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mputer Exercise

검색결과 350건 처리시간 0.03초

The Development of Exercise Accuracy Measurement Algorithm Supporting Personal Training's Exercise Amount Improvement

  • Oh, Seung-Taek;Kim, Hyeong-Seok;Lim, Jae-Hyun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smart convergence
    • /
    • 제11권4호
    • /
    • pp.57-67
    • /
    • 2022
  • The demand for personal training (PT), through which high exercise effects can be achieved within short-term, has recently increased. PT can achieve an exercise amount improvement effect, only if accurate postures are maintained upon performing PT, and exercise with inaccurate postures can cause injuries. However, research is insufficient on exercise amount comparisons and judging exercise accuracy on PT. This study proposes an exercise accuracy measurement algorithm and compares differences in exercise amounts according to exercise postures through experiments using a respiratory gas analyzer. The exercise accuracy measurement algorithm acquires Euler anglesfrom major body parts operated upon exercise through a motion device, based on which the joint angles are calculated. By comparing the calculated joint angles with each reference angle in each exercise step, the status of exercise accuracy is judged. The calculated results of exercise accuracy on squats, lunges, and push-ups showed 0.02% difference in comparison with actually measured results through a goniometer. As a result of the exercise amount comparison experiment according to accurate posture through a respiratory gas analyzer, the exercise amount was higher by 45.19% on average in accurate postures. Through this, it was confirmed that maintaining accurate postures contributes to exercise amount improvement.

경추 견인과 신경가동운동이 경추 신경근병증을 가진 컴퓨터 종사자의 통증, 기능장애, 근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Cervical Traction and Nerve Mobilization Exercise on Pain, Disability and Muscle Strength in Computer Workers with Cervical Radiculopathy)

  • 정민근;김선엽
    • 대한정형도수물리치료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27-34
    • /
    • 2014
  • Background: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cervical traction group and cervical traction & nerve mobilization exercise group after applying conservative physical therapy to Computer Workers with Cervical Radiculopathy. Methods: They were randomly divided into two groups: 18 subjects were cervical traction group, 22 subjects were cervical traction and nerve mobilization exercise group. Each group performed its own exercise 30 minutes per day, three times per week, for 4 weeks. Pain intensity was measured by the visual analogue scale (VAS) and neck disability index (NDI). Cervical extensor muscles strength (CEMS) was measured by the Pressure biofeedback unit. Grasping power (GP) was measured by the Grip Track Commander. Results: After 4 weeks therapy, VAS and NDI were significantly reduced in both groups (p<.05) and CEMS and GP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both groups (p<.05).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also evident between the two groups for these three measurements (p<.05). Conclusions: cervical traction and nerve mobilization exercise group is more effective than cervical traction group for reducing VAS and NDI and increasing GP in computer workers with cervical radiculopathy.

음악 줄넘기의 체계화 정책 (Systematic policy of music jump rope)

  • 최현희;이주희;정세희;강민석;장지영;황상연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6년도 제54차 하계학술대회논문집 24권2호
    • /
    • pp.121-122
    • /
    • 2016
  • 본 논문에서는 청소년 비만에 대한 심각성이 증가함에 따라 더욱 체계적인 관리를 위해 줄넘기에 ICT 기술을 접목시켜 개인에게 알맞은 맞춤형 운동프로그램을 제안한다. 이 정책은 개별성의 원리에 의하여 개인차를 고려한 운동 프로그램을 설정하여 개개인들의 욕구, 흥미, 그리고 능력을 향상시키는데 있다. 이때 운동프로그램 설정을 못하는 운동초보자들을 위하여 줄넘기에 내장된 센서가 체력수준을 인식하고 그에 알맞은 프로그램을 제공하여 보다 효과적인 신체능력을 향상시켜 준다는 것에 의의를 두고 있다.

  • PDF

회전근개 훈련용 기기 설계와 sEMG를 활용한 실험적 검증 (Design of Device for Rotator Cuff Training and Its Experimental Validation with sEMG)

  • 변상규;김재훈;정지용;김희영;신성욱;이응혁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24권8호
    • /
    • pp.1035-1043
    • /
    • 2021
  • The shoulder is less stable than other joints, making it easier to onset of various shoulder disorders. In addition, limited range of motion and pain in the shoulder due to shoulder disorders restricts daily life and social activities. The problem with exercise therapy can be reduced in exercise effect by causing boredom through simple repetition of motion, thus reducing the patient's willingness to participate. Therefore, this paper aims to provide a treatment method that can induce active participation of patients by developing devices capable of passive, active, and resistance exercise and serious game contents using them. Furthermore, sEMG was used to verify whether the rotational exercise in the horizontal and vertical using serious game contents helps the shoulder movement actually. The measured sEMG signal was classified as 5 phases according to the angle of rotation and calculated the mean integrated EMG. The mean integrated EMG for the experimental results was higher in all phases when rotational was performed compared to those when both horizontal and vertical rotational exercise remained initial posture, indicating an increase in muscle activity.

ICT기술을 활용한 흥미유발형 운동밴드 개발 (Development of the ICT technology applied Theraband)

  • 최현희;양자경;홍준민;이준혁;장지영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6년도 제54차 하계학술대회논문집 24권2호
    • /
    • pp.231-232
    • /
    • 2016
  • 본 논문에서는 세라밴드의 장점과 ICT기술을 접목시키고 운동 흥미유발 및 재미추구를 보안한 소도구를 개발하여 소비자 위주의 보급을 제안한다. 기존의 소도구 및 기구의 사용에 있어 소비자의 가격부담을 최소화하고 운동기구의 휴대성을 극대화시킨다. 또한 운동 시 지루함을 느끼지 않도록 개개인에게 맞춤형 운동 정보를 제공 하고 다함께 어울려 할 수 있는 운동 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한다. 이 연구를 통해 공간에 제약 없이 어디서든 쉽고 재미있게 운동을 할 수 있고 정확한 정보를 가지고 체계적인 운동을 할 수 있게끔 장려 할 것 이다.

  • PDF

COPD 환자를 위한 운동재활 언더웨어 시스템 (System of Exercise Rehabilitation Underwear for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Patient)

  • 안현기;장지영;최현희;박병주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1년도 제64차 하계학술대회논문집 29권2호
    • /
    • pp.297-298
    • /
    • 2021
  • 본 논문은 만성폐쇄성 폐 질환이 흡연, 대기오염으로 많은 질환자가 발생하여 재활운동을 필요로 하는 추세이다. 현재 측정 도구와 재활운동 도구가 분리되어 질환 진단은 한정된 시설을 이용해야만 하고 재활운동 또한 상시 진행할 수 없어 질환을 확인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이에 평상시 착용하는 이너형태에 재활운동 의류를 개발하여 올바른 호흡을 돕는 근육군이 동원하여 복식호흡을 유도하고 흉식호흡 시 웨어러블기기를 통해 인지하게 돕는다. 이 결과 일상 속 지속 가능한 재활운동을 바탕으로 가슴 벽의 호흡근육 활동을 감소시키고 복부 근육군을 개선하는 것으로 폐 기능을 증진시킬수 있는 언더웨어 개발을 제안하고자 한다.

  • PDF

스마트 거울을 활용한 실시간 자세교정 피트니스 시스템 (Fitness System for Correcting Real-time Posture Using Smart Mirror)

  • 서재식;신민호;문미경
    • 전기전자학회논문지
    • /
    • 제23권1호
    • /
    • pp.74-79
    • /
    • 2019
  • 인구 고령화와 웰빙 열풍으로 인해 건강관리 욕구가 증가하면서 피트니스에 대한 관심은 점점 더 높아지고 있다. 사람들은 운동을 하기 위해 헬스장을 가지만, 많은 이들이 운동하는 방법을 몰라 운동 순서나 운동 자세를 틀리게 하는 경우가 많다. 이러면 운동 효과도 미비할 뿐만 아니라 부상의 위험도 커진다.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 거울 앞에서 영상을 보며 혼자서 운동을 따라 할 수 있고 운동 자세가 잘못되었을 경우 실시간으로 틀린 곳을 확인시켜주는 스마트 거울을 활용한 피트니스 시스템의 개발 내용에 대해 기술한다. 이 시스템을 사용함으로써 사람들은 혼자서도 트레이너의 도움 없이 바른 자세로 운동을 할 수 있게 될 것이며, 이로 인해 그룹 또는 개인 트레이너를 기다려야 하는 시간이나 비용의 제약에 얽매이지 않고 운동을 할 수 있게 될 것이다.

PTT기반 운동 강도 모니터링 시스템 구현 (Implementation of PTT Change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Exercise Intensity)

  • 이지수;김동찬;이경택;김경섭;노윤홍;정도운
    • 융합신호처리학회논문지
    • /
    • 제21권1호
    • /
    • pp.49-54
    • /
    • 2020
  • 심혈관질환은 전 세계 주요 사망 원인으로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한다. 심혈관질환의 가장 높은 위험인자는 고혈압으로 뚜렷한 증상이 없지만 방치할 경우 여러 합병증을 유발한다. 고혈압을 치료하기 위하여 약물치료와 규칙적 운동을 진행해야한다. 고혈압 환자의 경우 과도한 신체 활동 시 심장에 큰 무리가 발생해 심혈관질환으로 이어질 수 있다. 따라서 적정 강도로 운동을 진행할 수 있는 PTT 계측을 통한 운동 강도 모니터링 시스템이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심전도와 맥파 계측을 통해 PTT를 산출하여 운동 강도에 따른 PTT 변화 모니터링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구현된 시스템은 심전도의 R-peak와 맥파의 P-peak를 미분하여 peak간의 시간차를 이용하여 PTT를 산출한다. 운동 강도에 따른 PTT 변화 모니터링을 위하여 달리기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험결과 저강도는 0.313s, 중강도는 0.220s, 고강도는 0.188s의 PTT가 측정되었으며, 운동 강도가 증가함에 따라 PTT는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Exercise Adherence Model of Middle-Aged based on Theory of Self-determination

  • Lee, Miok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3권10호
    • /
    • pp.143-149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struct and validate a middle - aged exercise adherence model. The model was designed based on self - determination theory. Participants were 215 middle-aged men and women aged 40-60 who had been exercising for more than six months. Data was collected from four big cities of Seoul, Busan, Gwangju and Daejeon in Korea, using a questionnaire consisting of basic psychological needs, intrinsic motivation, social support, and exercise adherence. Data were analyzed with SPSS 19.0 and AMOS 20.0. Social support and exercise adherence of the questionnaire were partially revised and verified by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The model's fit indices: GFI = .938, AGFI) = .915, NFI = .912, CFI = .941, and RMSEA = 0.041. The model satisfied the model fit of the structural model equation. This study model based on self - determination theory was confirmed that basic psychological needs, intrinsic motivation, and social support were important factors for the middle - aged's exercise adherence. Basic psychological need and intrinsic motivation had a direct influence on the adherence of exercise, and social support indirectly influenced the exercise adherence through intrinsic motivation. Both basic psychological needs and social support directly affected internal motivation. The most influential factor in the middle - aged's exercise adherence was intrinsic motivation. In conclusion, it was found that intrinsic motivation such as interest and fun is important for the middle - aged to continue the exercise. Also, the basic psychological needs were important for middle aged's exercise adhere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provide basic data for restoring or maintaining health by continuing exercise. Strategies that enhance intrinsic motivation are needed when a chronic ill person needs to continue long-term exercising.

사회인구학적특성에 따른 운동중독과 정서의 관계 (An Analysis of Relation between Exercise Addiction and Affect to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 현승권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5권6호
    • /
    • pp.129-138
    • /
    • 2010
  • 본 연구는 운동중독이 신체적, 정서적 삶의 질적 가치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전제하에 운동참여자의 사회인구학적특성에 따른 운동중독과 정서의 성향을 분석하고 운동중독과 정서는 어떠한 관련성이 있는지를 규명하여 운동참여자의 운동중독을 예방함과 동시에 합리적인 대처방안을 제시하고자 고찰하였다. 그 결과, 운동 참여자들은 테니스를 통하여 본인의 건강 유지 증진에 대한 심리적, 정서적 안녕감이 크게 작용하고 신체적인 기술성취의 중요성으로 인하여 운동중독현상과 더불어 긍정적, 부정적인 정서에도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가 나타났다. 이러한 사실을 상기하여 각 개인에게 긍정적 참여행동을 주지시키는 것은 물론 지도자들은 테니스 운동 참여자들이 보다 긍정적인 운동수행이 되도록 운동 참여행동을 제시하고 이러한 행동을 지속적으로 수행해 나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건강을 위한 여가의 한 형태로서 테니스 운동참여가 이루어질 수 있는 올바른 방향이라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