee, Young-Mock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62권2호
    • /
    • pp.55-61
    • /
    • 2019
  • Purpose: Myotonic dystrophy, also known as dystrophia myotonica (DM), is an autosomal dominant disorder with 2 genetically distinct forms. DM type 1 (DM1) is the more common form and is caused by abnormal expansion of cytosine/thymine/guanine (CTG) repeats in the DM protein kinase (DMPK ) gene. Our study aimed to determine whether the age of onset is correlated with CTG repeat length in a population of pediatric patients with DM1. Methods: We retrospectively identified 30 pediatric patients with DM1 that underwent DMPK testing, of which the clinical data of 17 was sufficient. The cohort was divided into 2 subgroups based on the clinical phenotype (congenital-onset vs. late-onset) and number of CTG repeats (<1,000 vs. ${\geq}1,000$). Results: We found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age of onset and CTG repeat length in our pediatric patient population. Based on clinical subgrouping, we found that the congenital-onset subgroup was statistically different with respect to several variables, including prematurity, rate of admission to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need for respiratory support at birth, hypotonia, dysphagia, ventilator dependence, and functional status on last visit, compared to the late-onset subgroup. Based on genetic subgrouping, we found a single variable (poor feeding in neonate) that was significantly different in the large CTG subgroup than that in the small CTG subgroup. Conclusion: Clinical variables exhibiting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subgroups should be focused on prognosis and designing tailored management approaches for the patients; our findings will contribute to achieve this important goal for treating patients with DM1.

분자 유전학적 방법으로 진단된 선천성 근육긴장성 이영양증 환자의 임상 양상 (Clinical characteristics of congenital myotonic dystrophy diagnosed by molecular genetic method)

  • 남숙현;손영배;이보련;이지훈;기창석;이문향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0권9호
    • /
    • pp.868-874
    • /
    • 2007
  • 목 적 : 선천성 근육긴장성 이영양증(congenital myotonic dystrophy, CDM) 환자의 주산기 병력, 영아기 및 소아기의 증상, 그리고 환자 어머니의 임상양상을 확인하여, 임상진단에 도움이 될 수 있는 특징적인 소견과, DMPK유전자의 CTG 서열반복 수와 운동발달 관계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방 법 : 2001년 1월부터 2006년 9월까지 삼성서울병원에서 DMPK 유전자 검사를 통해 CDM으로 확진된 환자 8명(남자 2명, 여자 8명)을 대상으로 의무기록과 DMPK 유전자 검사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결 과 : 진단 시 환자들의 연령은 7일에서 45개월(중앙값: 20.5 개월)이었으며, 환자들은 발달지연, 수유곤란, 그리고 근육긴장저하를 주소로 내원하였다. 3명의 환자에서 산전 초음파 상 원인 불명의 양수과다증이 확인되었다. 모든 환자에서 운동발달지연이 있었으며, 연령이 증가할수록 호전되었다. 모든 환자들의 어머니에서 전형적인 근병증의 모습과 근육긴장증을 확인하였고, 4명의 환자에서는 어머니 형제의 가족력을 확인하였다. DMPK유전자의 CTG 서열반복 수는 1,000-2,083(중앙값: 1,533.5)의 분포를 보였으며, 운동발달 중 혼자 걷기의 지연 정도와 유의한 상관관계는 없었다. 1명의 환자에서 세대간 예견효과를 확인하였다. 결 론 : CDM 환자는 산전초음파에서 양수과다증, 내반첨족, 태동의 저하 등의 소견을 보이고, 출생 후 근육긴장저하와 연관된 호흡곤란, 수유곤란, 그리고 발달지연 등의 증상을 나타낸다. 모든 환자들의 어머니는 특징적인 근병증의 외양과 근육긴장증을 가지고 있어, 산모에 대해 이러한 소견을 확인하는 것이 산전진단에 중요한 단서가 된다. CDM에서 근육긴장저하와 연관된 증상은 연령이 증가할수록 호전되며, DMPK 유전자의 CTG 서열반복 수와 운동발달 중 혼자 걷기 시기 간의 유의한 연관은 없었다.

늘어지는 영아 증후군의 진단적 분류와 발달 예후: 단일 3차 병원에서의 연구 (Etiological Classification and Developmental Outcomes in Floppy Infants: A Single Tertiary Center Experience)

  • 박정민;최영하;이하늘;정희정
    • 대한소아신경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189-196
    • /
    • 2018
  • 목적: 늘어지는 영아 증후군은 중추신경계 이상, 말초 신경계 이상 혹은 둘 모두의 이상으로 발생할 수 있다. 늘어지는 영아에서 원인을 진단하는 것은 환아의 치료와 발달 예후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로 현재까지 다양한 진단 알고리듬이 제안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늘어지는 영아 증후군의 원인에 대한 새로운 분류 및 증상 발현 시기에 따른 원인, 그리고 이들의 발달 예후에 대해 연구하였다. 방법: 2005년부터 2016년까지 세브란스병원에 내원한 늘어지는 영아들을 대상으로 EMR 차트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여 진단 및 임상적 특징을 분석하였고 환아들의 발달에 대해 보호자에게 일대일 전화인터뷰를 통해 조사하였다. 결과: 전체 116명의 환아 중에 원인에 대한 확진을 받은 경우가 69명으로 전체 진단율이 59.5%이었고 이들 중 Prader-Willi syndrome, myotonic dystrophy, spinal muscular atrophy가 가장 흔한 진단이었다. 전 연령대에 걸쳐 Prader-willi syndrome이 가장 흔한 진단이었고 특히 1개월 미만 증상 발현군에서는 Prader-willi syndrome, myotonic dystrophy, early infantile epileptic encephalopathy가 흔한 3가지의 진단이었다. 발달 예후 면에서 원인군 중 combined hypotonia에서 전 영역에 걸쳐 가장 나쁜 예후를 보였다. 결론: 현재까지의 논문과 본 논문에서의 늘어지는 영아 증후군에 대한 진단율은 유사했고 각 연령에 따른 흔한 진단에 대해서도 알아보았다. 발달 예후가 가장 나쁜 combined hypotonia군에 속하는 진단으로 확진되거나 의심되는 경우 초기 진단시부터 발달에 대해 체계적이고 단계적인 추적관찰이 필요하다.

Mechanisms of Myotonic Dystrophies 1 and 2

  • Lubov, Timchenko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and Pharmacology
    • /
    • 제9권1호
    • /
    • pp.1-8
    • /
    • 2005
  • Myotonic Dystrophies type 1 and 2 (DM1/2) are neuromuscular disorders which belong to a group of genetic diseases caused by unstable CTG triplet repeat (DM1) and CCTG tetranucleotide repeat (DM2) expansions. In DM1, CTG repeats are located within the 3' untranslated region of myotonin protein kinase (DMPK) gene on chromosome 19q. DM2 is caused by expansion of CCTG repeats located in the first intron of a gene coding for zinc finger factor 9 on chromosome 3q. The CTG and CCTG expansions are located in untranslated regions and are expressed as pre-mRNAs in nuclei (DM1 and DM2) and as mRNA in cytoplasm (DM1). Investigations of molecular alterations in DM1 discovered a new molecular mechanism responsible for this disease. Expansion of un-translated CUG repeats in the mutant DMPK mRNA disrupts biological functions of two CUG-binding proteins, CUGBP and MNBL. These proteins regulate translation and splicing of mRNAs coding for proteins which play a key role in skeletal muscle function. Expansion of CUG repeats alters these two stages of RNA metabolism in DM1 by titrating CUGBP1 and MNBL into mutant DMPK mRNA-protein complexes. Mouse models, in which levels of CUGBP1 and MNBL were modulated to mimic DM1, showed several symptoms of DM1 disease including muscular dystrophy, cataracts and myotonia. Mis-regulated levels of CUGBP1 in newborn mice cause a delay of muscle development mimicking muscle symptoms of congenital form of DM1 disease. Since expansion of CCTG repeats in DM2 is also located in untranslated region, it is predicted that DM2 mechanisms might be similar to those observed in DM1. However, differences in clinical phenotypes of DM1 and DM2 suggest some specific features in molecular pathways in both diseases. Recent publications suggest that number of pathways affected by RNA CUG and CCUG repeats could be larger than initially thought. Detailed studies of these pathways will help in developing therapy for patients affected with DM1 and DM2.

Southern Analysis after Long-range PCR: Clinical Application in Korean Patients with Myotonic Dystrophy 1

  • Yum, Mi-Sun;Lee, Beom Hee;Kim, Gu-Hwan;Lee, Jin-Joo;Choi, Seung Hoon;Lee, Joo Yeon;Kim, Jae-Min;Kim, Yoo-Mi;Ko, Tae-Sung;Yoo, Han-Wook
    • Journal of Genetic Medicine
    • /
    • 제10권1호
    • /
    • pp.33-37
    • /
    • 2013
  • Purpose: Myotonic dystrophy 1 (DM1, OMIM 160900) is an autosomal-dominant muscular disorder caused by an expansion of CTG repeats in the 3' UTR of the DMPK gene. Variable expansions of CTG repeats preclude the accurate determination of repeat size. We tried to show the clinical and analytical validity of the application of Southern blotting after long-range PCR was demonstrated in Korean DM1 patients. Materials and Methods: The Southern blotting of long-range PCR was applied to 1,231 cases with clinical suspicion of DM1, between 2000 and 2011. PCR was performed using genomic DNA with forward 5'-CAGTTCACAACCGCTCCGAGC-3' and reverse 5'-CGTGGAGGATGGAACACGGAC-3' primers. Subsequently, the PCR fragments were subjected to gel electrophoresis, capillary transfer to a nylon membrane, hybridization with a labeled (CAG)10 probe. The correlation between clinical manifestations and the CTG repeat expansions were analyzed. Results: Among a total of 1,231 tested cases, 642 individuals were diagnosed with DM1 and the range of the detected expansion was 50 to 2,500 repeats; fourteen cases with mild DM1 ($75{\pm}14$ repeats), 602 cases with classical DM1 ($314{\pm}143$ repeats), and 26 cases with congenital DM1 ($1,219{\pm}402$ repeats). The positive and negative predictive values were 100%. The age at test requested and the CTG repeat numbers were inversely correlated (R=-0.444, P<0.01). Conclusion: This study indicates that Southern blotting after long-range PCR is a reliable diagnostic method DM1.

신생아 및 소아 중환자실에 입원한 늘어지는 영아(floppy infant)의 진단적 분류 및 임상적 고찰 (Diagnostic classification and clinical aspects of floppy infants in the neonatal and pediatric intensive care units)

  • 김은선;정경은;김상덕;김이경;채종희;김한석;박준동;김기중;김병일;황용승;최중환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9권11호
    • /
    • pp.1158-1166
    • /
    • 2006
  • 목 적 : 늘어지는 증상을 주소로 신생아 및 소아 중환자실에 입원한 영아들의 임상적, 신경학적, 전기생리학적 소견 및 유전적 진단 결과를 통한 분석을 통해 늘어지는 영아 증후군의 진단적 분류 및 진단 방법에 대한 고찰을 하고자 하였다. 방 법 : 1993년도부터 2005년까지 13년간 서울대학교 병원 어린이병원 신생아 중환자실 및 소아 중환자실에 늘어지는 증상을 주된 주소로 입원한 영아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후향적 의무기록조사를 통해 임상 소견 및 검사 소견들을 조사하였고 최종 진단명을 분류하였다. 결 과 : 늘어지는 증상을 주소로 내원한 영아들은 21명이었다. 최종 진단명은 중추성 기원이 7명(33.3%), 말초성 기원이 11명(52.4%), 나머지 3명은(14.3%) 두 그룹 중 어느 그룹으로도 분류되지 못하였다. 중추성 기원은 저산소-허혈성 뇌증이 3명으로 가장 많았고, 그 외에 Prader-Willi 증후군 2명, 염색체 이상 1명, 일과성 저긴장증 1명이 있었다. 말초성 기원은 myotubular 근병증이 4명으로 가장 많았고, SMA 1형이 3명, 선천성 근긴장성 이영양증 2명, 선천성 근이영양증 1명, 그 외 분류되지 않은 운동신경질환 1명이 있었다. 가족력이 있었던 경우는 말초성 그룹에서만 3명이 있었고, 신경학적 검진 상 근력은 중추성 그룹에서 평균 Grade 3 이상이었고 건반사도 활발하게 나타난 경우가 많아 다른 그룹의 환자들과 차이를 보였다. 검사상의 소견은 근전도 검사에서 말초성 그룹이 66%의 민감도를 보였고 근생검은 말초성 그룹에서 진단적이었다. 중추성 그룹에서 뇌 영상 검사가 진단적이었고 진단율이 높지는 않았지만 Prader-Willi FISH 나 염색체 검사를 통해 진단이 되었던 경우가 있었다. 그외의 분자 유전학적 검사로 확진 가능한 말초성 그룹의 환자들이 있었다. 입원 기간 및 기관 삽관 기간은 말초성 그룹에서 현저하게 길었고, 추적 관찰 시 사망 및 심한 발달 지체의 비율도 말초성 그룹에서 높게 나타났다. 결 론 : 본 연구의 늘어지는 영아들의 임상상을 바탕으로 진단적 분류를 시행하고 각 진단 분류에 유용한 검사를 순서대로 진행시킨다면 효과적인 진단이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