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mputer based learning system

검색결과 1,632건 처리시간 0.032초

동시통역 학습을 위한 스마트 단말 기반의 문장구역 훈련 시스템 (Smart device based sight translation training system for simultaneous interpreting practice)

  • 표지혜;안동혁
    •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 /
    • 제8권7호
    • /
    • pp.759-768
    • /
    • 2018
  • 국가 간 다양한 분야에서의 교류가 증가함에 따라서 개최되는 국제회의의 수도 증가하고 있다. 이로 인해, 동시통역의 수요도 증가하고 있기 때문에 많은 학습자들이 동시통역을 학습하고 있다. 동시통역은 많은 학습 시간이 필요하기 때문에, 통역을 학습하는 학생들은 개별 학습을 수행한다. 자율적인 학습법 중 대표적으로 문장구역 훈련법이 있으나, 백트래킹으로 인한 학습 효과 저하 및 원활한 학습을 위한 파트너의 도움이 필요하다는 단점이 존재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컴퓨터 기반 문장구역 훈련 시스템이 제안되어 학습자들의 학습 능률을 향상시켰다. 하지만, 컴퓨터의 경우 이동성이 매우 낮기 때문에 학습자들이 정해진 공간에서만 학습을 진행할 수 있기 때문에 활용도가 저하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동성으로 인한 활용도 저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스마트 단말 기반의 문장구역 훈련 시스템을 제안한다. 스마트 단말은 컴퓨터에 비해 낮은 처리 용량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크기가 큰 파일을 처리할 때 성능이 저하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여러 알고리즘들을 제안한다. 제안한 스마트 단말 기반 문장구역 훈련 시스템을 구현하고 기능을 검증하였다.

중등학교 컴퓨터 교과에 대한 자기 주도적 학습 시스템의 개발 (Development of a Self Directed Learning System for the Course 'Computer' in Middle and High Schools)

  • 김흥환;전수정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8권1호
    • /
    • pp.1-12
    • /
    • 2005
  • 본 논문에서는 최근 학교 교육에서 강조되고 있는 자기 주도적 학습력 신장을 위하여 현행 중등학교 컴퓨터 교과 내용의 문제점은 무엇인지 분석하고, 이러한 분석에 기초하여 자기 주도적 학습력을 신장시키기 위한 컴퓨터 교육 내용을 구체적으로 어떻게 구성되어야 하는지에 대하여 모색하고 자기 주도적 교수-학습 원리에 근거한 웹 컨텐츠를 개발하였다. 이렇게 개발된 웹 컨텐츠를 학습자는 자신의 흥미와 적성에 따라 학습내용을 선정할 수 있고, 스스로 학습목표를 설정하여 학습을 진행해 갈 수 있도록 하였으며 그에 따라 교수자는 학습자에게 학습 과제를 제시함으로써 학습에 대한 참여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게시판과 Q&A를 통하여 교사나 학생들이 상호 의사교환을 통한 교수-학습 활동을 활발히 진행해 나갈 수 있도록 하였다.

  • PDF

데이터 스트림 기술에 기반 한 개인화된 교육 시스템 개발 (Develop of a Personalized Learning System based on Data Stream Technology)

  • 조성호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8권4호
    • /
    • pp.49-56
    • /
    • 2005
  • 가상교육 시스템이 동적 콘텐츠 전달 기술을 가지고 있지 않기 때문에 같은 수업에 속한 모든 학생들은 똑같은 콘텐츠를 접하게 된다. 본 논문은 데이터 스트림 기술을 이용하여 설계되고 구현된 개인화된 학습 시스템을 소개한다. 제안하는 시스템은 학습자의 학습수준과 능력에 따라 강의 콘텐츠를 변경할 수 있는 기술과 인터페이스를 가지고 있다. 제안하는 시스템은 동적 콘텐츠 전달기술과 학습자 수준 테스트 시스템으로 구성된다. 본 논문에서는 개인화된 학습 시스템의 설계와 구현 시 고려 사항에 대하여 설명한다.

  • PDF

e-Learning 콘텐츠의 남북한 표준언어 지원시스템 연구 (A study on Support System for Standard Korean Language of e-Learning Contents)

  • 최성;정지문;유갑상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5권2호
    • /
    • pp.25-36
    • /
    • 2007
  • In this paper, we studied on the effective structure of an e-Learning Korean Support System for foreigner based on computer systems which is to obey the rules of IMS/AICC International Standard regulations based on LCMS and SCORM. The most important task on this study is to support the function of self-study module through the review of the analysis and results of Korean learning and learning customs. We studied the effective PMS detail modules as well as the Standard Competency Module Management System, which related to LMS/LCMS, Learning an Individual Competency Management System, Competency Registry/Repository System, Knowledge Management System based on Community Competency Module, Education e-survey System and Module learning Support Service System. We suggested one of standard Effective Model of learning Korean Support System which is adopted in a various techniques for foreigner.

  • PDF

정보통신윤리교육을 위한 네트웍 기반 협력학습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Development of a Network-based Collaborative Learning System for Education of Information Ethics)

  • 송태옥;정상욱;김태영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4권1호
    • /
    • pp.43-52
    • /
    • 2001
  • 본 연구의 목적은 정보통신윤리교육을 위한 네트웍 기반의 협력학습시스템(Netclass)을 개발하는 것이다. 이 시스템은 하이브리드형의 교육시스템이며, 분산 네트웍 환경, 독립적인 컴퓨팅 환경, 웹브라우저 환경이라는 3가지 학습모드를 제공한다. 협력학습 시스템을 제작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를 수행하였다. 첫째, 정보통신윤리교육과 관련 있는 딜레마 가운데 학습 컨텐츠를 선정하고, 둘째, 학습자간의 협력과 상호작용을 통하여 타인의 생각이나 감정 그리고 행동의 결과를 미리 예측하는 체계적인 과정을 의미하는 협력적 딜레마 해결 학습 모형을 설계하였다. 셋째, 표준구조 기반의 협력학습 시스템 모델을 제시하였으며, 넷째, 네트웍 컴포넌트, DB 컴포넌트, 인터페이스 컴포넌트와 같은 다수의 컴포넌트를 개발하였다.

  • PDF

웹기반 협력 학습을 위한 멀티에이전트간의 통신에 관한 연구 (A Study of Communication between Multi-Agents for Web Based Collaborative Learning)

  • 이철환;한선관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3권2호
    • /
    • pp.41-53
    • /
    • 2000
  • 본 연구는 웹 기반 협력학습을 위한 시스템에서 학습자의 학습을 돕기 위한 멀티에이전트간의 통신에 관한 연구이다. 우선, 에이전트 시스템에 대한 전반적인 내용과 특정을 고찰하였고 에이전트 상호간의 통신인 KQML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또한 협력학습을 위한 에이전트 기반의 시스템 구조와 에이전트간의 상호 통신 방법을 제시하였다. Java 언어를 이용하여 협력학습 시스템을 설계 구현하였으며 실험을 통하여 에이전트간의 통신에 의한 협력학습 시스템의 효율성을 고찰하였다.

  • PDF

실사용에 의한 학습효과가 컴퓨터 시스템의 수용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Influence of Usage Learning Effect for Computer System Acceptance)

  • 김종수
    • 산업경영시스템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176-183
    • /
    • 2010
  • The benefits of information technology cannot be obtained unless potential users utilize it for their work. This led to a lot of research works on computer system acceptance. But most of the works address the early stage of system introduction, leaving the learning effect on system acceptance unexplored. In this longitudinal study, two groups of novice and experienced users have been empirically investigated and compared for their acceptance of computer system and for the learning effect of actual usage. A research model based on the technology acceptance theory has been proposed and applied to the two groups. The result shows that the factor job relevance gets more important and the effect of user training on system acceptance diminishes as time passes. This finding may help introducing computer systems which can be easily accepted by users over the whole life cycle period of computer systems.

웹 환경에서 아동을 위한 원격영어교육관리시스템 설계 (A Design for Web-based Distance Learning and Management System of Children's English Education)

  • 최리라;윤용익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5권1호
    • /
    • pp.45-55
    • /
    • 2002
  • 현재 아동을 대상으로 한 원격교육관리시스템은 그 수가 미미할 뿐만 아니라 주로 성인을 대상으로 한 원격교육시스템을 모델로 하였기 때문에 아동의 교육적 특성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아동의 교육적 흥미를 극대화하기 위하여 보다 효과적인 웹기반 실시간 원격영어교육관리시스템의 기능들을 제안하고자 한다. 특히 실제로 원격영어교육시스템을 이용하고 있는 초등학생들을 대상으로 하여 사용실태조사를 하고 이를 토대로 실시간, 양방향 교육서비스 제공의 필요성을 논의하고 학부모들에게 자녀의 교육과정을 실시간으로 관람토록 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인 아동교육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교육관리시스템을 제안하고자 한다.

  • PDF

딥러닝을 이용한 IOT 기기 인식 시스템 (A Deep Learning based IOT Device Recognition System)

  • 추연호;최영규
    • 반도체디스플레이기술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5
    • /
    • 2019
  • As the number of IOT devices is growing rapidly, various 'see-thru connection' techniques have been reported for efficient communication with them. In this paper, we propose a deep learning based IOT device recognition system for interaction with these devices. The overall system consists of a TensorFlow based deep learning server and two Android apps for data collection and recognition purposes. As the basic neural network model, we adopted Google's inception-v3, and modified the output stage to classify 20 types of IOT devices. After creating a data set consisting of 1000 images of 20 categories, we trained our deep learning network using a transfer learning technology. As a result of the experiment, we achieve 94.5% top-1 accuracy and 98.1% top-2 accuracy.

혼합 기계 학습 기반 소변 스펙트럼 분석 앙상블 모델 (Ensemble Model for Urine Spectrum Analysis Based on Hybrid Machine Learning)

  • 최재혁;정목동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23권8호
    • /
    • pp.1059-1065
    • /
    • 2020
  • In hospitals, nurses are subjectively determining the urine status to check the kidneys and circulatory system of patients whose statuses are related to patients with kidney disease, critically ill patients, and nursing homes before and after surgery. To improve this problem, this paper proposes a urine spectrum analysis system which clusters urine test results based on a hybrid machine learning model consists of unsupervised learning and supervised learning. The proposed system clusters the spectral data using unsupervised learning in the first part, and classifies them using supervised learning in the second part. The results of the proposed urine spectrum analysis system using a mixed model are evaluated with the results of pure supervised learning. This paper is expected to provide better services than existing medical services to patients by solving the shortage of nurses, shortening of examination time, and subjective evaluation in hospita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