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nductive shield

검색결과 23건 처리시간 0.019초

발사체의 RF 호환성 시험을 위한 소형 S-밴드 안테나 햇 (Compact S-Band Antenna Hat for RF Compatibility Testing of Launch Vehicle)

  • 김성완;박동철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26권2호
    • /
    • pp.148-157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발사체와 지상국과의 RF 호환성 시험을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소형 안테나 햇을 제안한다. 제안된 구조에서는 통상적으로 쓰는 흡수체가 아닌 도체로 쉴드된 구조를 사용하여 안테나 햇의 소형화와 저손실을 구현하였다. 제작된 S-밴드 안테나 햇의 크기는 $88mm{\times}35mm{\times}44mm$로 역-F 탑재안테나의 크기($74mm{\times}13mm{\times}16mm$)에 비해 많이 크지 않으면서 중심주파수 2.25 GHz에서 25.6 dB의 반사손실, 0.26 dB의 삽입 손실, 49.4 dB의 누설손실을 갖는다. 시뮬레이션 결과와 측정 결과가 상당한 유사성을 보여준다.

강섬유보강 콘크리트 세그먼트의 강섬유가 표면전기저항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teel fibers on surface electric resistivity of steel fiber reinforced concrete for shield segment)

  • 문도영;이규필;장수호;배규진
    •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 논문집
    • /
    • 제13권6호
    • /
    • pp.557-569
    • /
    • 2011
  • 강섬유보강 콘크리트는 숏크리트와 쉴드터널 세그먼트 등에 널리 이용되는 건설재료이다. 강섬유와 이형철근이 동시에 보강된 콘크리트 구조물에서 강섬유와 철근의 부식은 장기적 내구성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구조물의 부식 가능성과 침투성능에 대한 적정한 평가가 가능한 방법의 도출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강섬유와 철근이 동시에 보강된 콘크리트의 부식평가방안에 대한 실험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강섬유의 혼입량, 이형철근의 부식유무 등을 변수로 실험체를 제작하였으며, 각 변수 등이 표면전기저항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실험결과, 강섬유는 전류의 교란을 발생시켜 표면전기저항치를 크게 저하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강섬유가 3% 이상 혼입이 되면, 내부 이형 철근의 부식상태 및 부식가능성에 대한 평가가 불가능한 것으로 판단된다.

아세틸렌블랙 함량에 따른 반도전 재료의 체적저항과 열전도 특성 (Volume Resistivity and Thermal conductivity of Semiconducting Materials by Acetylene Black)

  • 양종석;이경용;최용성;박대희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 2005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Vol.18
    • /
    • pp.134-135
    • /
    • 2005
  • To improve mean-life and reliability of power cable, we have investigated volume resistivity and thermal conductivity showed by changing the content of acetylene black which is the component parts of semiconductive shield in underground power transmission cable. The sheets were primarily kneaded in their pellet form material samples for 5 minutes on rollers ranging between 70[$^{\circ}C$] and 100[$^{\circ}C$]. Then they were produced as sheets after pressing for 20 minutes at 180[$^{\circ}C$] with a pressure of 200[kg/cm]. The content of conductive acetylene black was the variable, and their contents were 20, 30 and 40[wt%], respectively. Volume resistivity of specimens was measured by volume resistivity meter after 10 minutes in the preheated oven of both $25\pm1[^{\circ}C]$ and $90\pm1[^{\circ}C]$. Thermal conductivity was measured by Nano Flash Diffusivity. The measurement temperatures of thermal conductivity using Nano Flash Diffusivity were both 25[$^{\circ}C$] and 55[$^{\circ}C$]. From these experimental results, volume resistivity was high according to an increase of the content of acetylene black. And thermal conductivity was increased to an increase of the content of acetylene black. And thermal conductivity were increased by heating rate because volume of materials was expanded according to rise in temperatur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