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ncentrates feeding type

검색결과 8건 처리시간 0.029초

홀스타인 거세우에 대한 육성기 농후사료 급여형태 및 출하월령이 성장발육, 사료이용성 및 도체특성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Feeding Type of Concentrates During Growing Period and Slaughter Age on Growth Performance, Feed Efficiency and Carcass Characteristics in Growing-Fattening Holstein Steers)

  • 강수원;정하연;안병석;오영균;손용석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6권6호
    • /
    • pp.989-998
    • /
    • 2004
  • Holstein 거세우 48두를 대상으로 육성기 농후사료 급여수준 및 출하월령에 따른 산육능력 및 도체특성 구명을 위해 6개 처리(T1 : 자유채식 19개월령 출하, T2 : 제한급여 19개월령 출하, T3 : 자유채식 22개월령 출하, T4 : 제한급여 22개월령 출하, T5 : 자유채식 25개월령 출하, T6 : 제한급여 25개월령 출하)를 두어 4개월령부터 25개월령까지 사양시험 후 도체조사를 실시한 결과, 육성기 농후사료 자유채식 및 제한급여에 따른 출하월령별 체중 및 전기간의 일당증체량은 19, 22 및 25개월령에 각각 657.7${\sim}$731.3kg과 1.090${\sim}$1.245kg, 749.0${\sim}$776.5kg과 1.079${\sim}$1.130kg, 그리고 772.4${\sim}$811.9kg과 0.975${\sim}$1.030kg으로, 출하체중은 자유채식보다 제한급여가 그리고 출하월령이 높을수록 높았고, 일당증체량도 자유채식보다 제한급여가 그리고 출하월령이 낮을수록 높았으며, 제한급여가 자유채식보다 약 8.3% 증가하였고 출하월령이 경과됨에 따라 월평균 2.0%씩 감소하였다. 1kg 증체에 소요된 TDN은 평균 6.765kg 이었고, 제한급여가 자유채식보다 8.4% 적게 소요되었고, 출하시기가 1개월 늦어짐에 따라 소요량이 약 4%가 증가되었다. 도체조사 결과, 등지방두께 및 등심단면적은 4.6${\sim}$8.5mm(평균 6.7mm) 및 73.8${\sim}$81.8cm2(평균 77.1cm2)로 자유채식보다 제한급여가 그리고 출하시기가 늦어질수록 두껍거나 넓어졌고, 근내지방도는 1.17${\sim}$3.67(평균 2.46)로 자유채식보다 제한급여가 그리고 출하시기가 늦어질수록 높았다. 경제성 분석결과 총 소득은 537.2${\sim}$1,071.8천원/두으로 자유채식보다 제한급여가 그리고 출하월령이 늦어질수록 높았지만, 월평균 소득은 26.4${\sim}$52.9천원/두으로 T4>T6>T2의 순으로 높았다. 이상과 같은 결과들을 종합해 볼 때, Holstein 거세우 비육시 조사료원이 볏짚일 경우, 육성기에는 농후사료를 체중의 1.9% 수준으로 그리고 비육기에는 자유채식의 형태로 하되, 22${\sim}$25개월령 사이에 출하하는 것이 바람직 할 것으로 판단된다.

A Study on Total Mixed Ration Feeding System for Feeding Pigs (1) - Development of Monorail Traveling TMR Feeder for Grow-Finish Pigs -

  • Kim, Hyuck Joo;Yu, Byeong Kee;Hong, Jong Tae;Choi, Kyu Hong;Yu, Ji Su;Hong, Youngsin;Ha, Yu Shin
    • Journal of Biosystems Engineering
    • /
    • 제38권4호
    • /
    • pp.295-305
    • /
    • 2013
  • Purpose: Recent research showed that total mixed ration (TMR) feeding for pigs improved the productivity and reduced feed cost and manure odor. An automatic TMR feeding system was developed for this study because the conventional feeder cannot deliver the TMR containing roughage. Methods: Conventional feeding systems and physical properties of TMR were surveyed, and performance tests of the conventional feeder were conducted to develop a TMR feeder. Based on the TMR feeder was developed and installed, driving, measuring weight,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reading, and discharging test for feeding were conducted to ensure the performance. Results: Moisture content, density, and angle of repose of the TMR 1 (mixture of 30% cut IRG silage and 70% concentrates) were 31.6%, 387 $kg/m^3$, and $51^{\circ}$, respectively. Moisture content, density, and angle of repose of the TMR 2 (mixture of 45% concentrates, 30% cut IRG silage and by-products, 10% bean curd refuse, 10% others, and 5% fermenter) were 22.2%, 544 $kg/m^3$, and $50^{\circ}$, respectively. The coefficient of variation (C.V.) of conventional concentrate feeding were 1.9~4.1%, and C.V. of TMR containing 1~3% cut IRG roughage feeding by conventional feeder were 9~42%. The conventional disc type feeder was not suitable for TMR feeding because the supply unit was clogged. The C.V. of TMR 1 was 0.6~7.9% when 0.5~10 kg of the TMR supplied, and it was suitable for feeding grow-finish pigs and sows. On the contrary, the C.V. with TMR 2 was 28% when 0.5 kg of the TMR supplied, and it was not suitable for feeding sows. Conclusions: The TMR feeder developed in this study was suitable for feeding grow-finish pigs because the feeder performed stably with over 5.0 kg feed. However, the feeder showed a lack of accuracy for feeding sows because the amount of each feed was more than 0.5 kg per a feeding. Therefore, the improvement of outlet structure for accurate feeding is needed for sow feeding.

트랙터 견인형 TMR 배합기의 개발 (I) - TMR 배합기의 설계 및 성능시험 (Development of a Tractor Attached TMR Mixer (I) - Design of a TMR mixer and its performance test)

  • 박경규;구영모;김혁주;서상훈;장철;이종순;우종구
    • Journal of Biosystems Engineering
    • /
    • 제25권3호
    • /
    • pp.203-212
    • /
    • 2000
  • One of the obstructing factors against managing large-scaled dairy farm in Korea has been heavy labor requirement for feeding dairy cows. A tractor attached TMR mixer was developed to reduce the cost and to provide economic benefit in this research. The TMR mixer was designed to have a feeding capacity of 35 heads at a batch with various functioning systems of paddle type mixer, cutter and grinder, delivery conveyor, weighing console, power transmission train, and mounting trailer. The maximum power required during the mixing operarion was 26.3 kw(P.T.O), readily available from 32kw-rated tractors, which had been widely used in Korea. Low coefficient of variation(14.0%) revealed an uniform mixing performance of the mixer. The mixer can also be used in compost mixing as well as concentrates and roughage.

  • PDF

Effects of Wet Feeding of Diets with or without Food Waste on Growth Performance and Carcass Characteristics in Finishing Pigs

  • Moon, J.S.;Kwon, I.K.;Chae, B.J.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7권4호
    • /
    • pp.504-510
    • /
    • 2004
  • Two experiments were conducted. In expt. 1, a total of fifty-four pigs (L$\times$Y$\times$D, 56.14$\pm$1.7 kg) were used for a feeding trial to determine the effect of wet feeding of a commercial-type diet without food waste (FW). Treatments were dry (Control), wet (WF) and wet+dry feeding (WDF). For wet feeding, the diet was mixed with water at a ratio of 1:2.5 (feed:water). A wet feed was given during the whole experimental period for the WF group, but the dry feed was given during the finisher period for the WDF group. In expt. 2, a total of fifty-four pigs(L$\times$Y$\times$D, 55.7$\pm$1.8 kg) were used for a feeding trial to determine the effect of wet feeding of FW. Treatments were a commercial-type dry (Control), wet fermented food waste (WFFW) and WFFW+dry feeding (WFFW+DF). For wet feeding of fermented food waste, however, some ingredients (concentrate) were added to make nutrient contents comparable to the control diet. The FW collected was ground ($\leq$5 mm), heated with a steam jacket (140$\pm$3$^{\circ}C$) and fermented with probiotics for one day in a steel container at 30-40$^{\circ}C$. For the WFFW group, the wet feed was given during the whole experimental period, but a dry feed was given during finisher period for the WFFW+DF group. In expt. 1, during the grower period, pigs fed wet feed showed higher average daily gain (ADG) and feed conversion ratio (FCR) than those fed only dry feed (p<0.05). During the finisher period, pigs in the WDF group showed better ADG and FCR than the control group. During the entire experimental period, pigs in the WDF group grew faster (p<0.05) than those in the control group, and the same trend was found in FCR. Also, dressing percentage, backfat thickness, lean %, and pork color were not affected by the wet feeding of diets in this study. In expt. 2, during the grower period, pigs fed diets containing FW showed lower (p<0.05) ADG than those fed the control diet. But FCR was better (p<0.05) in pigs fed FW than in the control group. During the finisher period, pigs in the WFFW+DF group grew faster (p<0.05) than those in the control and WFFW groups. During the entire experimental period, pigs fed the control diet showed better ADG (p<0.05) than those fed FW, but feed intake and FCR were vice versa. Dressing percentage was lower (p<0.05) in the WFFW than in the control group, but backfat was thinner in the WFFW group than in the control group. In summary, it can be concluded that wet feeding of formula feed can improve daily gain, however, feeding fermented wet food waste may reduce daily gain of finishing pigs, even though it was fermented and the nutrient was fortified with concentrates. In addition, dry feeding of a formula feed during the finishing period can improve daily gain in pigs fed a wet feed with or without food waste during the grower period.

식물성유 첨가가 면양의 반추의 발효특성과 소화율 및 지방산염 형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upplemental Vegetable Oils on Ruminal Characteristics, Digestibility and Formation of Fatty Acid Soaps in Sheep)

  • 김동일;최정락;조석현;이도형;정태영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6권5호
    • /
    • pp.783-798
    • /
    • 2004
  • 본 시험은 oil 첨가시 알팔파건초를 기질로 하여 반추위 내에서 유리된 지방산과 양이온이 결합하여 형성되는 지방산염, 반추위 발효성상 및 소화율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시험을 실시하였다. 면양 3두를 이용하여 $\circled1$ oil 무첨기구, $\circled2$ 대두유 7% 첨기구 및 $\circled3$ 옥수수유 7% 첨가구로 하여 3${\times}$3 라틴방각법으로 수행하였다. 면양에게는 알팔파건초와 농후사료를 70 : 30의 비율로 급여하였다. 위액은 오전사료 급여 전 1시간, 사료 급여 후 1, 3, 6 및 9시간째 채취하였다. pH는 사료급여 후 3시간까지 감소하다가 그 이후에는 증가하였다{P<0.0001). $NH_3$-N는 pH 와는 반대의 경향을 나타내었다(P<0.0001). 총 휘발성 지방산, acetate, propionate 및 butyrate의 농도에는 변화가 없었다. A/P 비율은 배양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다가 9시간에서는 사료급여 1시간 수준이었다{P<0.0001). 건물, total-N, 조섬유, 회분, 기용무질소물, NDF 및 ADF의 소화율은 차이가 없었다. FAS의 형성은 사료급여 1시간에 비하여 사료급여 후에 증가하였으며(P<0.05), 대조구에 비해 oil 첨가구가 높았다(P<0.05). 장쇄지방산이 주로 지방산염을 형성하였다. 그래서 oil 첨가가 반추위 발효특생과 소화율에 미치는 유해한 영향을 방지할 수 있었던 것으로 사료 된다.

육성 및 비육전기의 조사료 급여형태가 홀스타인 거세우의 성장 발육, 사료이용성 및 도체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Roughage Feeding Type during the Growing and Early-Fattening Periods on Growth Performance, Feed Efficiency and Carcass Characteristics in Holstein Steers)

  • 강수원;기광석;오영균;김경훈;최창원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7권5호
    • /
    • pp.769-782
    • /
    • 2005
  • Holstein 거세송아지 24두를 대상으로 육성 및 비육전기의 조사료 급여형태에 따라 3개 처리(T1: 농후사료+볏짚, T2: 농후사료+목건초, T3: 맥주박 TMR)를 두어 6개월령부터 23개월령까지 18개월간 사양시험 후 도체조사를 실시한 결과, 처리별 출하체중 및 일당증체량은 각각 751-802 kg(평균 782.3 kg) 및 1.064-1.159 kg(평균 1.122 kg)으로 모두 T2 > T3 > T1 순으로 높았고, T2의 일당증체량이 T1에 비해 8.9%가 개선되었다. 도체율, 등지방두께 및 등심단면적은 각각 60.6-60.9 %, 6.50-7.13mm 및 82.9-84.1cm2 이었고, 근내지방도 및 육색은 각각 3.1-3.3 및 4.0-4.1 이었으며, 쇠고기의 전단력 및 보수력은 각각 4.6-4.7 및 50.7-50.9로 이들 모두는 처리간에 유의차는 없었으나, 소득은 두당 882.8-991.7천원으로 T2 및 T3가 T1 보다 12-7% 더 높았다.이상과 같은 결과들을 종합해 볼 때 Holstein 거세우를 23개월령까지 비육할 경우, 근내지방도가 높은 쇠고기 생산이 가능하며, 육성 및 비육전기에 목건초나 맥주박위주의 TMR을 급여하면 볏짚보다 출하체중을 높여 소득을 향상시킬 것으로 판단된다.

Welfare assessment traits, milk quantity and quality, and profitability of Anatolian buffalo cows confined in closed-tied or semi-open free-stall barns can be affected by supplementary feeding at milking

  • Ibrahim Cihangir Okuyucu;Ahmet Akdag;Huseyin Erdem;Canan Kop-Bozbay;Samet Hasan Abaci;Ali Vaiz Garipoglu;Esin Hazneci;Nuh Ocak
    • Animal Bioscience
    • /
    • 제37권6호
    • /
    • pp.1110-1120
    • /
    • 2024
  • Objectiv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 of offering (OSF) or not (NSF) supplemental feed at milking on temperament (TS), udder hygiene (UHS) and body condition (BCS) scores, and milk yield per milking (MYM), milk quality traits, and profitability of primiparous Anatolian buffalo cows at 90 days of lactation confined in closed-tied (CB) or semi-open free-stall (OB) barns. Methods: In Experiment I, 108 cows were selected to encompass four treatments (OBOSF, OB-NSF, CB-OSF, and CB-NSF) of 27 cows, considering barn type (OB and CB) and supplementary feed (OSF and NSF) at milking. In Experiment II, 60 OB cows were selected to encompass one of five groups of 12 cows each: i) no supplemental feed (CON), ii) commercial concentrate (CC), iii) CC + corn silage (CCS), iv) CCS + alfalfa hay (CSA), or v) CC + ryegrass silage (CRS) at milking. Results: The TS and UHS of the OB and OSF cows were lower (better) than those of the CB and NSF cows, respectively. The OSF increased milk protein, lactose, and solids-not-fat but decreased milk freezing point and electrical conductivity compared with the NSF. The MYM and milk fat of the OB-OSF cows were higher than those of the OB-NSF and CBNSF cows. The TS and UHS of the cows negatively correlated with MYM and some milk chemicals (fat, protein, and solids-not-fat), but BCS correlated positively. The TS and milk electrical conductivity of the CCS, CSA, and CRS cows were lower than those of the CON and CC cows, but BCS, MYM, and milk fat were higher. Partial budget analysis identified a higher net profit for supplemental feed-offered groups (OB-OSF, CCS, CSA, and CRS). Conclusion: Offering roughage with concentrates at milking for indoor primiparous buffalo cows is more conducive to well-being, milk yield, milk quality, and economy.

뉴질랜드 (Palmerston North) 의 낙농 현황과 번식 및 번식장해에 관한 연구(I) Palmerston North 지역의 낙농 현황과 우유 생산량에 관한 조사 연구 (Studies on Dairy Farming Status, Reproductive Efficiencies and Disorders in New Zealand (I) A Survey on Dairy Farming Status and Milk Yield in Palmerston North Area)

  • 김중계;맥도날드
    • 한국가축번식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1-18
    • /
    • 2000
  • New Zealand, Palmerston North 지역의 낙농가 80여 개 낙농가에 1998년 2월부터 1998년 7월까지 우편설문지에 의해 조사되었다. 주어진 질문항목은 1). General characteristics (10개 질의), 2). Milk yield and feed supplementary (7개질의), 3). Reproductive efficiencies (14개 질의), 4). Reproductive disorders (12개 질의) 4개 항목을 포함하는 합계 43개의 질문을 내포하고 있었다. 낙농가의 응답자 38농가 (47.5%)에서 회수된 질의문 4개 항목중 1). 2). 항목에 해당되는 낙농사업에 있어서 일반적인 낙농 사육현황, 보조사료 그리고 우유 생산 등을 집계 분석하여 장단점을 파악하고, 우리나라 낙농인 (특히 제주도)들에게 인식시켜 보다 낳은 경제적 이익을 주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된 바 이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낙농사육경력은 38개 낙농가 중 기록된 농가가 21개 (45%)였는데, 이중 15년 미만경력이 3농가(7.9%), 15~19년 경력은 7농가 (18.4%), 20~25년의 경험 농가가 6개 농가 (15.8%)였고, 26년 이상 경력을 가진 농가수는 5농가 (13.2%)로 대체로 우리나라보다 경력기간의 길고 많은 경험을 갖고 있는 낙농부국이었다. 낙농가의 노동력 투입에 있어서 주인 자신이 직접 경영하고 있는 농가는 21농가 (55.3%)였으며, Sharemilker에 의존하여 운영하는 농가가 10농가 (26.3%), 그리고 가족노동력이 투입된 2농가 (3.5%), Manager 가 주로 주관하여 운영되는 3농가 (5.3%), 일하는 사람을 두고 있는 농가 18농가 (31.6%)였으며, Part time 인력을 쓰는 농가는 2농가 (3.5%)뿐이고 기타가 1농가 (1.8%)로 나타내고 있었다. 이러한 사항은 낙농농가 당 1.5 인에 해당됨으로 경제적 이익 향상을 위해서 임금투입이 아주 낮았다. 2. 사육기반인 방목지와 경작지를 분석하여 보면 사육규모별 (200, 300, 400두) 방목지는 각각 56, 90, 165.3ha로 평균 107.8ha이었고, 경작지도 각각 51, 78, 165ha로서 사육규모별 차이가 컸다(P<0.01). 이와 같은 결과는 낮은 비용으로 우유를 생산하고 우유제품 95%를 세계 각국으로 수출할 수 있는 기반이 되고 있음을 입증 할 수 있었다. 낙농가의 전반적인 기록여부사항은 응답농가 (38 농가) 중 10농가 (26.3%)가 computer, 벽기록장을 이용하는 농가수가 15농가(39.5%), 그리고 낙농수첩을 사용하고 있는 낙농가는 36농가(95%)로 가장 높았으며, 두 가지로 기록하고 있는 농가 수는 23농가(70%)로 높은 편이었다. 3. 한편, 환경면에 있어서 분뇨 처리 시설 분야는 큰 도시를 제외한, 공해를 인식하지 못할 정도로 깨끗하여 아직은 철저하지 않아서 공해처리는 문제화되지 않고 있었다. 그러므로, Pond system 이 26농가(68.4%)로 제일 많았으며, 다음에 매일 분을 제거하여 쌓아 놓아서 저장해 놓고 유기질 비료로서 이용하는 농가가 8농가(21.1%), 1 농가(2.6%)에서 Bunker system으로 저장되었고 기타의 방법으로 저장하는 것이 3농가(7.9%)로 대부분 유기질 비료가 부족하여 화학 비료를 많이 사용하고 있는 형편이며 한국의 30~40여년 전 환경 상태와 유사하였다. 4. 우유 착유 시설 조사에서는 Harringbone 시설이 33농가(86.9%)였고, 다음으로 Walkthrough 구조가 3농가(7.9%), Rotary system 과 기타 구조식이 각각 1개 농가(2.6%)로 세계 낙농 선진국으로 인정 할 수 있으나, 축사시설은 거의 없고 착유시설만 설치되어 있어서 기후환경의 이점을 최대로 살려 경제성 향상을 시도하고 있었다. 5. 착유일수와 두당, 년간 비유량에 관해서 착유일수는 평균 275일, 건유기간 약 87일로 New Zeal-and 의 평균 착유일수 228일 보다 약 47일정도 긴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착유두수 당 우유 총생산량을 보면 년간 평균 3,990kg 이었고, 우유 건물량 (ms)은 약 319kg였다. 그리고 매일 두당 우유건물량 (ms)은 평균 1.2kg, 우유량은 15.5kg(건물 12.5%로 환산), 우유지방은 평균 4.83%로 외국의 수치 보다 상당히 높았고, 우유 단백질은 평균 3.57% 이었다. 6. 결론으로 Palmerstone North 지역의 낙농업은 뉴질랜드의 중심지로 목장운영의 경험과 경력 약 20년으로, 우리나라의 6~9년 보다 길고, 전체 호당 평균 사육두수는 약 355두로서, 우리나라 최근 호당 35두에 비하여 차이가 심했다. 목장에는 사육우사는 거의 없고 단지 충실한 착유실만 있을 뿐으로 대부분의 목장은 가축 노동력인 부부 두 사람 (1.5 인)에 의해서 착유가 실시되고 있으며, 특이한 것은 철저히 봄에만 분만 (93%) 을 유도하는 계절번식을 시도하여 착유기간은 240~280일로 겨올동안은 착유를 하지 않고, 당해년 그 무리의 비유량과 body score에 의해서 건유기가 결정되어 휴식기로 들어감으로서 우리나라와는 다방면(경영형태포함)에서 많은 차이점이 있었다. 그리고 젖소에는 전혀 농후사료를 급여하지 않고 완전히 방목을 위주로 사육되기 때문이며 착유량은 약 3,500kg로 우리나라의 절반이지만 집유시 우유량 보다 유지율에 따라서 환금됨으로 유지율이 4,5%로 상당히 높은 수준으로 개량하여 왔으며, 세계에서 가장 낮은 가격의 우유를 생산하는 낙농부국으로서 우리나라도 노동력 절감과 대규모 사육을 위한 실질적인 면은 물론 경영면에 더욱 치중하여야 할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