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mprehensive Ecological Model

검색결과 40건 처리시간 0.026초

Optimization of HPLC-tandem mass spectrometry for chlortetracycline using response surface analysis

  • Bae, Hyokwan;Jung, Hee-Suk;Jung, Jin-Young
    •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23권3호
    • /
    • pp.309-315
    • /
    • 2018
  • Chlortetracycline (CTC)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compounds in antibiotic production, and its distribution has been widely investigated due to health and ecological concerns. This study presents systematic approach to optimize the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tandem mass spectrometry for analyzing CTC in a multiple reaction monitoring mode ($479{\rightarrow}462m/z$). One-factor-at-a-time (OFAT) test with response surface analysis (RSA) was used as optimization strategy. In OFAT tests, the fragmentor voltage, collision energy, and ratio of acetonitrile in the mobile phase were selected as major factors for RSA. The experimental conditions were determined using a composite in cube design (CCD) to maximize the peak area. As a result, the partial cubic model precisely predicted the peak area response with high statistical significance. In the model, the (solvent composition) and (collision $energy^2$) term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at the 0.1 ${\alpha}$-level, while the two-way interactions of the independent variables were negligible. By analyzing the model equation, the optimum conditions were derived as 114.9 V, 15.7 eV, and 70.9% for the fragmentor voltage, collision energy, and solvent composition, respectively. The RSA, coupled with the CCD, offered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the peak area that responds to changes in experimental conditions.

A Survey of Applications of Artificial Intelligence Algorithms in Eco-environmental Modelling

  • Kim, Kang-Suk;Park, Joon-Hong
    •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14권2호
    • /
    • pp.102-110
    • /
    • 2009
  • Application of artificial intelligence (AI) approaches in eco-environmental modeling has gradually increased for the last decade. Comprehensive understanding and evaluation on the applicability of this approach to eco-environmental modeling are needed. In this study, we reviewed the previous studies that used AI-techniques in eco-environmental modeling. Decision Tree (DT) and Artificial Neural Network (ANN) were found to be major AI algorithms preferred by researchers in ecological and environmental modeling areas. When the effect of the size of training data on model prediction accuracy was explored using the data from the previous studies, the prediction accuracy and the size of training data showed nonlinear correlation, which was best-described by hyperbolic saturation function among the tested nonlinear functions including power and logarithmic functions. The hyperbolic saturation equations were proposed to be used as a guideline for optimizing the size of training data set, which is critically important in designing the field experiments required for training AI-based eco-environmental modeling.

생태공원의 조성과 운영 내실화를 위한 법제적 개선 방향 (Directions for Legislative Improvement for the Creation and Operation of Ecological Parks)

  • 김아연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52권1호
    • /
    • pp.71-86
    • /
    • 2024
  • 기후위기가 심각해지는 현 시점에 서식처 보호 및 복원과 생물다양성 보전 등 도시공원의 생태적 기능의 중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생태공원은 「도시공원 및 녹지 등에 관한 법률」과 「자연공원법」이 정한 공원의 유형에 해당하지 않아 전국적으로 조성되는 수많은 생태공원의 법적 근거 역시 다양하고 관리주체도 상이하여 체계적으로 지정·관리되지 못하고 있는 현실이다. 도시공원 패러다임의 생태적 전환과 국토 생태계의 총체적, 통합적 관리를 위한 자연공원 체계의 개선을 위해 생태공원의 법적 지위를 명확히 하는 것은 중요하다. 이를 위해 관련 법령을 분석하여 문제점과 법제적 개선 방향을 도출하였다. 첫째, 국토교통부와 환경부 법률의 연계성이 떨어지고 이원화된 공원 체계 속에 생태공원의 법적 지위는 모호한 것으로 나타나, 공원 관련 법제의 개정을 통해 생태공원을 명확히 규정해야 한다. 둘째, 생태공원은 생태계의 보호와 복원, 생물다양성의 보전과 증진, 자연관찰과 생태학습 및 여가활동의 균형을 도모하며 생태적 방법으로 조성·관리되는 지속가능한 공원으로 정의할 수 있으며 지속적인 논의를 통해 다듬어가야 할 것이다. 셋째, 공원 관련 행정 협력 체계에서 국가와 지방자치단체의 역할을 체계화하고 거버넌스 구축을 통해 새로운 공원조성·관리 모형을 수립해야한다. 넷째, 생태공원 서식처의 특성은 개별법의 영향을 받으므로 시설 중복결정의 가능성을 열어둘 필요가 있다. 다섯째, 생태공원의 목표, 원칙, 시설물의 조성 기준을 갖추도록 세부 지침과 표준 조례가 필요하다. 여섯째, 법률의 개정과 더불어 지자체의 조례 역시 구체화되어야 한다. 이 연구는 생태공원을 제도적으로 명확히 규정해야 한다는 문제의식을 기반으로 현재 생태공원과 관련된 다양한 법적 현실을 추적한 문헌 연구이다.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의 의견을 실증적으로 반영하지 못한 한계를 가지나, 이러한 법적 고찰은 생태공원 조성 기반을 체계화하여 도시의 생태계를 보전하며 시민들에게 자연체험과 학습의 기회를 제공할 수 있는 정책 방향을 제시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우리나라 학업중단청소년에 대한 이해 (Comprehensive Understanding about Drop-Out Adolescents in Korea)

  • 금명자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14권1호_spc
    • /
    • pp.299-317
    • /
    • 2008
  • 2000년대를 전후로 급증한 청소년들의 학업중단을 실태와 기존의 연구들을 통해 종합적으로 조망하였다. 용어, 실태, 원인과 과정 및 학업중단 이후 과정으로 나누어 우리나라 청소년의 학업중단을 이해하고, 이를 다시 12가지 특성으로 정리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특성들을 생태학적 모형으로 재구조화하였다. 1990년대 중반에 시작된 사회적 안정구조의 흔들림과 1998년의 IMF 사태는 청소년들의 1차 환경인 가정과 학교에 영향을 미쳤다. 가정은 이혼 등의 갈등이 표면화되면서 청소년에 대한 심리적 지지와 경제적 지원을 약화시켰고, 학교에서는 교권과 교칙이 약화되면서 교사와의 갈등, 학업의 목적과 흥미 상실로 나타났다. 청소년들은 우울, 무력감, 공격성과 같은 정서적 반응, 미래의 불투명성, 학업적 의미 상실과 같은 인지적 반응 및 부적절한 성행동, 폭력과 같은 표면화된 비행행동반응을 보였다. 이러한 심리적 상태는 가출과 학업중단이라는 표면화된 행동으로 드러나게 되었고, 이후 이들의 학업 유지 의도에도 불구하고 준비되어 있지 않은 사회에 의해 비행화가 가속되었다. 이들에 대한 국가적 대처에 대한 제안과 제한점들이 논의에 첨가되었다.

  • PDF

산촌마을의 토지이용 패취 크기와 경계형태 특성에 관한 연구 - 전북 김제시 금산면 선동리 아직마을과 산수마을을 대상으로 - (A Study on Characterizing the Boundary Shape and Size of Land Use Patches in Mountain Village, South Korea: Cases of Sansu and Ajick Villages in Gimje City, Jeonlabukdo)

  • 황보철;이명우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6권5호
    • /
    • pp.237-246
    • /
    • 2003
  • 우리나라 산촌마을의 경관구조를 경관생태학적 패러다임인 토지 모자이크 모형에 의해 해석하였다. 상대적으로 개발의 영향이 적게 작용하여 산림청의 산촌종합개발사업 대상마을로 선정된 전북 김제시 선동리 아직, 산수마을을 연구대상지로 선정하였다. 전형적으로 나타나는 마을유역의 면적(2.8∼2.0㎢), 마을구역 및 농경지의 면적율(27%), 숲의 면적율(73%)이 조사되었다. 패취 경계형태의 깔때기 효과 특성은 3차원적 지형요소와 풍수지리적 형국도를 원용하여 해석할 수 있었다. 패취 경계형태의 깔때기는 동물이동 주요 통로로 보며 하천에 의하여 형성되는 만입부는 물과 대기 흐름의 장소로 동시에 적용될 때 물질흐름이 해석될 수 있었고, 이러한 깔때기 효과의 개념은 풍수지리에서 사용되는 형국도에서 중심축과 지류축으로 나타나고 있었다. 이러한 내용은 산촌생태마을 계획. 설계 시 보전해야 할 숲의 적정 크기와 하천 및 능선의 녹지축 net-working을 하기 위한 기본적 틀로서 적용될 수 있다고 판단된다.

일본 주택의 유니버설디자인 특성에 관한 연구 (Universal Design characteristics shown in the Japanese model houses)

  • 이연숙;이소영;여욱현;장미선;이선민;이유진
    • KIEAE Journal
    • /
    • 제7권1호
    • /
    • pp.5-13
    • /
    • 2007
  • Since aging has become one of most hot and serious issues in the whole global world, universal design as a strategic concept to enable the elderly age in place has received much attention and its importance is getting recognized. Japan has undergone the Aging phenomenon much earlier than Korea and other countries. During that time, through much trials and errors, it accumulated the wisdoms and techniques to precede aging friendly environment and products. Therefore current Japan house is a comprehensive setting which embraces lots of universal design features that has a valuable implication for Korean development that faces fast aging futu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lineate characteristics of universal design features appeared in Japanese Model houses. One site of housing park in the city where various model houses of representative housing construction companies was selected as a cluster area for data collecting. Data were collected mainly through field survey at the housing park of Tokyo during November, 2006, and additional data were collected through website and company information of relevant company. Universal design features were extracted for 17 houses of the housing park and sorted and analyzed according to the analysis frame. The frame were made using 2 major clusters; space area, and 8 universal design principle. Results showed a range of universal design feature and its detail universal design principle satisfied. The 8 principle currently developed became to house realistic practical examples and theory became proved its impractical power. The academic, educational and industrial implication were documented.

생성형 거대언어모델의 의학 적용 현황과 방향 - 동아시아 의학을 중심으로 - (Current Status and Direction of Generative Large Language Model Applications in Medicine - Focusing on East Asian Medicine -)

  • 강봉수;이상연;배효진;김창업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49-58
    • /
    • 2024
  • The rapid advancement of generative large language models has revolutionized various real-life domains,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exploring their applications in healthcare. This study aims to examine how generative large language models are implemented in the medical domain, with the specific objective of searching for the possibility and potential of integration between generative large language models and East Asian medicine. Through a comprehensive current state analysis, we identified limitations in the deployment of generative large language models within East Asian medicine and propose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Our findings highlight the essential need for accumulating and generating structured data to improve the capabilities of generative large language models in East Asian medicine. Additionally, we tackle the issue of hallucination and the necessity for a robust model evaluation framework. Despite these challenges, the application of generative large language models in East Asian medicine has demonstrated promising results. Techniques such as model augmentation, multimodal structures, and knowledge distillation have the potential to significantly enhance accuracy, efficiency, and accessibility. In conclusion, we expect generative large language models to play a pivotal role in facilitating precise diagnostics, personalized treatment in clinical fields, and fostering innovation in education and research within East Asian medicine.

지역의 생태적 특성을 반영한 대형공원의 식재계획 전략 - 광주광역시 중앙근린공원을 사례로 - (Planting Design Strategy for a Large-Scale Park Based on the Regional Ecological Characteristics - A Case of the Central Park in Gwangju, Korea -)

  • 김미연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9권3호
    • /
    • pp.11-28
    • /
    • 2021
  • 대형공원은 그 크기와 복잡한 특성 때문에 기존 도시 내에 조성되는 기회가 흔하지 않다. 또한, 대규모 부지에서의 식재설계 방법에 관한 실천적 연구 역시 부족한 상황이다. 본 연구는 광주광역시 중앙공원을 사례로 대형공원에서의 식재설계 접근방법과 생태적 이론이 실질적인 식재설계 방법으로 구체화 되는 과정을 설계가의 관점에서 설명함으로써, 유사한 규모의 공간 설계 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는 구체적인 식재설계의 선행과정으로서, 거시적인 스케일에서 녹지의 연결, 식생의 변화, 경관의 흐름, 오픈스페이스의 분포 등 공원 전체의 녹지구조를 계획하고, 나아가 녹지구조를 구성하는 식생형과 식물군락의 구조를 제안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물은 식재 설계 단계에서 공간의 기능과 성격, 식재 연출효과 등 설계자의 의도와 해석을 담아 탄력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접근법의 의의는 대형공원의 복잡성과 규모에도 불구하고, 계획된 범주 내에서 설계를 진행함으로써 첫째, 기존 수림을 포함한 공원전체 경관의 시각적 일관성과 의도된 질서를 유지할 수 있다는 점과, 둘째, 대형공원이 지닌 변동가능성, 예측불가능성 등의 특성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는 것이다. 연구의 세부 내용은 다음과 같다. 녹지계획에 우선하여 대상지의 물리적 환경을 분석하였다. 특히, 토지이용변화를 분석하여 잠재된 서식처로서 습지와 초지의 가능성을 확인했다. 녹지구조는 서식처 유형에 따른 식생형으로 구성되며, 녹지의 모양, 배치, 관계에 대한 계획과 함께 식생형을 구성하는 식물군락의 특징과 목록도 제시하였다. 각 식물군락은 지역의 자연식생을 참고하여 군락의 구조를 모델화하였다. 특히, 이 모델은 특정식물군락을 목표로 한 것이 아니라 기대하는 효과에 부합되는 군락을 개념화한 것이므로 식생형의 조건과 군락의 목표에 부합된다면 다른 식물군락도 이 모델에 적용하여 대안으로 활용할 수 있는 유연함을 갖는다. 본 연구의 한계점으로는 첫째, 생태적 공원의 식재설계임에도 불구하고, 야생동물 및 조류, 곤충 등을 위한 서식환경에 대해 충분히 고려하지 못하였고, 둘째, 대상지내 기존 산림, 특히 조림 숲에 대한 관리 방안이 계획에서 배제되었으며, 셋째, 식물군락 모델계획은 기존의 식물사회학 연구를 참고하여 자연의 식물군락구조를 적용하였는데, 일부 식물군락의 경우 정량적이고 객관적인 기준의 적용에 한계가 있었다는 점 등을 들 수 있다.

2017 의료법 개정에 따른 병실 모듈변화 연구 (Changes of Ward Modules according to the 2017 Revision of Medical Law)

  • 이현진;주연옥
    • KIEAE Journal
    • /
    • 제17권1호
    • /
    • pp.55-61
    • /
    • 2017
  • Purpose : As the necessity of reinforcement of infections management in medical facilities after MERS increased,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promulgated the enforcement regulations of medical law on February 3, 2017. Its main objective is to improve patients' safety and medical-care quality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isolation facilities from infectious diseases and the set-up of standards for In-patient and ICU facilit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necessarily to propose a standardized spatial composition model for ward modules by analyzing changing environments of in-patient facilities according to the strengthened medical law. Method: Theoretical studies will be undergone of Evidence-based Designs to improve patients' safety, medical quality, and domestic/overseas in-patient room guidelines. With reference to the status of 24 general hospitals over 500 beds, the spatial compositions of the in-patient rooms and the types of multi/single bed room modules will be analyzed. The directions of future in-patient room module changes through the study of the minimum ward module types and various ward types will be presented. Result: This paper will hopefully provide guidelines for hospitalization rooms that can be applied to the revised rules of medical law enforcement and provide a basis for a comprehensive study of patients' safety and efficient infection control as well.

생물지수를 이용한 북한강 수계에서의 생물학적 수질 평가 (biotic Indices as Assessment tools of Water Quality in the Han River System, Korea)

  • 정평림;정영헌;어성준;김재진;최선근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1권6호
    • /
    • pp.759-770
    • /
    • 1998
  • biotic indices scoring with the benthic macroinvertebrates were assessed as pollution monitoring tools in the north branch of the Han River system, Korea. We investigated the temporal variability of water quality at unpolluted, moderately polluted and heavily polluted sites using several biotic indices and assessed appropriate biological monitoring indices for lotic systems in Korea. The following biotic and chemical indices were employed in order to compare their applicability to the lotic systems : Trent Biotic Index (TBI), Chandler's Biotic Index-Average Score per Taxon (CBI-ASPT), Modified Biological Monitoring Working Party Score System-Average Score per Taxon (BMWP-ASPT), Hilsenhoff's biotic Index (BI) and Family-level Biotic Index (FBI) models for biotic analyses and National Sanitation foundation's Water Quality Index (NSFWQI) and comprehensive Chemical Pollution Index (Pb/n) for chemical analyses of water quality. Index and score values were compared with each other and with 24 water chemistry parameters. All biotic indices were significantly auto-correlated (p<0.001) and BI and FBI/ROK among them were highly correlated (r=0.84). BI and BMWP-ASPT models were also highly correlated with NSFWQI, while TBI values showed high correlation with the Pb/n. The BI and BMWP-ASPT were highly correlated with the most water chemistry parameters. We conclude that the BI model, which includes indicator species and abundance of taxa, is best suited for the bioassessment of lotic systems in Korea. For rapid field-based assessments, FBI/ROK and BMWP-ASPT models are also appropriat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