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nfined Jet Flow

검색결과 44건 처리시간 0.02초

가로흐름 수역에 방류되는 부력젵의 귀환에 의한 연안오염 (Effect of Attachment of Buoyant Jet to Shoreline Pollution in a Confined Crossflow)

  • Yoon, Tae-Hoon;Yook, Woon-Soo
    • 한국해안해양공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34-39
    • /
    • 1994
  • 흐름수역으로 방류되는 측면부력젵이 연안으로 귀환하는 현상과 희석경향에 대해 실험을 통하여 조사하였다. 실험에서 저흐름의 가로흐름 수역에 warm-water를 등수심으로 측면방류하여 횡방향으로 퍼짐과 수면으로 상승하는 열-plume이 발생하는 부력젵(buoyant jet)이 귀환현상을 얻었다. 실험에서 발생하는 귀환현상과 오염정체지역인 순환영역의 기하학적 구조 및 희석경향을 Froude수(F), 밀도 Froude수(F$_{o}$ ), 부력 특성길이(l$_{b}$)를 이용하여 멱법칙(Power law)으로 표현하였다. 보험결과 귀환현상은 R(U$_{o}$ /U$_{a}$ )<4, F/F$_{o}$ >0.22 일 때 발생하며, 희석은 x/l$_{b}$에 따라 변화하고 순환영역은 속도비(R)에 따라 변화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방향성을 갖는 비정렬 삼각형격자를 이용한 단조 유선 Upwind 유한요소해석 (The Monotone Streamline Upwind Finite Element Method Using Directionally Aligned Unstructured Grids)

  • 지선구;권장혁
    • 한국전산유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산유체공학회 1997년도 추계 학술대회논문집
    • /
    • pp.49-54
    • /
    • 1997
  • Rice's monotone streamline upwind finite element method, which was proposed to treat convection-dominated flows, is applied to the linear triangular element. An alignment technique of unstructured grids with given velocity fields is used to prevent the interpolation error produced in evaluating the convection term in the upwind method. The alignment of grids is accomplished by optimizing a target function defined with the inner-product of a properly chosen side vector in the element with the velocity field. Two pure advection problems are considered to demonstrate the superiorities of the present approach in solving the convection-dominated flow on the unstructured grid. Solutions obtained with aligned grids are much closer to the exact solutions than those with initial regular grids. The capability of the present approach in predicting the appearance of the secondary vortex in the laminar confined jet impingement is shown by comparing streamlines to those produced by SIMPLE on a highly stretched grid toward the impingement plate.

  • PDF

액체분무의 증발 및 연소에 관한 수치적 연구 (A Numerical Study on Evaporation and Combustion of Liquid Spray)

  • 정인철;이상용;백승욱
    • 대한기계학회논문집
    • /
    • 제15권6호
    • /
    • pp.2073-2082
    • /
    • 1991
  • 본 연구에서는 선회유동과 재순환영역이 있는 제한된 동축 분류유동(confined coaxial jet flow)을 갖는 연소기에 대하여 노즐을 통하여 분사된 연료액적의 증발 및 연소, 그리고 주위기체유동에 관한 제반현상을 정상상태 하에서 모사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으며 수치계산에 의한 이론적 해석방법으로 기상은 오일러 방식, 액상은 라 그란지 방식을 채택하였고 후술될 증발 및 연소모델을 적용하였다.

지하 복합발전 플랜트 내에서의 가스 누출 및 확산 거동에 관한 수치해석 연구 (Numerical Analysis of Gas Leakage and Diffusion Behavior in Underground Combined Cycle Power Plant)

  • 방주원;이성혁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4호
    • /
    • pp.118-124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상용코드인 Fluent(v.17.1)을 사용하여 수치해석을 진행하였으며, 지하복합발전 플랜트의 형상을 단순화하여 파공 크기 및 파공 위치에 따른 가스 누출에 관한 해석을 진행하였다. 누출 가스는 메탄으로 설정하였다. 파공 크기는 10 mm, 20 mm로 설정하였으며, 파공 위치는 파이프 엘보우 부근, 가스터빈 부근에서 가스가 누출될 경우로 가정하여, 총 4가지 Case에 대해 비교 및 분석을 진행하였다. 가스 누출을 분석하기 위해 연소 하한계의 개념을 바탕으로 누출 거리를 정의하여 종 방향, 횡 방향으로의 거리를 추정하여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적으로 동일 위치에서 파공 크기에 따라 누출거리가 최대 52.3 %의 차이를 보이며 종 방향의 누출 거리가 달라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동일 파공 크기일 때, 파공 위치에 따라 최대 34.8 %의 차이를 보이며 가스의 확산 경향이 달라지게 된다. 공기보다 가벼워 부력의 영향으로 상승하던 가스가 장애물로 인해 수평방향으로 확산이 제한되어 장애물이 없는 경우보다 재순환이 빨라지게 된다. 따라서 종 방향 누출거리와 횡 방향 누출거리가 파공 크기 및 파공 위치에 따라 다른 성장 거동을 보인다. 이와 같은 결과는 지하 복합발전 플랜트와 같은 밀폐공간에서 가스 센서의 위치 및 개수를 최적화 하는데 유용한 데이터가 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