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mpost

검색결과 1,364건 처리시간 0.027초

음식물쓰레기의 재활용에 관한 시민의식 조사 (Citizen's Attitude to Recycling of Food Waste)

  • 정재춘;정원태;탁성제
    • 유기물자원화
    • /
    • 제3권2호
    • /
    • pp.91-96
    • /
    • 1995
  • 서울시민을 대상으로 퇴비화 및 퇴비에 대한 일반시민의 의식조사를 실시하였다. 대부분의 시민들이 음식물쓰레기의 처리문제를 심각한것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응답자의 91.9%가 음식물쓰레기로 퇴비를 만들수 있다는 사실을 알고 있었다. 또한 화학비료보다 음식물쓰레기로 만든 퇴비를 선호하고 있었으며 가축분뇨로 만든 퇴비보다 음식물쓰레기로 만든 퇴비의 품질을 더 좋게 생각하고 있었다. 그리고 화학비료를 주고 재배한 채소보다 퇴비를 주고 재배한 채소를 좋게 생각하고 있었으며 10~20%정도의 비싼가격을 감수할 의사가 있었다. 또한 대다수의 사람들이 퇴비화를 위한 분리배출에 대해 협조할 의사를가지고 있었으며 음식물쓰레기는 소각이나 매립보다 퇴비화로 처리해야 한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 PDF

Control of Odor Emissions Using Biofiltration: A Case Study of Dimethyl Disulfide

  • Kim, Jo-Chun;Bora C. Arpacioglu;Eric R. Allen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Atmospheric Environment
    • /
    • 제18권E3호
    • /
    • pp.153-163
    • /
    • 2002
  • A laboratory- scale dual-column biofilter system was used to study the biofiltration of dimethyl disulfide (DMDS). The gas flow rate and DMDS concentration to the biofilter were varied to study their effect on the remov-al of dimethyl disulfide. Operating parameters such as pH, temperature, and water content were monitored during the biofilter operation and necessary precautions were taken to keep these parameters within the acceptable limits. It was observed that the removal efficiency of DMDS was optimal at neutral pH values. After five month op-eration, the neutralization of the filter beds with sodium carbonate became necessary for the optimum operation of the biofilters. The microbial population already present in the compost mixtures was found to be adequate in treat-ing DMDS. The compost mixtures were found to be similar in terms of biofiltration efficiency of DMDS. However, pressure drops observed in the first column compost mixture (compost/ peat mulch) was extremely high, making this compost economically not feasible. The second mixture (compost/bark) provided pressure drops within accept-able limits. A minimum residence time of 30 seconds at the optimal operating conditions appeared to be adequate for achieving high removal efficiencies (>90%).

식물의 발아지수를 이용한 음식물 퇴비의 부숙도 평가 (Evaluation of Foodwaste-compost Maturity with the Seed Germination Index of Plants)

  • 윤은주;오정익;윤정현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6권10호
    • /
    • pp.667-671
    • /
    • 2014
  • 연구는 발효-소멸 기술을 통해 생산한 음식물 퇴비의 독성여부를 분석하고자 하는 것으로 무와 얼갈이 배추 종자를 대상으로 발아지수 분석을 통해 퇴비 독성을 분석하였다. 실험결과, 음식물 퇴비의 발아지수는 무, 배추 종자 모두 최소 104, 최대 170으로서 비료 공정규격에서 정한 기준이 70을 크게 상회하는 것으로 나타나 발효-소멸기술에 의한 음식물 퇴비가 퇴비로 사용하기에 적절한 수준으로 부숙이 이루어진 것으로 분석되었다.

Salt Removal in a Reclaimed Tidal Land Soil with Gypsum, Compost, and Phosphate Amendment

  • Lee, Jeong-Eun;Seo, Dong-Hyuk;Yun, Seok-In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8권5호
    • /
    • pp.326-331
    • /
    • 2015
  • High salinity and sodicity of soils play a negative role in producing crops in reclaimed tidal lands. To evaluate the effects of soil ameliorants on salt removal in a highly saline and sodic soil of reclaimed tidal land, we conducted a column experiment with treating gypsum, compost, and phosphate at 0-2 cm depth and measured the salt concentration of leachate and soil. Electrical conductivity of leachate was $45-48dSm^{-1}$ at 1 pore volume (PV) of water and decreased to less than $3dSm^{-1}$ at 3 PV of water. Gypsum significantly decreased SAR (sodium adsorption ratio) of leachate below 3 at 3 PV of water and soil ESP (exchangeable sodium percentage) below 3% for the whole profile of soil column. Compost significantly decreased ESP of soil at 0-5 cm depth to 5% compared with the control (20%). However, compost affected little the composition of cations below a depth of 5 cm and in leachate compared with control treatment. It was concluded that gypsum was effective in ameliorating reclaimed tidal lands at and below a soil layer receiving gypsum while compost worked only at a soil layer where compost was treated.

유기퇴비를 이용한 급경사 농경지 토양유실 저감 (Reduction of Soil Loss from Sloped Agricultural Field by using Organic Compost)

  • 고일하;강희천;권요셉;유찬;정문호;지원현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지하수토양환경
    • /
    • 제25권4호
    • /
    • pp.48-57
    • /
    • 2020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feasibility of organic compost for reducing soil loss in 25% sloped farm land. For the study, laboratory and field experiment were performed. After nine weeks monitoring in pot test, hardness of the amended soil with organic compost (1%~3%, w/w) showed two times higher than the control soil. Furthermore, soil loss of that was decreased by 95% under rainfall simulation test. From the result of laboratory experiment, organic compost with 2% (w/w) was applied for field experimental plot. After six month from April to September, the amount of soil loss became 67% of the initial, and the growth of natural vegetation was not hampered. Therefore, organic compost can be used as amendment materials to reduce soil loss in sloped farmland.

축분 퇴비화과정 중 특성변화와 축분퇴비 이용효과 (Changes of characteristics of livestock feces compost pile during composting period and land application effect of compost)

  • 정광화;강호
    • 유기물자원화
    • /
    • 제9권1호
    • /
    • pp.56-64
    • /
    • 2001
  • 경제적, 환경적 측면에서 볼 때 가축분뇨의 퇴비화는 생태계로의 유기성오염물의 직접적인 유출 위험성을 감소시킬 수 있는 저렴하고 안전한 방법이다. 본 연구에서는 가축분의 퇴비화와 관련한 세 가지 시험을 실시하였다. 시험 1은 저온기의 낮은 온도에 따른 퇴비단의 특성변화에 대한 연구를 목적으로 실시하였다. 저온에 노출된 대조구와 시험구의 퇴비화효과를 비교하기 위하여 시험구의 온도가 $35^{\circ}C$에 도달할 때까지 온풍을 공급하였다. 톱밥과 왕겨 그리고 볏짚을 수분조절재로 이용하였다. 퇴비화 기간중 퇴비단의 최고 온도는 톱밥과 왕겨, 볏짚 그리고 저온 노출구에서 각각 $75^{\circ}C$, $76^{\circ}C$, $68^{\circ}C$, $45^{\circ}C$에 달하였다. 퇴비화 기간동안 퇴비단의 수분함량과 산도, 탄질비 그리고 부피는 감소하였다. 시험 2는 작물에 의한 퇴비의 이용성을 구명하기 위하여 퇴비와 화학비료를 시용한 경작지에서 옥수수를 3년간 재배하였다. 옥수수의 수확량과 영양학적 가치를 분석하였다. 시험 1년 차에 퇴비를 시용한 구의 옥수수 수확량은 화학비료구에 비해 20%정도 적었다. 시험 2년 차에는 두 처리구 간에 차이가 없었다. 3년 차에는 퇴비구의 수확량이 더 많았다. 시험 3은 생물필터에 의한 가축분의 퇴비화시 발생되는 악취의 감소정도를 평가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톱밥, 분변토, 부숙퇴비 그리고 부엽토를 충진한 네 종류의 필터를 제작하여 시험하였다. 각각의 필터는 87~95%의 암모니아 제거율을 보였다. 이 효율은 10일 동안 유지되었다. 암모니아 최고 감소효율은 부엽토구에서 운용 1일째에 95%를 달성하였다. 분변토와 발효퇴비구의 암모니아 제거효과는 시험개시후 10일 동안 93~94%의 비슷한 수준을 보였다. 퇴비화시 발생된 황화수소와 멀캡턴 농도는 각각 $3{\sim}2mg/{\ell}$ 이하였으나 필터를 거친 후에는 검출되지 않았다.

  • PDF

퇴비제조시(堆肥製造時) Zeolite의 혼입효과에 관(關)한 연구(硏究) (Effect of Zeolite Supplement on the Composition of Compost)

  • 최대웅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223-227
    • /
    • 1983
  • 볏짚퇴비(堆肥) 제조시(製造時) 염기치환용량(鹽基置渙容量)이 큰 Zeolite를 첨가(添加)하여 퇴적기간중(堆積期間中) 각종양분(各種養分)의 함량(含量) 및 퇴비성상(堆肥性狀)의 변화(變化)를 조사(調査)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퇴비(堆肥) 제조시(製造時) Zeolite를 첨가(添加)하여 줌으로써 무첨가(無添加)에 비(比)하여 부숙온도(腐熟溫度)가 현저(顯著)히 높게 유지(維持)되는 경향(傾向)이었다. 2. 퇴적기간중(堆積期間中) $NH_4-N$, $P_2O_5$$SiO_2$ 함량(含量)은 Zeolite, 계분(鷄糞), 요소등(尿素等)의 첨가(添加)로 증가(增加)되었으며 부숙(腐熟)이 진전(進展)됨에 따라 증가폭(增加幅)이 더 큰 것으로 보아 Zeolite의 양분류실효과(養分流失效果)과 있었던 것으로 사료(思料)된다. 3. 계분(鷄糞), 요소등(尿素等)과 함께 Zeolite를 첨가(添加)하였을 때 퇴적후(堆積後) 30일(日)에 C/N율(率)이 21.7~25.0 이었고, Zeolite 무첨가시(無添加時)는 준적후(准積後) 60일(日)에야 C/N율(率)이 21.3~24.8로써 속성퇴비제조(速成堆肥製造)와 양분(養分)의 유실방지(流失防止)를 위(爲)한 Zeolite의 효과(效果)가 인정(認定)되었다. 4. 퇴적후(堆積後) 90일(日)의 C/N율(率)과 용적감소율(容積減少率)과는 부(負)의 유의상관(有意相關)이 인정(認定)되었다.

  • PDF

화학비료와 퇴비 시용으로 재배한 상추의 질산염 축적 비교 (Comparison of Nitrate Accumulation in Lettuce Grown under Chemical Fertilizer or Compost Applications)

  • 이윤정;정종배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339-345
    • /
    • 2006
  • 화학비료 표준시비량과 시중에서 구입한 퇴비 2,000 및 4,000 kg/10a 수준의 처리로 상추를 재배하여 잎 중의 $NO_3$ 축적 현상을 비교하였다. 화학비료 표준시비량 처리에 비하여 퇴비 4,000 kg/10a 수준의 처리로 상추의 수량을 충분히 확보하고 잎 중의 $NO_3$ 함량을 안전한 수준 이하로 현저히 저감시킬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용탈에 의한 질소의 유실이 거의 없는 온실 조건에서는 상추에 대한 화학비료의 현행 권장 시비수준이 과다한 것으로 판단되며, 상추를 비롯한 야채류의 $NO_3$ 함량을 낮추고 토양의 염류집적을 저감하기 위해서는 화학비료 적정 시용량에 대한 재검토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안전농산물의 생산을 목표로 하는 유기농업에서도 작물의 적정 질소 요구량을 기준으로 퇴비 등의 질소 공급자재의 시용량을 결정해야 할 것이다.

퇴비시용(堆肥施用)이 토양유실량(土壤流失量)과 토양이화학성(土壤理化學性)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ompost Application on Soil Loss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in Lysimeters)

  • 윤봉기;정필균;오세진;김선관;류인수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336-341
    • /
    • 1996
  • 경사지 토양에서 퇴비시용이 토양유실량과 토양의 이화학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기 위하여 1984년에 사양토, 양토, 식양토, 식토의 토양을 충진한 경사도 15%, 경사장 5m, 폭 2m, 길이 1.2m인 유저 Lysimeter를 설치하여 나지, 무토비, 퇴비구(1.5ton/10a)를 두고 보리-콩 작부체계로 경작해온 시험지에서 1990년과 1991년도에 조사한 2개년의 시험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토양유실량은 사양토, 식토, 양토, 식양토순으로 증가하였으며 물 유출량은 사양토, 양토, 식양토, 식토순으로 증가하였으나 침투수량은 이와 반대였다. 2. 퇴비 시용구와 무시용구의 토양유실량, 유출수량 및 침투수량의 증감비를 보면 토양유실량은 33.6~44.6%, 유출수량은 17.0~24.0% 감소하였고 침투수량은 17.1%~23.7% 증가하였다. 3. 토양유실량은 유출수량과 Y=-12.125 + 0.063 X(r = $0.970^{**}$)의 정 상관관계였고, 침투수량과는 Y = 43.415-0.096X(r = $0.917^{**}$)의 부의 상관관계였다. 4. 퇴비 시용으로 pH, OM, CEC, 유효인산, 치환성 염기함량, 공극율, 내수성 입단, 유효수분 함량이 증가하였다.

  • PDF

밭 토양에서 돈분 퇴비 시용방법에 따른 암모니아 휘산량 평가 (Evaluation of Ammonia Emission Following Application Techniques of Pig Manure Compost in Upland Soil)

  • 윤홍배;이연;이상인;김석철;이용복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15-19
    • /
    • 2009
  • 대기중으로 휘산되는 대부분의 암모니아는 농경지에서 시용하는 가축분뇨 퇴비와 질소비료에서 유래한다. 본 연구는 밭 토양에서 돈분 퇴비 시용방법에 따른 암모니아 휘산량을 소형원드터널 방법을 이용해서 정량적으로 평가하였다. 돈분 퇴비(20 Mg/ha) 표층살포(SA), 표층살포 후 즉시 경운(IRA), 표층 살포 3일 후 경운(RA-3d) 처리의 13일 동안 암모니아 휘산량은 각각 28.7, 8.7, 24.3 kg N/ha로 IRA 처리구는 SA 처리구에 비해 70% 저감효과를 가져왔다. 그리고 SA 처리구의 퇴비 처리 후 24시간 이내 휘산된 암모니아 양은 총 휘산량의 61%로 대부분의 암모니아는 시용 초기 짧은 시간 내에 휘산됨을 알 수 있었다. 석회와 퇴비 혼용시용 후 교반(L+C mix), 퇴비표층 살포 3일후 석회시용 교반(C+L3D), 석회시용 3일 후 퇴비시용 교반(L+C3D) 처리구의 22일 동안 총 암모니아 휘산량은 각각 40.1, 31.4, 27.7 kg/ha이었다. 따라서 가축분 퇴비 시용시 석회를 혼용하는 것은 피해야 하며, 만일 동일 작기내 시용이 불가피할 경우는 퇴비시용에 앞서 석회를 먼저 충분한 일수를 앞두고 시용하는 것이 암모니아 휘산량을 저감시킬 수 있다는 결론을 얻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