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mpost property

검색결과 40건 처리시간 0.027초

토양물리성개선(土壤物理性改善) 및 진단시비(診斷施肥)가 무논골뿌림직파(直播) 벼의 질소이용효율(窒素利用效率)과 수량(收量)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s of Improvement of Soil Physical Property & Diagnostic Fertilization on Yield and N-Use Efficiency in Puddled-Soil Drill Seeding of Rice)

  • 강승원;유철현;한상수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254-260
    • /
    • 1999
  • 본 연구(硏究)는 호남평야지(湖南平野池) 논토양(土壤)의 대표토양(代表土壤)인 전북통(全北統)에서 벼 무논골뿌림직파물리성개선(直播物理性改善) 및 진단시비(診斷施肥)에 의한 쌀 안정(安定) 증수방법(增收方法)을 구명(究明)하고자 관행(慣行), 진단시비(診斷施肥), 진단시비(診斷施肥)+심경(深耕), 심토파쇄(心土破碎), 진단시비(診斷施肥)(LCU80%) + 심토파쇄(深土破碎), 무질소구(無窒素區) 등(等) 6처리(處理)로 하여 2년간(年間)('97~'98)에 걸쳐 검토(檢討)한 시험결과(試驗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심경(深耕) 및 심토파쇄시(心土破碎時) 관행(慣行)에 비하여 경도(硬度), 용적밀도(容積密度)가 낮아지고 공극률(孔隙率)이 증가(增加)하여 물리성(物理性) 개선효과(改善效果)가 현저하였으며 화학성분중(化學成分中) 유기물(有機物), 인산(燐酸), 가리함량(加里含量)이 크게 증가(增加)하였다. 시비질소(施肥窒素)의 토양중(土壤中) $NH_4-N$ 용출량(溶出量)은 관행대비(慣行對比) 진단시비(診斷施肥) + 사양물리성개선구(士壤物理性改善區)에서 크게 증가(增加)하였으며, 시비질소(施肥窒素)의 흡수량(吸收量)과 이용률(利用率)은 진단시비(診斷施肥)(LCU80% 전량기비(全量基肥))+심토파쇄구(心土破碎區)에서 가장 많았으며 엽색(葉色)과 경엽중(莖葉中) 질소농도(窒素濃度)는 관행(慣行)에 비하여 진단시비(診斷施肥)+토양특리성개선구(土壤特理性改善區)에서 최고분벽기(最高分蘗期)부터 출수기(出穗期)기까지 높았으며 이들 상호간(相互間)의 유의성(有意性)이 인정(認定)되었다. 쌀수량(收量)은 관행(慣行)보다 진단시비(診斷施肥) 6%, 진단시비(診斷施肥) + 심경구(深耕區) 18%가 증수(增收)하였으나 진단시비(診斷施肥)(LCU80% 전량기비(全量基肥))+심토파쇄구(心土破碎區)에서 23%가 증수(增收)되었고 시비효율(施肥效率)도 가장 높았다.

  • PDF

충남지역 시설 딸기재배지 시비수준과 토양 화학성과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Fertilizer Application Level and Soil Chemical Properties for Strawberry Cultivation under Greenhouse in Chungnam Province)

  • 최문태;이진일;윤여욱;이종은;이봉춘;양의석;이영한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3권2호
    • /
    • pp.153-159
    • /
    • 2010
  • 우리나라 농민들은 저투입 지속가능한 농업 보다 화학비료에 더욱 의존하고 있다. 딸기 시설 재배지에서 친환경 농업을 추진하기 위해서 토양 양분 불균형을 개선하도록 충남지역 56개소의 양분관리 조건과 토양 화학성과의 관계를 구명하였다. 퇴비 시용량은 40대가 40 Mg $ha^{-1}$로 표준시비량 보다 2배 높았고 50대는 밑비료 시용량으로 질소 105.2, 인산 58.3, 칼륨 68.1 Mg $ha^{-1}$로 표준시비량 보다 각각 질소는 3배, 인산과 칼륨은 1.2배 였다. 딸기 재배 경력은 10년 이하가 42.8%로 비율이 높았고 재배면적은 400 $m^2$ 이하인 농가가 75.0%의 높은 비율을 나타냈다. 돈분 퇴비를 시용하는 농가는 48.2%로 가장 높았으며 밑비료 질소 평균 시비량은 92.3 Mg $ha^{-1}$로 표준시비량의 2.6배 였다. 또한, 퇴비 시용량이 30 Mg $ha^{-1}$를 초과하는 경우 적정수준에 비해 토양 EC 값은 1.8배, 유효인산 함량은 3.0배, 치환성 칼륨 함량은 2.6배, 칼슘 함량은 1.7배, 마그네슘 함량은 1.6배 높았으며 토양의 유효인산 평균 함량은 986 mg $kg^{-1}$으로 적정수준 보다 2.2배 높았다. 주성분 분석결과 PC 1은 토양 유효인산 (0.342), 토양 치환성 칼슘 (0.327), 토양 EC (0.310), 토양 유기물 (0.289) 순으로 정의 기여를 보였으며 PC 1은 39.6%, PC 2는 17.3%, PC 3은 13.6%로서 전체 70.5%의 자료를 설명할 수 있었다. 퇴비 시용량이 증가할수록 토양의 유효인산 함량 (r=0.370, $p{\leq}0.01$), 치환성 칼륨 (r=0.429, $p{\leq}0.01$), 칼슘 (r=0.404, $p{\leq}0.01$), 마그네슘 (r=0.453, $p{\leq}0.01$) 및 나트륨 (r=0.369, $p{\leq}0.01$)과 고도의 유의성 있는 정의상관을 보여 퇴비 시용량을 적정수준으로 조절하는 것이 매우 중요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본 연구결과 딸기 시설 재배지는 연령, 재배경력, 재배면적, 축분 퇴비 종류, 퇴비 시용량에 따라 많은 차이가 있어 지속농업을 위한 근본적인 토양 양분 관리방안은 농가별 토양검정에 의한 최적 시비라고 제안한다.

글루탐산나트륨 첨가배지에서 재배된 새송이버섯의 특성 및 생리활성 연구 (Characteristics and Biological Properties of Pleurotus eryngii grown on Monosodium Glutamate-enriched Media)

  • 윤동연;박기문;이재흥
    • KSBB Journal
    • /
    • 제25권3호
    • /
    • pp.277-282
    • /
    • 2010
  • 새송이 버섯 (Pleurotus eryngii) 재배배지에 글루탐산나트륨 (monosodium glutamate, MSG)을 혼합 첨가하여 재배한 자실체의 아미노산 및 $\gamma$-aminobutyric acid (GABA)함량 변화, 그리고 항산화 작용 등의 생리활성을 분석하여 새송이버섯의 기능성 향상 가능 여부를 조사하였다. 실험결과 MSG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arginine, glutamic acid, alanine, glycine 등 아미노산은 함량이 증가되었으며 histidine, serine, methionine, isoleucine, leucine, phenylalanine 등은 함량 변화는 거의 없었다. 한편 MSG 첨가량을 증가시킴에 따라 자실체의 GABA함량은 전체적으로 증가되었으며 MSG 6 g/bottle 첨가군에서 자실체내에 가장 높은 GABA함량 (1.18 mg/g)을 얻을 수 있었다. 또한 배지에 MSG첨가량을 증가시킴에 따라 자실체 추출물의 DPPH (1,1-diphenyl-2-picrylhydrazyl) radical 소거능 및 아질산염 소거능 (nitrite scavenging activity)도 증가됨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새송이버섯을 재배할 때 배지에 소량의 저렴한 MSG (~US $1/kg)를 첨가하면 아미노산 조성 및 항산화 작용 등 생리활성이 개선되는 고 기능성 새송이버섯 식품소재가 개발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비료원과 멀칭재료에 따른 사과 유묘의 생장 및 토양이화학성 변화 (Growth and Soil Chemical Property of Small Apple Trees as Affected by Organic Fertilizers and Mulch Sources)

  • 최현석;롬컽;이연;조정래;정석규;지형진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9-15
    • /
    • 2011
  • 본 실험은 비료 공급원으로서 1) 대조구(NF), 2) 상업용 유기질 비료($10N-2P_2O_5-8K_2O$, Nature Safe$^{(R)}$)(CF), 3) 계분 비료(PL)를 포함하였고, 멀칭 공급원으로는 4) 나무껍질 멀칭(WC), 5) 재활용 종이 멀칭(SP), 6) 식물성 퇴비 멀칭(GC), 7) 초생멀칭(GR)을 포함하였다. 유기질 비료와 멀칭의 양은 매해 유기농 사과나무 포장에 시비하였던 (50 g 질소/한 나무, 10 cm 멀칭시용/한 나무) 질소량과 체적에 각각 비례해서 각 포트에 시비하였다. CF, PL, 그리고 GR 급원은 미생물이 유기태 질소를 무기화(N-mineralization) 하는데 이상적인 탄소:질소(30:1이하)비를 보였는데, 처리 후 90일 째 되던 날에 토양중 무기태 질소 농도를 증가시켰다. CF, PL, 그리고 GR 처리된 유묘는 가장 넓은 총 엽면적과 두꺼운 직경, 그리고 큰 수고 및 건물중을 나타내어서 식물생장을 증가시키기 위한 가장 유용한 자재로 평가되었다.

경북지역 복숭아 과수원 토양 화학성 및 복숭아 엽의 양분함량 조사 (Soil Chemical Properties of Peach Orchard and Nutrient Content of Peach Leaves In Gyeongbuk Area)

  • 서영진;김종수;김재규;조제욱;권태영;이재석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175-184
    • /
    • 2002
  • 복숭아 주산지역인 청도, 영덕, 영천지역 60개 과원을 대상으로 토양의 화학적 특성 및 엽중 양분함량을 조사하였다. 표토의 pH는 평균 4.8정도로 비교적 낮은 편이었고, 치환성 칼슘함량은 $3.66cmol^+kg^{-1}$, 석회 요구량은 $3,970kg\;ha^{-1}$정도였다. 산간지 토양이 평야지에 비해 석회요구량이 많았고 치환성 칼륨 및 마그네슘함량이 높았으며 양토에서 석회요구량이 가장 많았고 유효붕소함량은 양토와 사양토에서 높았다. 경작년수가 증가함에 따라 심토의 유기물함량, 표토와 심토의 칼슘함량이 증가하였고 심토의 유효인산 함량은 감소하였다. 복숭아 엽중 질소와 인산함량은 적정범위에 비해 높았고 칼슘함량은 적정범위에 비해 낮았으며 유명, 창방조생등의 품종이 천홍, 선광등 nectarine 계통에 비해 칼륨함량이 높았다. 토양 유기물함량과 식물체의 칼륨함량과 정의 상관, 칼슘함량과는 부의 상관이었고 치환성 마그네슘함량과 식물체의 칼슘함량과는 부의 상관, 마그네슘함량과는 정의 상관이었다. 따라서 경북지역 복숭아 과원은 토양산도의 교정, 퇴비, 질소 및 인산질 비료의 사용을 적절히 조절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Red Pepper Productivity and Soil Properties as Affected by Different Intervals of Side-dressing N and K Applications in Plastic Film House

  • Ahn, Byung-Koo;Im, Ga-Young;Kim, Kab-Cheol;Chon, Hyong-Gwon;Jeong, Seong-Soo;Lee, Jin-Ho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7권3호
    • /
    • pp.147-154
    • /
    • 2014
  • Consecutive pepper cultivation in plastic film houses may lead to salt accumulation because pepper is considered a heavy nutrient feeder. For this reason, appropriate methods of fertilizer application should be established. Thus, we investigated the effect of different intervals of side-dressing N and K fertilizer applications on soil and red pepper in a plastic film house. All the amounts of recommended compost and phosphorus fertilizer were applied as basal dressing. Cultivars of the pepper plant were Cheon-Ha-Dae-Se (CHDS) and NW-BiGaLim (NW-BGL). Nitrogen and potassium fertilizers were treated as side-dressing at different intervals, 22 times in every 10 days, 15 times in every 15 days, and 11 times in every 20 days. Soil pH decreased with decreasing the intervals of side-dressing applications, whereas electrical conductivity (EC) declined with the increasing fertilizer application intervals. In particular, EC value decreased by up to 75% with CHDS cultivar in the plot of 20 day-interval and with NW-BGL cultivar in the plot of 15 day-interval. The concentrations of available phosphorus in the soils increased with increasing the interval. The concentration of exchangeable $K^+$ increased but exchangeable $Ca^{2+}$ and $Mg^{2+}$ decreased in all the plots, except in the control plot. The concentrations of nitrogen and phosphorus in leaves of the pepper plants were lowest in the control plot. Potassium concentrations in the pepper leaves were high in the control plot and in the plots of CHDS with 10 day-interval and NW-BGL with 15 day-interval. Red pepper productivity was high in the plots of 10- and 15 day-intervals for CHDS cultivar and 15- and 20 day-intervals for NW-BGL cultivar. Therefore, the 15 day-interval of side-dressing N and K applications was considered as an appropriate method for cultivating pepper plants and protecting soil in plastic film houses.

Assessment of Heavy Metal(loid)s Pollution in Arable Soils near Industrial Complex in Gyeongsang Provinces of South Korea

  • Kim, Yong Gyun;Lee, Hyun Ho;Park, Hye Jin;Hong, Chang Oh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51권2호
    • /
    • pp.128-141
    • /
    • 2018
  • Industrial complex releasing huge amounts of dusts, fumes and wastewater containing heavy metal(loid)s could be a source of heavy metal(loid)s pollution in arable soil. Heavy metal(loid)s pollution in arable soil adversely affect crops safety, subsequently human being. Hence, it is important to accurately assess the heavy metal(loid)s pollution in soil using pollution indices.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1) to compare assessment methods of heavy metal(loid)s pollution in arable soils located near industrial complex in Gyeongsang provinces and 2)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concentration of plant available heavy metal(loid)s and chemical properties of soil. Soil samples were collected from 85 sites of arable lands nearby 10 industrial complex in Gyeongsang provinces. The average total concentration of all heavy metal(loid)s of the studied soils was higher than that of Korean arable soils but did not exceed the warning criteria established by the Soil Environmental Conservation Act of Korea. Only six sites of arable soils for the total concentration of As, Cu and Ni exceeded the warning criteria (As: $25mg\;kg^{-1}$, Cu: $150mg\;kg^{-1}$, Ni: $100mg\;kg^{-1}$). The contamination factor (CF) and geoaccumulation index ($I_{geo}$) of the heavy metal(loid)s in arable soils varied among the sampling sites, and the average values of As and Cd were relatively higher than that of other metals. Results of integrated indices of As and Cd in arable soils located near industrial complex indicated that some arable soils were moderately or heavily polluted. The plant available concentration of heavy metal(loid)s was negatively related to the soil pH and negative charge of soil. Available Cd, Pb, and Zn concentrations had relatively high correlation coefficient with pH and negative charge of soil when compared with other heavy metal(loid)s. Based on the above results, it might be a good soil management to control pH with soil amendments such as lime and compost to reduce phytoavailability of heavy metal(loid)s in arable soil located near industrial complex.

호기성 미생물을 이용한 음폐수의 처리 및 자원화에 관한 연구 (Study on Reutilization with Aerobic Microbes of Organic Food Waste Leachates)

  • 강보미;황현욱;김지훈;양용운;김영주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54-59
    • /
    • 2011
  • 본 연구는 호기성 미생물에 의한 음폐수의 소멸화에 따른 감량화 특성을 확인하고 더 나아가 퇴비화로서의 가능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이에 호기성 반응조에 유기성 액상음식폐기물과 호기 호열 호산으로 알려진 미생물 제재를 이용하여 음폐수의 소멸화 및 감량화 실험을 하였다. 그 결과 액상 음식 폐기물의 반복적인 투입에도 불구하고 반응조 내의 무게 감량률은 점차 증가하여 43일에 87.3%의 감량 효과가 나타났다. 9일 이후에 pH 3.7~3.9, 강열감량 88.7~87.3% 및 유기물 함량 77.6~80.9%로 나타났다. C/N비는 8일째부터 비료기준인 25 이하로 13~15사이를 유지하였고, 염분 함량은 2% 미만이었다. 또한 중금속은 기준치 보다 훨씬 낮은 농도로 검출되었다.

유기농 토양의 화학적 특성 및 미생물상 연구 (Study on Characteristics of Chemical Properties and Microbial Flora of Organic Farming Soil in Korea)

  • 박광래;스가 유코;홍승길;이초롱;안민실;김석철;하시모토 토모요시
    • 유기물자원화
    • /
    • 제24권4호
    • /
    • pp.77-83
    • /
    • 2016
  • 유기농 밭 토양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유기농 인증을 받은 국내 15개 선도 농가를 선정하고, 밭 토양의 시료를 채취하여 유기농 인증토양에 대한 토양 이화학성 및 미생물상 조사를 실시하였다. 토양 이화학성중 pH는 4.9~7.3의 범위에서 변동하였다. 대부분의 작물은 6.0~7.0의 범위를 나타냈지만, 전남의 양파와 고구마 재배토양은 pH 4.5, 5.8의 산성을 나타내었으며, 경기의 마늘과 고추 그리고 전북의 대두 재배토양에서는 pH 7.2~7.3을 나타냈다. 이러한 토양의 알칼리화는 시용 자재에 의한 것으로 추정되었다. EC는 대부분의 조사 지역에서 관행 토양의 기준인 2 dS/m 보다 낮은 값을 보였지만, 일부 배추와 고구마 재배 토양에서는 3.9과 3.7을 나타냈다. 유효태 인산 함량은 재배 작물의 종류에 따라 크게 달라 관행 토양의 기준인 $300{\sim}500mg\;kg^{-1}$에서 크게 벗어난 $300{\sim}1,894mg\;kg^{-1}$을 나타내었다. 이것은 유기 재배 토양에는 화학 비료 대신 가축분 퇴비를 대량으로 시용하기 때문으로 추정되었다. 미생물 군집 구조 분석은 세균의 16S rDNA 및 사상균의 18S rDNA의 PCR-DGGE 분석을 실시하였다. DGGE 패턴에 기반 클러스터 분석 결과, 재배경력에 따라 5년 이하와 5년 이상으로 구분되어 재배이력이 길어질수록 토양 세균 군집이 차별화 되어 장기 유기농경지의 토양 특성 구분이 가능하였으나 사상균의 경우는 재배이력 및 지역별로 일정한 경향이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유기농경지의 미생물적 특성을 구분할 때 5년 이상된 장기재배 토양을 대상으로 세균의 군집분석을 실시하는 것이 매우 효과적일 것으로 판단된다.

용존유기탄소의 δ13C : 분석시 고형화 전처리 방법 비교 알칼린 과황산칼륨산화 탄산침전과 동결건조 (Comparison of Solidification Pre-treatment Methods for the Determination of δ13C of Dissolved Organic Carbon: Alkaline Persulfate Oxidation-Carbonate Precipitation vs. Freeze Drying)

  • 전병준;박현진;최우정;박용세;이상모;윤광식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113-118
    • /
    • 2017
  • DOC의 ${\delta}^{13}C$은 수질 오염원 규명에 활용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지표이다. 본 연구에서는 안정성동위원소비 질량분석기(EA-SIRMS)를 이용하여 DOC의 ${\delta}^{13}C$을 분석할 때 사용하는 두 가지 전처리방법 (과황산칼륨산화-$SrCO_3$침전법과 동결건조법)의 정확도를 비교 평가하였다. 표준물질로는 글루코스(${\delta}^{13}C$; $-12.0{\pm}0.02$‰)와 돈분퇴비 침출액 건조분말(${\delta}^{13}C$; $-23.3{\pm}0.04$‰)을 사용하였다. 과황산칼륨산화-$SrCO_3$ 침전법에서는 용액의 알칼리성에 의해 DIC 제거가 어렵고 공기 중 $CO_2$의 영향에 의해 시료가 오염되어 분석결과의 정확도가 매우 낮았다. 반면, 동결건조법은 산 첨가에 의해 제거가 가능하였고, 측정값과 이론값의 상관관계가 매우 높아 실험조건별로 표준물질을 이용하여 측정값을 이론값에 근접하게 보정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EA-SIRMS를 이용하여 DOC의 ${\delta}^{13}C$ 분석시 동결건조법으로 시료를 전처리하면 분석결과의 정확도를 증대시킬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