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mmunity festival

검색결과 79건 처리시간 0.031초

Analysis of Festival Ordinances of Gyeonggi Province: Focusing on Developing A Representative Festival of Seongnam City

  • PARK, Hyun Jung;HAN, Seon Mi;KWON, Ki Hyun;SEO, Won Jae
    • Journal of Sport and Applied Science
    • /
    • 제5권1호
    • /
    • pp.1-9
    • /
    • 2021
  • Purpose: In Seongnam City, a number of festivals are held in various areas, led by the city and private organizations. The necessity of developing a representative festival of Seongnam City, which can enhance the brand value of Seongnam, a cultural city, and promote a sense of local community and economic effects, is emerg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festival-related ordinances of Gyeonggi-do local governments, and to derive implications necessary for the development of festival support ordinances representing Seongnam City.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This study used the database of National Legal Information Center of the Ministry of Legislation and the autonomous legal information system to thoroughly investigate the ordinances related to festival support of basic local governments in Gyeonggi-do and the whole country. To do this,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was conducted. Results: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found that 168 organizations (68.6%) of 245 local governments nationwide have adopted the festival support ordinance, and there are a total of 231 ordinances. In the case of basic organizations, out of 228 basic organizations, 151 organizations, including Seongnam City, adopted the ordinance on festival support, showing an adoption rate of about 66%.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basic organizations that enacted representative festival related ordinances among Gyeonggi-do basic organizations, 9 out of 28 cities adopted 16 representative festival ordinances, based on the legal and institutional basis for supporting representative festivals. Conclusions: In the case of Seongnam City, it is believed that in order to develop a representative festival, an ordinance to support the representative festival must be established. Considerations regarding the composition of the ordinance for the representative festival were discussed.

위치 정보기반의 지역 축제 콘텐츠 활성화를 위한 모바일 커머스 및 정보 알림 시스템에 관한 연구 (A Novel of Mobile Commerce and Information Notice System for Local Festival Content Activation based on Location Information)

  • 정세훈;박선민;심춘보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8권6호
    • /
    • pp.780-791
    • /
    • 2015
  • Recently, it is being held festival according to regional and seasonally cultural feature in nationwide. Especially, local festivals are being provided festival information services a variety of forms for tourists depending on development of information device. However, systems to provide notification information of local festivals are not persistent but mostly short term service. In this paper, we propose a mobile commerce and information notification system through festival information alerts and festival surrounding information using local based on service. In addition, we implement a festival information notification system that applies to beacon based on bluetooth in order to inform them on diverse festival. Finally, we take into account in terms of design of system using object-oriented design modeling to improve reusability of proposed system.

지역전통의 활성화와 이벤트관광 - 영암 구림리 왕인문화축제를 사례로 - (Revitalization of Local Tradition and Event Tourism - In case of Wang-In Cultural Festival in Kurim-ri, Yongam -)

  • 추명희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67-82
    • /
    • 2001
  • 최근 한국의 지역사회에서는 지역전통과 문화적 자산 등이 재발견되고 자원화됨으로써 이를 이벤트관광으로 활성화시키려는 노력들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연구는 해당지역내 독특한 지역전통과 문화적 자산 등을 축제주제로 부각시켜 전남지역의 대표적인 이벤트관광으로 자리잡아 가고 있는 영암 구림리의 왕인문화축제를 사례로 초기 왕인문화축제의 추진배경과 이후 현재까지의 성장과정을 축제내용 분석을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왕인문화축제는 1993년 제1희 왕인벚꽃축제의 5천만원 예산규모로 출발하여 2000년 현재 3억 4천 만원의 예산규모와 약 50만명이 방문하는 대형축제로 성장하였다. 이러한 규모의 성장과 함께 축제 프로그램의 구성과 내용에도 많은 변화가 있었는데, 가장 큰 변화는 1997년부터 '왕인박사춘향대제'라고 하는 유림들의 제사가 왕인문화축제의 핵심적인 프로그램으로 포함되면서부터이다. 이후 왕인박사와 관련한 축제프로그램이 급격하게 증가하였는데, 이러한 축제의 규모와 프로그램 구성에 있어서의 결정적인 변화는 왕인축제의 추진체계가 초창기(1993년${\sim}$1996년)의 군서청년회에시 1997년 영암군으로 전면 이양되면서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순수 민간주도형 지역축제로 출발했던 광인문화축제는 그러나 1997년 영암군이 강력한 주도집단으로 등장하면서 축제의 규모와 내용면에서 많은 변화를 가져온 것은 사실이지만, 축제를 통한 지역문화가 지역내로 자연스럽게 뿌리내리는데 필요한 제도적 장치나 과정이 제대로 고려되지 못한 채 현재에 이르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이러한 근본적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일년 내내 축제 개최와 관련된 준비를 하는 민간주도의 상설기구가 요구된다. 그리고 지역축제를 통해 지역의 총체적인 성장을 도모하고 지역문화환경의 내적 성장을 위해서는 지역내 역량있는 문화단체를 발굴, 육성하는 것이 필수적으로 선행되어야 할 과제로 나타났다.

  • PDF

지역축제 서비스 품질의 방문객 만족 영향요인 - 기지시 줄다리기 축제 - (Factors Influencing Visitors' Satisfaction in Local Festival - Case of Gigisi Folk Festival -)

  • 신현배;박덕병
    • 농촌지도와개발
    • /
    • 제25권4호
    • /
    • pp.199-210
    • /
    • 2018
  • The concept of visitor satisfaction and service quality are notably two important concepts in marketing. Two concepts are important in addressing theoretical as well as practical issue for marketers and consumer researchers. The study aims to identify the factors influencing visitor satisfaction in local folk festival. Data were collected from 432 residents of festival visitors through structured survey questionnaires. Results showed that whereas program contents and staff were more like positively to affect visitor satisfaction, accommodation and amenity affected visitor satisfaction negatively. Therefore, in order to visitors' satisfaction, practitioners and policy makers need to develop program contents and staff ability.

유럽의 지역축제에 나타난 토테미즘 복식 연구 -융의 상징이론을 중심으로- (A Study on Totemism Costume of Europe Local Festival -Based on the Symbolic Theory of C. G. Jung-)

  • 어경진;하지수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1-11
    • /
    • 2016
  • Traditional costumes have evolved while reflecting the social, cultural and psychological values of the era. Costumes gain meaning by being worn that also allows their various symbolic meanings to be derived. Costumes worn in festivals by specific societies and organizations have especially apparent symbolism pertaining to their purpose. Most countries have traditional festivals that embody the country's distinct culture, history and traditions. These festivals are acts of consciousness expressing a special meaning of the community. Costumes represent a glimpse of life and culture during a festival period; in addition, the costume's style, color elements and decorations are expressions of community values and a distinct symbolic mechanism. Totemism (a significant element of these festivals) has been passed down for many generations. The current costumes for Totemism are distinct (compared to normal festival costumes) and embody a more symbolic meaning. This study deduces the exaggerated style, the concealment and disguise of the human body, and the pursuit of pleasure expressed in the Totemism costumes of regional European festivals. The symbolization theories of C. G. Jung and an analysis of Totemism costumes allow an understanding of their existential significance, their role as the medium between consciousness and unconsciousness, their meaning of symbolic transcendental unity, and their meaning of giving consciousness to the mind.

지역 축제와 연계한 향토 음식 개발 방안 - 함평 "나비축제"를 중심으로 - (Development of Native Local Foods Associated with Regional Festival - Focused on Hampyeong "Butterfly Festival" -)

  • 장정옥;윤혜경;이영미;정재홍;양미옥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428-435
    • /
    • 2008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ovide the information necessary for the development of native local foods associated with the "2008 World Insect Festival in Hampyeong" and to contribute to the efforts to market the festival as tourist attraction and increase the income of the local community. To assess the local foods and restaurants, we investigated the principal products, inclination for sightseeing and recognition of the "Butterfly festival" by distributing questionnaires to local restaurant operators, employees and general tourists. The result was as follows: 1. The general tourists chose scenery as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a sightseeing tour, followed by food, lodging, and transportation. 2. The tourists enjoyed eating native local foods, and they indicated that the taste was important. 3. Regarding the cost of food, 53.6% of the respondents answer that 10 to 20 thousand won was a resonable price, and they also reported wanting to eat seafood in Hampyeong. Thus the Menu of seafood to be served at the Hampyeong festival needs to be developed first followed by that of the healthy food. This result showed that individuals prefer fish to meat and healthy food to high-calorie foods.

  • PDF

지역축제의 영향에 대한 지역주민의 지각 차이 분석 (Residents' Perception Differences on the Community Festival Impacts)

  • 조배행;박종진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68-81
    • /
    • 2007
  • 이 연구에서는 지역축제가 지역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주민의 지각을 관광관련 여부에 따른 집단 간의 차이를 중심으로 분석하여 사회교환이론의 적응가능성을 확인하고 향후 지속가능한 지역축제 개발을 위한 정책 및 마케팅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금산 인삼축제의 개최에 대한 관광산업관련 여부에 따른 지역주민의 지각차이 검증 결과 관광산업 관련 집단의 긍정적 축제영향은 보다 긍정적으로 지각하고 부정적 축제영향은 덜 부정적으로 지각하는 것으로 밝혀졌는데 이는 사회교환이론의 관점에서 사회적 비용보다 편익이 더 많은 것으로 지각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으며, 또한 소위 부담 보다는 보수가 더 높은 것으로 지각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지역축제 개최시 관광산업 관련 여부에 따른 지역주민의 지각차이를 감안하여 차별화된 지역 사회의 관심과 협력을 각각 별도로 수용하여 축제의 기획과 관리에 반영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추후 지역축제에 대한 지역주민의 영향지각에 대한 조사를 지속적으로 실시하고 그 결과에 대한 세심한 모니터링을 함으로서 향후 지속가능한 축제가 성공적으로 진행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지방자치단체가 무형유산 공동체에 미치는 영향 - 외고산 옹기마을 사례를 중심으로 - (A Case Study on the Influence of the Local Government to 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Community - Focused on Oegosan Onggi Village -)

  • 이채원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44권4호
    • /
    • pp.4-17
    • /
    • 2011
  • 외고산 옹기마을은 옹기산업사적 의의와 더불어 문화유산으로서의 가치가 공존하고 있는 특징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마을은 오랜 동안 개발제한구역으로 지정된 탓에 개발에 따른 제약으로 옹기작업 환경이 열악하였다. 2000년대 들어 참살이에 대한 관심고조와 옹기장의 지방문화재 지정 등으로 옹기의 문화적 가치 인식이 높아지는 상황에서 울산광역시와 울주군은 지역 관광자원으로서 외고산 옹기마을을 주목하였다. 먼저, 문화관광자원화사업을 통해 마을의 환경을 개선하였으며, 옹기축제의 적극적 참여를 통해 축제의 외형적 성장을 이루었다. 그리고 마을의 옹기장들을 울산광역시 무형문화재로 지정하였다. 이러한 일련의 활동은 마을의 활성화를 위한 노력이었으나 문화관광자원화사업의 경우 관광자원화에 초점이 맞춰지다보니 옹기장의 작업여건을 충분히 고려하지 못하여 오히려 이전보다 작업여건이 불편해지는 결과를 가져오기도 하였다. 다음으로 옹기축제의 경우는 행사 규모나 방문객 등 외형적 성장을 이뤘으나 축제의 정체성이 다소 약화되고 장인들의 참여가 소극적으로 되는 결과를 가져왔다. 마지막으로 무형문화재 지정은 각 옹기점의 생산규모나 산업화 정도를 무시한 일방적 결정으로 옹기장들은 그들 특유의 경쟁관계와 더불어 무형문화재 유지와 해제라는 갈등관계에 놓이게 되었다. 지방자치단체의 문화행정은 해당 무형유산에 미치는 영향이 크기 때문에 무형유산 커뮤니티로서 지방자치단체의 바람직한 역할과 기능에 대해 모색할 필요가 있다.

지역축제 매력성에 대한 지역주민 인식이 지역자긍심에 미치는 영향 -동래읍성역사축제를 중심으로- (The Effect of Perceived Attractiveness of Local Festival on the Esteem of Residents -Focusing on Dongnae Historical Festival-)

  • 김한주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2권2호
    • /
    • pp.203-210
    • /
    • 2014
  • 본 연구는 지역축제의 성공적 개최 및 사회문화적 파급효과를 높이기 위해 동래읍성역사축제를 대상으로 지역주민들의 축제에 대한 매력성, 축제만족도 및 지역자긍심 간의 영향관계를 파악하는데 연구목적이 있다. 자료수집은 2013년 10월 11일부터 13일까지 동래읍성역사축제를 방문한 지역주민 22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지역축제의 매력성은 지역주민의 축제만족에 유의한 영향관계를 보였으며, 축제만족은 지역주민들의 지역자긍심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축제의 매력성 중에서 지역축제의 신기성과 재미성이 강력한 영향력을 행사하며, 축제의 내용성, 독특성, 편의성 등이 모두 지역주민의 만족을 유인하는 강력한 수단이 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도출결과를 바탕으로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들이 논의되었다.

전통지식 자원의 활용실태 연구 (A Study on the Actual Utilization of Traditional Knowledge Resources)

  • 김행란;최배영;유명님;김미희;강경하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93-106
    • /
    • 2003
  • The main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study and analyze the actual utilization of traditional knowledge resources and to search for methods to activate local communities through utilization of traditional knowledge resources best suited for us. For this study, data listed on the internal web sites during August 2002 to October 2002 were searched and analyzed. In terms of statistical analysis, frequency, percentage, and x$^2$-test were operated using the SPSS 10.0 program.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raditional knowledge resources utilized throughout the nation totaled to 8,906 cases. These utilized resources composed of 48.0% of tangible resources, 32.3% of environmental resources, and 19.8% of intangible resources and such utilized resources were in order of life-skill, scenery, ruins and relics, community activity, exhibition, and folklores. 2) Tourism, merchandising, and festival were the major types of utilization of traditional knowledge resources, while education was the relatively minor portion in utilization type. 3) Compound linking of traditional knowledge resources, utilization type, and utilizing body showed links such as life skill-merchandising-civilian, ruins and relics-tourism-government, folklore-festival-civilian, scenery-tourism-government, and exhibition-education-civilia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