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ncave surface

검색결과 207건 처리시간 0.027초

작업로 노면의 피해가능성 평가에 관한 연구 (Evaluation of Surface Damage Possibility on Strip Roads)

  • 지병윤;정도현;오재헌;차두송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7권6호
    • /
    • pp.656-660
    • /
    • 2008
  • 본 연구는 숲가꾸기 작업을 위하여 개설된 작업로를 대상으로 노면피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평가하여 작업로 노면의 피해예방을 위한 적정 시설기준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실시하였다. 작업로 노면피해에 영향을 크게 미치는 요인은 시설위치, 종단기울기, 겉보기토질, 산지사면형상, 노폭의 순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종단기울기, 노폭 등 도로 구조적인 요인과 시설위치, 산지사면형상 등 입지적 요인 그리고 겉보기 토질과 같은 도로 구성물질이 노면 피해 발생과 밀접한 연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작업로의 피해발생은 계곡부, 종단기울기 24%이상, 마사토 토질, 요형사면, 노폭 3.0 m이상에서 심한 것으로 나타났고, 안정성은 능선부, 종단기울기 4~24%, 토사지역, 직선형(-)사면, 노폭 3.0 m이하에서 큰 것으로 나타났다. 수량화II류의 판별식의 판별적중률은 79.4%로 상당히 양호한 값으로 나타나 작업로 노면의 양부판정에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지하 매설관 탐지를 위한 지하탐사레이다 신호의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haracteristics of Ground-Penetrating Radar Signals for Detection of Buried Pipes)

  • 현승엽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28권1호
    • /
    • pp.42-48
    • /
    • 2017
  • 지하에 매설된 관을 탐지하기 위해 지하탐사레이다(GPR) 신호의 특성을 수치해석으로 조사하였다. GPR 시스템의 송수신부, 지하매질, 유전체로 채워진 플라스틱 관을 시간영역유한차분법(FDTD)으로 모델링하였다. GPR 신호의 양상을 관찰하기 위해서 관의 지름과 관 속에 채워진 물질의 유전율 변화에 따른 FDTD 모의계산을 수행하였다. 유전체로 채워진 플라스틱 관에 의해 산란된 GPR 신호는 관 외부의 전방 볼록면 반사파와 관 내부의 후방 오목면 반사파의 중첩으로 나타났다. 두 파의 진폭, 극성, 지연시간은 플라스틱 관 사이즈와 관 내부 충진 물질의 유전율에 종속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ESPI를 이용한 자동차 TPS 면외변형 계측 (Out-of-Plane Deformation Measurement of TPS in Vehicle Using ESPI)

  • 한상길;함효식;함상현;이종황;정원욱;이창희;이상봉;최성을
    • 비파괴검사학회지
    • /
    • 제30권5호
    • /
    • pp.423-428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ESPI 방법을 이용하여 자동차 엔진의 핵심 부품인 TPS의 열변형력에 따른 변외변형을 측정하여 열변형 특성을 분석하였다. 높은 해상도의 CCD와 줌렌즈를 사용하여 부품의 검사영역을 가로 세로 각각 5cm로 최소화하였다. 주행거리가 다른 TPS 부품들을 4-step 위상이동법과 위상 연속화를 통해 변형량이 연속적으로 변하는 위상도를 얻었고, 3차원으로 변형의 모양과 크기를 나타내었다. 약 $70^{\circ}C$의 온도를 유지하면서 TPS 부품에 열을 가한 경우 주행거리가 길어질수록 TPS 변형은 크게 측정되었고, 위로 볼록한 형태로 변형되었다. 그리고 내부결함이 있는 부품에서는 위상도에 불연속적인 무늬가 나타났고, 아래로 오목한 모양을 갖는 변형으로 나타났다.

소형 추력기의 성능 개선을 위한 액체 추진제 주입기 최적 설계 및 추진제 거동 연구 (Study on Spray Phenomena and Optimal Design of Injector for Improving Small Thruster Performance)

  • 김기로;김수겸;변도영;이세민;정강수;박수형;김성균;유명종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39권4호
    • /
    • pp.341-347
    • /
    • 2011
  • 본 연구는 기존의 인젝터와 새로운 형태의 인젝터를 비교분석 함으로써 소형 추력기의 성능을 연구하였다. 기존의 인젝터는 볼록한 표면에 8개의 노즐로 구성되어 액체 추진제를 분사하는 형태로 제작되었다. 우리가 제안한 새로운 형태의 인젝터는 오목한 표면에 4, 5, 6, 8, 9개의 노즐로 구성된 충돌형 인젝터이다. 노즐의 구멍을 통해 분사되는 액체추진제는 축 방향으로 한 점에서 부딪히게 설계되었으며, 이는 분사되는 액체 추진제의 입자를 더욱 세분화하여 사방으로 일정하게 분무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전산유체역학, 입자 유속계 및 고속 카메라를 이용하여 분무 가시화 및 인젝터의 성능을 연구 하였다.

3차원 인체의 곡률분포를 이용한 패턴 전개 (Pattern Development using the Curvature Plot of 3D Human Scan Data)

  • 정연희;홍경희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2권9호
    • /
    • pp.1478-1486
    • /
    • 2008
  • The human body composed of concave and convex curvatures, and the current 3D scanning technology which involves inherent measurement errors make it difficult to extract distinct curvature plot directly. In this study, a method of extracting the clear curvature plot and its application to the cycling pants design were proposed. We have developed the ergonomic pattern from the 3D human body reflecting cycling posture. For the ergonomic design line on the 3D human body, the 3D information on the lower part of four male bodies with flexed posture was analyzed. The 3D scan data of four subjects were obtained using Cyberware. As results, the iteration of the tessellated shell was executed 100 times to obtain optimized curvature plots of the muscles on the body surface, and the boundaries of the curvature plots were applied to the design lines. Maximum(Max-pattern) and mean curvature plots(Mean-pattern) were adopted in the design line of the cycling pants, and performance of those lines was compared with that of conventional princess line(Con-pattern). The average error of total area and length in the 2D pattern developed from the 3D flexed body surface in this study were very minimal($4.58cm^2$(0.19%) and 0.15mm(0.46%)), which was within the range of tolerable limits in clothing production. The pattern obtained from the flexed body reflecting cycling posture already included the contraction and extension of the cycling skin, so that the extra ease for movement and good fit was not need to be considered.

유동해석을 통한 MR fluid jet polishing 시스템의 재료제거 특성 분석 (A study on material removal characteristics of MR fluid jet polishing system through flow analysis)

  • 신봉철;임동욱;이정원
    • Design & Manufacturing
    • /
    • 제13권3호
    • /
    • pp.12-18
    • /
    • 2019
  • Fluid jet polishing is a method of jetting a fluid to polish a concave or free-form surface. However, the fluid jet method is difficult to form a stable polishing spot because of the lack of concentration.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MR fluid jet polishing system using an abrasive mixed with an MR fluid whose viscosity changes according to the intensity of a magnetic field is under study. MR fluid jet polishing is not easy to formulate for precise optimal conditions and material removal due to numerous fluid compositions and process conditions. Therefore, in this paper, quantitative data on the factors that have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machining conditions are presented using various simulations and the correlation studies are conducted. In order to verify applicability of the fabricated MR fluid jet polishing system by nozzle diameter, the flow pattern and velocity distribution of MR fluid and polishing slurry of MR fluid jet polishing were analyzed by flow analysis and shear stress due to magnetic field changes was analyzed. The MR fluid of the MR fluid jet polishing and the flow pattern and velocity distribution of the polishing slurry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nozzle diameter and the effects of nozzle diameter on the polishing effect were discussed.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maximum shear stress was 0.45 mm at the diameter of 0.5 mm, 0.73 mm at 1.0 mm, and 1.24 mm at 1.5 mm. The cross-sectional shape is symmetrical and smooth W-shape is generated, which is consistent with typical fluid spray polishing result. Therefore, it was confirmed that the high-quality surface polishing process can be stably performed using the developed system.

Solar concentrator optimization against wind effect

  • Sayyed Hossein Mostafavi;Amir Torabi;Behzad Ghasemi
    • Wind and Structures
    • /
    • 제38권2호
    • /
    • pp.109-118
    • /
    • 2024
  • A solar concentrator is a reflective surface in the shape of a parabola that collects solar rays in a focal area. This concentrator follows the path of the sun during the day with the help of a tracking system. One of the most important issues in the design and construction of these reflectors is the force exerted by the wind. This force can sometimes disrupt the stability of the concentrator and overturn the entire system. One of the ways to estimate the force is to use the numerical solution of the air flow in three dimensions around the dish. Ansys Fluent simulation software has been used for modeling several angles of attack between 0 and 180 with respect to the horizon. From the comparison of the velocity vector lines on the dish at angles of 90 to - 90 degrees, it was found that the flow lines are more concentrated inside the dish and there is a tendency for the flow to escape around in the radial direction, which indicates the presence of more pressure distribution inside the dish. It was observed that the pressure on the concave surface was higher than the convex one. Then, the effect of adding a hole with various diameter of 200, 300, 400, 500, and 600 mm on the dish was investigated. By increasing the diameter up to the optimized size of 400 mm, a decrease in the maximum pressure value in the pressure distribution was shown inside the dish. This pressure drop decreased the drag coefficient. The effect of the hole on the dish was also investigated for the 30-degree angled dish, and it was found that the results of the 90-degree case should be considered as the basis of the design.

활성탄에 의한 Reactive Blue 4 염료의 흡착에 대한 등온선, 동력학 및 열역학적 특성 (Characteristics of Isotherm, Kinetic, and Thermodynamic Parameters for Reactive Blue 4 Dye Adsorption by Activated Carbon)

  • 이종집
    • 청정기술
    • /
    • 제26권2호
    • /
    • pp.122-130
    • /
    • 2020
  • 입상 활성탄에 대한 reactive blue 4 (RB 4) 의 등온흡착과 동력학적, 열역학적 파라미터에 대해 활성탄의 양, pH, 초기농도, 접촉시간, 온도를 흡착변수로 하여 조사하였다. 활성탄에 의한 RB 4 염료의 흡착은 pH 7을 기점으로 양쪽으로 흡착 백분율이 증가하는 concave 모양을 나타내었다. 등온흡착자료는 Langmuir, Freundlich, Temkin 등온흡착식에 적용하였다. Freundlich과 Langmuir 등온흡착식이 모두 잘 맞았다. 계산된 Freundlich 분리계수(1/n = 0.125 ~ 0.232)과 Langmuir 분리계수(RL = 1.53 ~ 1.59) 으로부터 활성탄이 RB 4를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Temkin의 흡착열관련상수(BT = 17.611 ~ 29.010 J mol-1)는 이 공정이 물리흡착임을 나타냈다. 동력학적 실험으로부터 흡착공정은 유사 이차 반응속도식에 잘 맞았다. 입자 내 확산식에 대한 결과는 표면확산을 나타내는 두 번째 직선의 기울기보다 입자내 세공확산을 나타내는 첫 번째 직선의 기울기가 작게 나타나서 입자내 세공확산이 속도지배단계인 것을 확인하였다. Gibbs 자유에너지 변화(ΔG = -3.262 ~ -7.581 kJ mol-1)와 엔탈피 변화(ΔH = 61.08 kJ mol-1)은 각각 흡착공정이 자발적 공정 및 흡열과정임을 나타내었다.

Heterophues nocens (Trematoda: Heterophyidae)의 표피 미세구조 (Surface Ultrastructure of Heterophyes nocens (Trematoda: Heterophyidae))

  • 채종일;정혜림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30권2호
    • /
    • pp.75-82
    • /
    • 1992
  • Heterophyes necens의 표피 미세구조를 주사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충체는 실험 감염시킨 고양이에서 얻은 성충과 인체 자연감염자에서 회수한 성충을 재료로 하였다. 충체는 나뭇잎 모양이며 복측으로 약간 굽어 있었고, 유원형 또는 서양배 모양이며 전반부는 등글고 후반부로 갈수록 충체의 폭이 차츰 감소하였다. 구흡반 주위에는 짧은 섬모가 있는 제 I형 감각유두가 4∼5개씩 모인 군집 감각유두가 관찰되었으며 그 사이 사이에 단일 감각유두가 분포하였다. 구흡반 외연 및 직후방에는 5∼9개의 분지를 가진 피극이, 구흡반과 복흡반 사이에는 12∼17개의 분지를 가진 피극이 분포하였다 복흡반의 구순에는 표피가 둥글게 융기한 제 II형 감각유두가 7∼8 개 일정 간격으로 위치하였다. 구흡반과 복흡반 사이에는 우측과 좌측에 각각 5개 및 6개의 감각유두로 구성된 군집 감각유두가 3개군씩 대칭적으로 배열되어 있었고 그 사이에 단일 감각유두가 분포하였다. 고양이에서 회수한 성충의 생식반은 흔히 함몰되거나 약간만 돌출되어 있어 gonotyl spine을 관찰하기 어려웠으나, 환자에서 얻은 성충은 대부분의 경우 생식반이 충체 바깥으로 돌출되어 있었고, gonotyl spine의 수는50∼60개이었다. 복흡반 외측 및 후방에는 8∼12개의 분지를 가진 피극이 각각 관찰되었으며, 충체의 후반부로 갈수록 피극의 분지 수가 점차 감소하여 후단에서는 1∼3개의 분지를 가진 피극이 관찰되었고 피극의 밀도도 점차 낮아지는 양상을 띠었다. 충체 배측에는 4∼5개의 감각유두가 모인 군집 감각유두 4쌍이 좌우 대칭적으로 배열되어 있었다. 충체 배측의 점반부에는 15∼20개의 분지를 가진 피극이 분포하였고 후반부로 갈수록 분지 양상이 감소하여 배측 후 단에서는 8~12개의 분지를 가진 피극이 관찰되었다. 또, 후반부로 갈수록 피극의 밀도가 점차 낮아지는 양상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대. nocens 성충의 표피 미세구조는 다른 이형흡충류의 경우와 비슷하나 생식반 외연에 분포하는 gonotyl Spine의 수가 50∼60개인 점, 전 표피에서 관찰되는 피극 및 감각유두의 특이한 분포 등은 H. nocens의 특징적 소견이라고 생각되었다.

  • PDF

태백산맥 남부산지의 암설사면지형 (The Study on the Debris Slope Landform in the Southern Taebaek Mountains)

  • 전영귄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77-98
    • /
    • 1993
  • 본 연구는 암설사면지형이 잘 발달하고 다양하게 분포하는 태백산맥의 남부산지를 대상으로 항공 사진판독과 도상계측 및 현지조사를 통하여 노출암설사면의 분포, 형태 및 퇴적물의 특성을 분석하고 사면의 지형적 배열과 지형발달에 관해서 연구한 논문으로써 분포적 특성에 있어서는 애추의 경우 기반암이 경암이거나 절리가 잘 발달된 지질에서, 암괴류의 경우는 화강섬록암 지질에서 높은 분포밀도를 보였다. 형태적 특성은 애추, 암괴류 모두 설상이 각각 83${\%}$, 80${\%}로 가장 많았으며 지형면의 경사도에 있어서는 애추가, 길이에 있어서는 암괴류가 각각 우세했다. 퇴적물의 특성중 암설의 평균입경은 암괴류가 보다 크게 나타났다. 한 지형면에서 암설의 장축방향성의 경우 방향성 있는 경우와 없는 경우가 있는데, 후자는 지형면상의 함몰로 그 방향성이 상실된 것으로 보인다. 끝으로 지형발달의 경우, 애추는 암석낙하(rock fall)에 의한 형성기(최종빙기)와 2차적인 영역에 의한 조정기(후빙기)로 암괴류는 암괴의 생성기(제3가 또는 제 4기의 간빙기), 암괴류의 형성기(최종빙기), 조정기(후빙기)로 구분할 수 있었다. 그리고 산지 사면의 배열유형은 6가지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