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mprehensive Masterplan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19초

도시 스카이라인 보존.관리 기법에 관한 연구(II) (A Study on the Preservation and Management Technique of Urban Skylines)

  • 임승빈;박창석;김성준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105-120
    • /
    • 1994
  • The major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 comprehensive and systematic process for the preservation and management of urban skylines. The city of Seoul has been selected as a case study for this proces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1) An urban landscape masterplan needs to be established before the preparation of the preservation and management plan for urban skylines. 2) Preservation and management plans for urban skylines are suggested in the case Mt. Nam, Han River, Mt. Kwanak in Seoul city. In the case of Mt. Nam and Mt. Kwanak, the control of building heights and guidelines for building height have been studied. For the Han River, various alternatives in building height and disposition have been investigated for the enhancement of the visual quality. 3) Two major steps are suggested for the effective preservation and management of urban skylines. The first step is to prepare an urban landscape masterplan for the whole city, to delineate the skyline preservation area, and to fix controls on building heights in the area. The second step is to divide the whole city into landscape units, to make detailed landscape masterplan for each the units, and to fix controls on building heights in the units. However, only the first step will be necessary in a small city.

  • PDF

어촌어항과 해수욕장의 워터프론트 개발 계획에 관한 연구 - 강원 안목항을 중심으로 - (A Study of Development on Waterfront of Fishing Village National Harbor and Swimming Beach - Foused on Anmock Harbor in Gangwon Province -)

  • 조원석;김흥기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10권2호
    • /
    • pp.37-44
    • /
    • 2008
  • Both environments and landscape can be checked in development of waterfront, Nevertheless this conditions does not control at the programming phase as much as necessary in absorption speed of development. Therefore this paper aims to analyze for the environmental space and sustainable landscape. In case of Anmock Harvor, our team carried out interview method by satisfaction level and attractiveness to take requirements of users. This research is to provide that fishing village-national harbor and swimming beach based on the waterfront scale, consists of pedestrian mall, promenade circulation, various water friendly park and beautiful pier. This study proposes two strategies for better life by waterfront space: first, renewal guideline is necessary to masterplan: second, systematic comprehensive plan can be established regal procedures(District Unit Plan & Agreement of Landscape) by participation of regional resident. This survey of waterfront spatial data is expected to use for environmental improvement of fishing village, harbor and swimming beach.

  • PDF

프로젝트 기반 수업으로서의 조경설계 교과목 수업계획서 분석과 개선방안 (Analysis of Syllabi for Landscape Architectural Design Courses as Project-Based Classes and Improvement Strategies)

  • 김아연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4권1호
    • /
    • pp.51-65
    • /
    • 2016
  • 조경교육의 핵심인 설계 교과목의 설계도라고 볼 수 있는 수업계획서는 교육의 목표와 내용, 방법과 효과를 진단할 수 있는 중요한 매체이다. 본 연구는 국내 4년제 대학의 2, 3학년 수준 조경설계 교과목의 수업계획서를 분석하여 설계교육의 현 실태를 진단하고 이를 기반으로 개선방향을 제시하였다. 첫째, 교수와 학생 사이의 계약서이자 학습활동 과정의 설계도와 학습 도구로서의 수업계획서 기능 제고가 절실하다. 둘째, 수업계획서에서 담아야하는 정보의 양을 늘리고 서술의 구체성을 높여 학습자의 수업에 대한 이해도를 증진시켜야 한다. 셋째, 스튜디오 수업의 특수성을 반영할 수 있는 수업계획서의 세부 항목 개발과 상세한 서술이 필요하며 타 과목과의 관련성 속에서 설계스튜디오의 통합적 측면을 조망해줄 필요가 있다. 넷째, 설계수업의 특수성을 고려하여 전통적인 텍스트 중심 외의 다양한 수업 매체와 온라인 방식의 도입을 통해 쌍방향 소통 수업에 대한 고민이 필요하다. 다섯째, 수업계획서 구성 요소들 간의 상호 연관성을 강화해야 한다. 특히 수업목표와 평가기준간의 관련성, 교재 및 참고문헌과 주차별 수업활동과의 관련성이 구체적으로 제시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학생들이 공감할 수 있는 평가 기준을 상세하게 제시하고, 다양한 평가 방법을 도입하여 평가의 공정성과 투명성을 제고해야 한다.

하천환경종합평가의 적용 및 개선방안 - 서울시 한강 지류하천을 중심으로 - (Application and Improvement Plan of the Comprehensive Assessment for River Environments - Focusing on Tributary Streams of the Han River in Seoul -)

  • 안홍규;이상훈
    • 환경영향평가
    • /
    • 제29권6호
    • /
    • pp.441-452
    • /
    • 2020
  • 하천환경평가는 현재의 하천환경을 조사하고 평가함으로써 하천복원 사업의 목표와 방향을 설정하고, 사업 직후에는 동일한 방법으로 재평가를 시행함으로써 하천사업이 목표에 맞도록 제대로 이루어졌는지를 판단하기 위한 방법으로 널리 적용되고 있다. 그간 서울시는 훼손된 하천의 물리적 형태 및 생태적 기능을 회복시키는 사업으로 지난 2000년대부터 한강 대부분의 지류에 대하여 생태하천복원이 진행되었으며, 복원이후에 하천환경은 다양하게 변화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시 관할 28개 하천을 대상으로 하천별로 물리특성, 수질특성, 생태특성을 평가하고 이를 세가지 특성을 종합적으로 평가하였다. 연구결과, 물리특성은 대부분의 하천이 II-III 등급이며, 수질특성 분석에서 대부분의 하천들은 III-IV 등급, 생물특성인 수생태계건강성평가 결과를 바탕으로 한 훼손하천 등급에서는 모든 하천이 D-E 등급으로 낮게 평가되었다. 따라서 서울시 모든 하천이 수질과 수생태계건강성에 있어서는 건강하지 못한 환경이라는 결과가 도출되었으며, 보다 장기적이며 체계적인 개선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