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mplex odontoma

검색결과 32건 처리시간 0.033초

치아종으로 인한 매복치아의 치료 증례 (IMPACTED TOOTH ASSOCIATED WITH AN ODONTOMA : CASE REPORT)

  • 백승준;이광수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394-399
    • /
    • 2000
  • 치아종은 치아 조직의 비정상적인 과성장으로 인해 형성되는 외배엽성 상피세포와 중배엽성 세포로 이루어진 혼합종양이라고 정의되며 양성 치성 종양 중에서 가장 흔한 질환이다. 최근 연구에 따르면 치아종은 신생물(neoplasm)보다는 형태와 조직 분화가 다양한 양상을 보이는 형성이상이나 과오종으로 보고 있다. 치아종은 복합 치아종(Compound Type), 복잡 치아종(Complex Type) 그리고 법랑아 섬유치아종(Ameloblastic fibroodontoma)으로 구분하고 있다. 복합 치아종은 치아와 유사한 형태를 띠고 있으며 전체 발생 비율의 약 2/3를 차지하고 있다. 복잡 치아종은 치성 조직의 비조직화된 형태로서 악골에 고르게 분포되어 발생하고 있다. 법랑아 섬유치아종의 발생은 드물다. 치아종의 병인으로는 외상, 감염, 유전 혹은 치아 발육의 유전적 조절을 방해하는 돌연변이 유전자 등이 언급되고 있다. 치아종은 종종 다양한 맹출 장애와 치아 위치에 있어 문제를 유발할 수 있다. 따라서 치아종의 가장 빈번한 발견 요인으로서는 유치의 만기 잔존과 더불어 영구치의 매복이 있다. 치아종으로 인한지연 맹출과 감별 진단해야 할 것으로서는 과잉치, 만곡치, 법랑 진주 그리고 유치의 조기 상실 등이 있다. 치아종으로 인한 매복 치아의 치료 방법으로는 우선 치아종을 제거한 후 매복 치아의 자발적 맹출을 기대하는 것이다. 이때 매복된 치아의 자발적 맹출을 기대하기 위해선 악골내 충분한 맹출 공간을 평가한 후 공간의 확보와 치근 발육이 진행중이라는 전제 조건이 수반되어야 한다. 만일 치아종을 제거한 후에도 불구하고 매복 치아의 맹출이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에는 매복 치아의 노출 후 교정적 부착장치를 위치시킨 후 강제 견인한다. 본 증례는 치아종으로 인해 영구 계승치가 매복된 환아에게서 매복치의 외과적 노출 시행 후 교정적 치료방법을 사용해 비교적 양호한 결과를 얻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 PDF

하악 협측골 시상분절술 및 장골 이식술을 이용한 거대치아종의 치험례 (A CASE REPORT OF THE HUGE COMPLEX ODONTOMA TREATED WITH THE SAGITTAL SPLITTING OF BUCCAL BONE PLATE AND ILIAC BONE GRAFT IN LEFT MANDIBLE ANGLE)

  • 김호석;송재철;김진수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15권4호
    • /
    • pp.269-274
    • /
    • 1993
  • This is the case report of huge complex odontoma treated with sagittal splitting of buccal bone plate and iliac bone graft in left mandible angle. The 22 years old patient was admitted to the department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ry of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with the chief complaint of swelling on the left mandible angle area. We used extra oral Risdon incision and splitted the buccal cortical bone after making the horizontal bone cut buccally. The tumor mass was removed with cutting into the pieces with surgical bur to prevent mandibular fracture. The dead space was grafted with autogenous iliac bone graft and the splitted buccal cortical bone was fixed with two L-type miniplate. After 12months follow up check, we noticed good process of bone healing and satisfactory aesthetic result. In this case, my operative approach provided the excellent surgical access to the hard tissue mass and minimized post operative complication comparing with the conventional surgical approaches.

  • PDF

복잡 치아종의 외과적 적출후 미맹출치의 자발적 맹출 유도 (SPONTANEOUS ERUPTION GUIDANCE OF UNERUPTED TOOTH AFTER SURGICAL REMOVAL OF COMPLEX ODONTOMA)

  • 박성연;남동우;김현정;김영진;남순현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489-494
    • /
    • 2003
  • 치아종은 치성 종양 중 가장 흔한 형태로 대체로 병소의 크기나 위치에 따라 증상이 없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성장이 제한적이다. 보통 10대 이전에 주로 진단되며 종종 영구치의 매복이나 맹출 지연을 유발한다. 형태에 따라 복합 치아종과 복잡 치아종으로 구별된다. 복잡 치아종은 치성 조직이 조직화되지 않은 덩어리로 형태학적으로 정상 치아 형태를 닳지 않으며 전체 치아종의 약 25%, 악골내 발생하는 치성 종양의 약 22%를 차지하고 남성에서 하악 구치부에 호발한다. 치아종의 원인은 아직 밝혀져 있지 않으나, 아마도 해당 부위의 국소적인 외상, 감염, 유전적 원인이 관여 할 것이라 추측된다. 치아종의 치료는 대부분 보존적인 외과적 적출술이 추천되며 재발은 거의 없다. 본 증례는 상악 제 1대구치의 매복을 일으킨 복잡 치아종으로 진단된 두 어린이에게서 병소의 외과적 적출술 및 개창술을 시행하고 관찰한 결과 약 2년후 제 1 대구치가 자발적으로 맹출함을 보여 이에 보고하는 바이다.

  • PDF

치아종을 동반한 석회화 치성낭의 치험례 (CALCIFYING ODONTOGENIC CYST ASSOCIATED WITH COMPLEX ODONTOMA : CASE REPORT)

  • 이상엽;김대업;이광희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645-650
    • /
    • 2004
  • 석회화 치성낭은 비교적 드문 낭으로 하나의 독립된 유형의 치성 병소로 인정받고 있지만, 조직학적 소견이 다양하고 분류체계도 학자들마다 다르다. 석회화 치성낭의 이장상피는 중층편평상피로 되어 있으며, 상피층 내에 특징 세포인 유령세포가 출현한다. 유령세포들은 인접한 결합조직 에 치성조직을 유도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어 법랑모세포종, 법랑모세포 치아종, 법랑모세포 섬유치아종, 치아종 등의 치성종양이 합병되어 발생하기도 한다. 외과적 제거 후 재발율은 적지만 치성종양이 병발될 경우가 있기 때문에 반드시 조직병리학적 검사를 수행하여야 한다. 7세 남아가 상악 좌측 중절치의 미맹출을 주소로 원광대학교 치과병원 소아치과에 내원하였다. 방사선 사진에서 맹출되지 않은 상악 좌측 중절치 및 측절치 치관 상방에 방사선 불투과성 물질이 보였다. 초기 임상적 방사선학적 검사 결과 치아종으로 진단하였으며, 외과적 적출 및 생검을 시행하였다. 적출물은 불규칙적인 석회화 물질로 구성된 복잡 치아종 양상을 보였으며 상피조직으로 싸여 있었다. 조직병리학적 검사 결과, 이장상피에서 유령세포의 군집이 관찰되었고, 석회화 조직은 법랑질, 상아질 형태의 조직들이 혼합된 양상을 보여, 복잡 치아종을 동반한 석회화 치성낭으로 진단하였다. 본 증례에서와 같이 매복치 상방의 치아종 양상의 병소가 관찰되었을 때 석회화 치성낭의 가능성을 염두에 두어야 할 필요가 있다.

  • PDF

Complex dental anomalies in a belatedly diagnosed cleidocranial dysplasia patient

  • Lu, Hui;Zeng, Binghui;Yu, Dongsheng;Jing, Xiangyi;Hu, Bin;Zhao, Wei;Wang, Yiming
    • Imaging Science in Dentistry
    • /
    • 제45권3호
    • /
    • pp.187-192
    • /
    • 2015
  • Cleidocranial dysplasia (CCD) is a rare congenital disorder, typically characterized by persistently open skull sutures, aplastic or hypoplastic clavicles, and supernumerary teeth. Mutations in the gene encoding the runt-related transcription factor 2 (RUNX2) protein are responsible for approximately two thirds of CCD patients. We report a 20-year-old CCD patient presenting not only with typical skeletal changes, but also complex dental anomalies. A previously undiagnosed odontoma, 14 supernumerary teeth, a cystic lesion, and previously unreported fused primary teeth were discovered on cone-beam computed tomography (CBCT) scans. Mutation analysis identified the causal c.578G>A (p.R193Q) mutation in the RUNX2 gene. At 20 years of age, the patient had already missed the optimal period for dental intervention. This report describes the complex dental anomalies in a belatedly diagnosed CCD patient, and emphasizes the significance of CBCT assessment for the detection of dental anomalies and the importance of early treatment to achieve good outcomes.

복잡 치아종으로 인한 매복치아의 교정적 견인 (THE ERUPTION GUIDANCE OF AN IMPACTED TOOTH ASSOCIATED WITH A COMPLEX ODONTOMA : CASE REPORT)

  • 박정아;양규호;최남기;김선미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651-657
    • /
    • 2007
  • 치아종은 치성 종양 중 가장 흔한 형태로 증상이 없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종종 영구치의 매복이나 맹출지연을 유발한다. 이는 치아를 구성하는 법랑질, 상아질, 백악질, 치수로 구성되며, 형태에 따라 복합 치아종과 복잡 치아종으로 구분된다. 복합 치아종은 다수의 작고 치아와 유사한 형태를 지니며 상악 전치부에 호발하고, 복잡 치아종은 무정형의 치성조직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전체 치아종의 약 25%를 차지하고 하악 구치부에 호발한다. 치아종의 병인은 확실치는 않으나 국소적인 외상, 감염, 유전적 요인이 관여할 것이라 추측된다. 치료는 보존적인 외과적 적출술이 추천되며 재발은 거의 없다. 다음의 두 증례는 각각 하악 제 1대구치와 하악 측절치의 맹출 지연을 주소로 본원에 내원한 환아들로, 매복치 상방의 복잡 치아종을 외과적 적출술을 시행하고 매복치의 외과적 노출 및 교정적 견인을 시행하여 양호한 결과를 보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 PDF

Clinical and radiological characteristics of odontomas: A retrospective study of 90 cases

  • Dung Kim Nguyen;Duong Van Huynh
    • Imaging Science in Dentistry
    • /
    • 제53권2호
    • /
    • pp.117-126
    • /
    • 2023
  • Purpose: Odontomas represent a common clinical entity among odontogenic tumors, but are not well-addressed in the Vietnamese population. The present study aimed to determine the clinical and preclinical characteristics of odontomas and associated factors in the Vietnamese population. Materials and Methods: This retrospective study retrieved data from histopathological diagnoses from 2 central hospitals of Odonto-Stomatology in Ho Chi Minh City, Vietnam during 2004-2017. The odontomas were classified as complex (CxOD) or compound (CpOD) subtypes. The epidemiological, clinical, and radi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odontomas, stratified by subtype and sex, were obtained and analyzed. Results: Ninety cases, consisting of 46 CxODs and 44 CpODs, were included. The average age of patients was 32.4 (±20.2) years. The patients with CxOD were older than those with CpOD (P<0.05). Clinically, 67% of patients showed an intraoral bone expansion. Approximately 60% of patients with CxOD exhibited a painful symptom, about 3-fold more than those with CpOD (P<0.05), whereas almost all patients with CpOD exhibited perturbations of dentition, unlike those with CxOD (P<0.05). Radiologically, CxOD was characterized by a larger dimension than CpOD in both sexes (P<0.05), and CpOD induced complications in adjacent teeth more often than CxOD (P<0.05). The development of odontoma with advancing age differed significantly in odontoma subtypes related to their pathological origins, and between the sexes, resulting from different physiological states. Conclus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highlight the value of clinical and radiological features of odontomas and their associated factors for the early diagnosis and adequate treatment of younger patients.

악골에 발생한 양성 치성종양의 임상 및 방사선학적 연구 (CLINICAL AND RADIOGRAPHIC STUDY OF BENIGN ODONTOGENIC TUMORS IN THE JAWS)

  • 김경예;박창서
    • 치과방사선
    • /
    • 제19권1호
    • /
    • pp.89-101
    • /
    • 1989
  • The author observed and analyzed the age, sex, chief complaint and radiographic finding of sixty-one cases of benign odontogenic tumors seen in Yonsei Medical Center, for the period of Jan. 1979 to Aug. 1989.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Benign odontogenic tumors of 61 cases included 52 cases (85.3%) of ameloblastoma and odontoma, and 9 cases of other lesions. Radiographically, the border of the lesions were well-defined. 2. Ameloblastoma constituting twenty-seven cases (44.3%) occurred the average age of 31.1 years and had a 3:1 male predominance. The most common complaint was swelling (20 cases, 74.0%) and followed by pain (13 cases, 48.2%). Radiographically, the most common site was mandibular body area (74.0%) and the lesions were mainly multiocular radiolucency; in 17 cases (63.0%) and unilocular radiolucent lesion were seen in 10 cases (37.0%). 16 cases (59.3%) showed the resorption of roots of adjacent teeth. 3. Odontoma constituting twenty-five cases (41.0%) discovered at the average age of 16.9 years and had a 3:2 male predominance. The most common complaint was delayed eruption of tooth (8 cases, 31.0%) and 7 cases (27.0%) detected on a routine radiograph of the area. Radiographically, 17 cases (68.0%) were of compound type and 8 were of complex variety and compound odontomas were common in the anterior maxilla, whereas complex odontomas occurred more frequently in the posterior mandible. 19 cases (76.0%) showed the impaction of adjacent teeth.

  • PDF

치아종의 임상적 특징과 치료에 대한 후향적 연구 (Retrospective Study of the Characteristics and Treatment of Odontomas)

  • 문유진;이대우;김재곤;백병주;양연미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2권2호
    • /
    • pp.164-171
    • /
    • 2015
  • 치아종은 상피성 치성 종양에 속하며 악골내 치성 종양 중에서 가장 흔한 질환으로 보통 유치의 만기 잔존이나 영구치의 매복과 연관되어 나타난다. 본 연구는 2005년 1월부터 2014년 3월까지 전북대학교 치과병원에서 치아종으로 진단을 받은 74명의 환자에서 발견된 치아종 75증례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남자가 42명(56.8%), 여자 32명(43.2%)으로 남자에서 약 1.3배 정도 높은 발생률을 보였다. 치아종으로 진단받은 환자들의 평균 나이는 10.3세이며, 치아종의 위치는 상악 48%(36개), 하악 52%(39개)로 균등하게 분포되어 있었다. 치아종과 관련된 임상 증상으로는 인접 치아의 매복 76%, 유치의 만기 잔존 52%, 인접 치아들의 전위 또는 회전이 32%로 나타났다. 치아종은 대부분 외과적으로 제거되었으며, 제거 후 자발적으로 맹출한 경우가 17증례, 영구치 맹출을 위해 추가적 치료가 필요했던 경우가 25증례, 매복된 치아의 예후가 불량할 것으로 판단되어 발치를 한 경우가 9증례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