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ncomitant boost technique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16초

절제 불가능한 비소세포 폐암의 다분할조사 방사선 치료 (Hyperfractionated Radiotherapy with Concomitant Boost Technique for Unresectable Non-Small Cell Carcinoma of the Lung)

  • 전하정;이명자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9권2호
    • /
    • pp.221-225
    • /
    • 1991
  • 25예의 절제 불가능한 비소세포폐암 환자를 다불할조사 방사선 치료 및 추가 조사 기술로 치료하였다. 전에 수술이나 항암제 치료를 받았거나 늑막삼출 및 심 한 체중 감소(체중의 $10\%$이상)가 있는 환자는 이 연구에서 제외했다. 처음 3주에 걸쳐 27Gy를 15번에 나누어 large field에 조사하였다. 그 후에 large field에 1.8Gy를 준 후 cone down boost field에 1.4Gy를 하루에 두번 주어 총 49.4 Gy를 주었다. 49.4 Gy를 준 후 추가조사 영 역에 하루에 두번 1.8 Gy와 1.4 Gy를 주었다. 총 조사량은 12명의 환자에서는 62.2Gy, 13명의 환자에서는 65.4Gy였다. 추적관찰 기간은 6개월에서 24개월 사이였다. 실질적인 생존율은 6, 12, 18개월에 각각 $88\%,\;62\%,\;38\%$였다. 무병 생존율은 $88\%,\;41\%,\;21\%$였다. 집합적 국소 재발율은 9, 12, 15개월에 각각 $36\%,\;43\%,\;59\%$이었다. 24개월간 추적관찰한 결과 급성 합병증이나 후기 합병증의 증가는 없었다. 더 긴 기간의 추적관찰이 필요하지만, 절제 불가능한 비소세포 폐암의 다분할조사 방사선 치료 및 추가 조사기술의 효과를 판정하는데는 무작위 추출법을 사용하여 prospective 연구를 시행함이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 PDF

직장암의 수술 전 항암화학방사선치료 후 병리학 및 임상적 효과 분석 (The Pathological and Clinical Effects of Preoperative Chemoradiation in Rectal Cancer)

  • 송진호;장홍석;김연실;정수미;손석현;강진형;육의곤;이두석;이숙희;윤세철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29권1호
    • /
    • pp.11-19
    • /
    • 2011
  • 목적: 수술 전 항함화학방사선치료는 국소 진행된 직장암에서 표준치료로 알려져 있다. 이 연구는 동시 항암화학 방사선치료를 받은 국소 진행된 직장암 환자의 생존율 및 병기하향률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들을 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4년 3월부터 2008년 8월까지 수술 전 항암화학방사선치료를 받은 국소 진행된 직장암 환자 3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모든 환자는 전 골반 방사선조사를 시행하였으며 28명(84.8%)은 동시적 소조사야 추가 방사선치료, 5명(15.2%)은 조사영역축소 방사선치료를 실시하였다. 총 방사선량은 50.4 Gy이었으며, 5-fluorouracil를 동시 투여하였다. 추적관찰 기간은 중앙값 24.2개월(9.8~64.7개월)이었다. 결과: 33명 중 31명(93.9%)에서 수술이 시행되었으며, 24명(72.7%)은 항문괄약근보존술, 7명(21.2%)은 복회음부 절제술이 시행되었다. 3년 생존율과 무병생존율은 각각 78.8%, 63.4% 이었다. 무병생존율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로 수술 후 병리학적 소견이 중요하였다. 병리학적 N 병기(p=0.001), 절제면 침윤 여부(p=0.029) 및 분화도(p=0.030)가 통계학적으로 의미 있게 영향을 미치는 인자였다. 종양 크기 (p=0.081), 림프혈관과 신경주위 침윤여부(p=0.073) 모두 영향을 마치는 인자로서의 경향성을 보였다. 한편, 수술 전 임상 소견으로는 임상적 T 병기만이 유의한 결과를 보였다(p=0.018). 병리학적 완전관해율은 9.1%였으며, T병기하향률은 30.3%, N 병기하향률은 72.7%로 나타났다. 단변량 분석에서 항암화학방사선치료 후 수술까지의 기간 및 임상적 T 병기가 의미 있는 병기하향의 예측인자로 분석되었다(p=0.029, 0.027). 치료 전 carcinoembryonic antigen 수치는 예측인자의 경향성을 보였다(p=0.068). 결론: 국소 진행된 직장암 환자의 생존율은 임상적 병기보다 수술 후 병리학적 소견에 더 의존되었다. 그러므로 수술전 항암화학방사선치료로 병기하향을 얻는 것이 의미가 있으며, 수술까지의 기간, 임상적 T 병기가 이러한 병기하향을 예측하는 인자였음을 알 수 있었다.

내과적 문제로 수술이 불가능한 조기 비소세포성 폐암에서의 방사선치료 (Radiotherapy in Medically Inoperable Early Stage Non-small Cell Lung Cancer)

  • 김보경;박찬일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18권4호
    • /
    • pp.257-264
    • /
    • 2000
  • 목적 : 조기 비소세포성 폐암의 경우 수술이 최선의 치료법으로 생각 되고있다. 환자가 내과적인 질환으로 수술이 불가능한 경우, 혹은 수술을 거부한 경우 방사선치료가 수술의 대체적 치료로 사용 가능하다. 근치적방사선치료를 시행 받은 환자에서의 치료성적 및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의 분석을 통하여 향후 치료에 도움을 얻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 서울대학교병원 치료방사선과에서 1987년 6월부터 1997년 6월 사이에 치료를 시행 받은 조직학적으로 진단된 조기 비소세포성 폐암 환자 3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수술이 불가능했던 이유로는 폐질환이 21명으로 가장 많았다. 대상환자의 중간 연령은 68세였으며, 조직학적으로는 편평상피암이 24명으로 가장 많았다. 임상 병기는 T1, T2, T3가 각각 5명, 25명, 2명이었으며, 진단시의 종양의 크기는 3$\~$5 cm가 13명으로 가장 많았다. 방사선치료는 6 MV또는 10 MV 선형가속기를 이용하여, 종양부위에 54.0$\~$68.8 Gy (중앙값; 61.2 Gy)를 조사하였고 12명의 환자에서는 동시분할조사를 시행하였다. 추적관찰기간은 2개월에서 93개월 (중앙값; 23개월)이었고, 생존기간은 치료개시일을 기준으로 산정하였다. 결과 : 전체생존률은 코년, 5년이 각각 44.6$\%$, 24.5$\%$이었으며, 무병생존률은 38.9$\%$, 28.3$\%$, 중앙생존기간은 23개월이었다. 전체환자 32명중 최종 추적관찰 시 25명이 사망하였으며, 이중 7명이 페암이외의 질환으로 사망하였다. 단변량분석 상 종양의 크기는 전체생존률과 무병생존률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판정되었고 (p=0.0015, p=0.0022), T 병기는 전체생존률에 의미있는 요인으로 판정되었다(p=0.0395). 다변량분석 상 종양의 크기는 무병생존률에 통계적으로 의미있는 요인으로 판정되었으며(p=0.0317), 전체생존률에 영향을 주는 경향을 보였다 (p=0.0649). 종격동의 방사선조사 여부는 생존률에 영향을 주지 않았다. 결론 : 근치적방사선치료는 조기 비소세포성 폐암 환자로 내과적인 질환으로 수술 불가능한 경우나 환자가 수술을 거부한 경우, 특히 T1 또는 3 cm 이하의 종양에서는 수술적치료를 대치할 수 있는 치료법이다. 그러나 종양의 크기가 5 cm를 넘는 경우에는 방사선치료만으로는 장기생존자가 거의 없었으며, 따라서 이러한 환자의 치료에 있어 과분할조사나 기관지내 추가조사, 방사선감작제의 사용, 입체조형방사선치료, 강도변조방사선치료 등의 이용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