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mmunity Forest

검색결과 1,317건 처리시간 0.026초

한려해상국립공원 거제도지구 곰솔-소나무림의 식물군집구조와 분포밀도 (Plant Community Structure & Distribution Density of Pinus thunbergii-Pinus densiflora Forest in Kojedo District, Hallyo-Haesang National Park)

  • 이경재;한봉호;김종엽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361-372
    • /
    • 1999
  • 한려해상국립공원내 거제도지구 곰솔-소나무림의 식물군집구조와 분포밀도를 규명하기 위해 32개 조사구(10m$\times$10m)를 설정하였다 DCA분석 결과 곰솔군집, 곰솔-소나무군집, 소나무군집으로 분리되었고, 각 군집의 천이경향은 불명확하였다. 조사구별 교목층의 곰솔과 소나무의 분포밀도 현황에 대해 단순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분포거리 (m) = 0.094$\times$흉고직경 (cm)-0.1248, 개체수=1,820.1$\times$흉고직경 $(cm)<^{-1.6734}$ , 분포거리 (m) = 6.6805$\times$$개체수^{-0.5425}$

  • PDF

설악산 상천 계곡의 황철나무 (On the Populus maximowiczii Forest of Sangcheon Ravine, Mt. Seolag)

  • Yim, Yang-Jai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27권2호
    • /
    • pp.95-103
    • /
    • 1984
  • The Populus maximowiczii dominated forest of the Sangcheon ravine, Mt. Seolag, is distributed in the area with the conglemerates substrate, along the ravine stream from 170m to 550m in altitude. Toward the both slopes of the northern and southern peak from the stream side, the zonal distribution of vegetation was recognized; P. maximowiczii forest of Pinus densiflora forest and deciduous broad leaved forest. The pure community of P. maximowiczii with even more 80-98% in relative basal area (aspen basal area/basal area) was found in the ravine area from 360m to 420m in altitude, the optimal ranges in the species and community by two dimensional ordination with thermal and xeric cline axis. The species compete with Pinus densiflora, in the ravine stream side, and with deciduous broad leaved tree species such as Fraxinus rhynchophylla, Prunus sargentii, Lindera obtusiloba, in the mountain slope sides. On the other hand, the ravine vegetation, including the aspen forest, was classified into Pinus densiflora, Pinus densiflora-Carpinus laxiflora, Pinus densiflora-Populus maximowiczii, jessoensis, Acer mono-Fraxinus rhynchophylla, Carpinus laxiflora-Quercus mongolica, Quercus variabilis-Quercus ariena, Quercus ariena, Quercus variabilis-Stephanandra incisa, Picrasma quassioides-Celtis sinensis, Betula davurica-Zanthoxylum schinifolium and Styrax obassia-Lindera obtusiloba association.

  • PDF

Estimation of Carbon Stock in the Chir Pine (Pinus roxburghii Sarg.) Plantation Forest of Kathmandu Valley, Central Nepal

  • Sharma, Krishna Prasad;Bhatta, Suresh Prashad;Khatri, Ganga Bahadur;Pajiyar, Avinash;Joshi, Daya Krishna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36권1호
    • /
    • pp.37-46
    • /
    • 2020
  • Vegetation carbon sequestration and regeneration are the two major parameters of forest research.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vegetation carbon stock and regeneration of community-managed pine plantation of Kathmandu, central Nepal. Vegetation data were collected from 40 circular plots of 10 m radius (for the tree) and 1m radius (for seedling) applying a stratified random sampling and nested quadrat method. The carbon stock was estimated by Chave allometric model and estimated carbon stock was converted into CO2 equivalents. Density-diameter (d-d) curve was also prepared to check the regeneration status and stability of the plantation. A d-d curve indicates the good regeneration status of the forest with a stable population in each size class. Diversity of trees was very low, only two tree species Pinus roxburghii and Eucalyptus citriodora occurred in the sample plots. Pine was the dominant tree in terms of density, basal area, biomass, carbon stock and CO2 stock than the eucalyptus. The basal area, carbon stock and CO2 stock of forest was 33±1.0 ㎡ ha-1, 108±5.0 Mg ha-1 and 394±18 Mg ha-1, respectively. Seedling and tree density of the plantation was 4,965 ha-1 and 339 ha-1 respectively. The forest carbon stock showed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biomass, tree diameter, height and basal area but no relationship with tree density. Canopy cover and tree diameter have a negative effect on seedling density and regeneration. In conclusion, the community forest has a stable population in each size class, sequestering a significant amount of carbon and CO2 emitted from densely populated Kathmandu metro city as the forest biomass hence have a potentiality to mitigate the global climate change.

독일(獨逸) Eifel 지방(地方) 구주적송(九州赤松)(Pinus sylvestris) 조림지(造林地)의 식물사회학적(植物社會學的) 분류(分類)와 생태적(生態的) 특성(特性) (Phytosociological Classification and its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Pinus sylvestris Plantations in Eifel, Germany)

  • 이영근;조현제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9권3호
    • /
    • pp.378-383
    • /
    • 2000
  • 독일 Eifel 산맥일대 구주적송(Pinus sylvestris) 조림지의 생태학적 산림경영을 위한 기본정보를 수집하기 위하여 식물사회학적 방법으로 산림식생이 분류되었으며, 분류된 각 군락에 대하여 그들의 생태학적 특성이 분석, 기술되었다. 유럽적송 인공림은 적습지의 Vaccinium myrtillus-Pinus sylvestris군락, 습지의 Pteridium aquilium-Pinus sylvestris 군락, B층 토양이 굳어진 Molinia caerulea-Pinus sylvestris 군락 그리고 건조지의 Festuca tenuifolia-Pinus sylvestris 군락으로 구분되었다. 관목층이하의 교목성 수종을 토대로 천이경향을 분석한 결과, V. myrtillus-P. sylvestris 군락, Pteridium aquilium-Pinus sylvestris 군락 그리고 Molinia caerulea-Pinus sylvestris 군락은 참나무류림의 도중단계를 지나 유럽너도밤나무(Fagus sylvatica)림으로, Festuca tenuifolia-Pinus sylvestris 군락은 구주적송이 극상림으로 남을 것으로 예상되었다.

  • PDF

삼림군집구조 조사를 위한 조사구 크기에 관한 연구(I) -소백산지역 활엽수혼효림군집 교목층의 적정 조사구수- (Plot Size for Investigating Forest Community Structure(I) -Adequate Number of Plots of Tree Stratum in a Mixed Deciduous Forest Community at Sobaeksan Area-)

  • 박인협;이경재;조재창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162-167
    • /
    • 1993
  • 빈도측정을 고려 한 삼림군립구조 조사시 교목층의 적정 조사구수를 결정하기 위하여 우점종인 물푸레나무의 중요치가 28.1%인 소백산지역 활엽수혼효림군집의 교목층을 대상으로 20개의 l0m $\times$ l0m 조사구를 설치한 후 종수-면적 곡선, performance curve, 통계학적 방법 등을 적용하였다. 종수-면적 곡선에 있어서 누적조사구수의 증가율보다 출현종수의 증가율이 낮은 최소 조사구수는 8개이었으며, 누적조사구수의 증가율에 비하여 출현종수의 증가율이 1/2 이하인 최소 조사구수는 11개이었다. 주요수종의 중요치에 의한 performance curve를 작성한 결과 우점종과 준우점종의 구분이 뚜렷해지는 최소 조사구수는 5개이었으며, 준우점종간의 구분도 뚜렷해지는 최소조사구수는 10개이었다. 따라서, 삼림군집 구조의 기본적인 측도인 출현종수와 중요치를 고려할 때 본 조사지에 있어서 l0m $\times$ l0m 교목층 조사구의 적정 조사구수는 10개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때, 군집을 대표한다고 할 수 있는 20개 전체조사구와의 유사도지수는 90% 이상이었으며, 모집단인 군집 종다양도에 대한 신뢰구간은 $\pm$0.073이었다.

  • PDF

전라남도 고흥군 우량 산림습원의 군락구조 및 천이경향 (Community Structure and Vegetation Succession Tendency of Outstanding Forest Wetlands in Goheung-gun, Jeollanam-do)

  • 이준혁;이정은;변준기;안종빈;김호진;윤충원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51-61
    • /
    • 2024
  • 본 연구는 전라남도 고흥군 소재 우량 산림습원 2개소를 대상으로 군락구조를 파악하고 그에따른 천이경향을 구명하고자 수행되었다. 2023년 5월부터 10월까지 Z-M학파의 식물사회학적 방법에 의해 식생조사를 실시하였고 이 자료를 토대로 군락을 분류하여 현존식생도를 작성하였다. 그 결과, 골풀아재비군락, 꽝꽝나무-진퍼리새군락, 오리나무진퍼리새군락, 진퍼리새군락, 오리나무-소나무군락, 오리나무군락의 총 6개 군락으로 분류되었다. 각 층위별 중요치를 분석한 결과, 골풀아재비군락에서는 절대습지식물인 골풀아재비의 중요치가 높게 나타났으며 나머지 5개 군락의 아교목층과 관목층에서는 습지의 극상종인 오리나무, 절대육상식물인 소나무와 꽝꽝나무가, 초본층에서는 중간습원의 대표종인 진퍼리새의 중요치가 높게 나타났다. 조사지 내 출현한 모든 관속식물을 습지선호도에 따라 분류한 결과, 골풀아재비군락에서는 절대습지식물의 출현율이 높게 나타났으나 나머지 5개 군락에서는 절대육상식물의 출현율이 높게 나타났다. 골풀아재비군락을 제외한 나머지 5개 군락에서는 우량 산림습원을 구성하는 식물 중 육상식물의 출현비율이 높고, 습지가 건조화되는 단계에서 나타나는 진퍼리새가 번성하고 있어 습지의 천이 및 육화가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설악산 아고산대 산림의 식생구조 (Vegetation Structure of Subalpine Forest Zone in Mt. Seorak)

  • 송연희;윤충원
    • 환경생물
    • /
    • 제24권3호
    • /
    • pp.268-274
    • /
    • 2006
  • 설악산(대청봉 1,708m)아고산대 산림식생을 대상으로 2005년 6월부터 2005년 8월까지 81개의 방형구를 설치하여 Z-M식물사회학적 방법으로 식생구조의 유형분류를 실시하였던바 설악산의 아고산대 산림식생은 분비나무군락군 유형으로 크게 분류되었고, 군락단위에서는 철쭉군락과 개들쭉군락, 철쭉군락은 만주고로쇠군과 잣나무군 (시닥나무소군과 뽕잎피나무소군), 개들쭉군락은 눈잣나무군과 눈향나무군으로 각각 세분되었으며, 총5개의 식생유형으로 나타났다.

금산 서대산의 임분 특성 및 군락 분류 (Classification and Characteristics of Forest Community in Seodaesan, Geumsan)

  • 지윤의;송호경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7권5호
    • /
    • pp.38-46
    • /
    • 2004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analyze forest vegetation in Seodaesan of Geumsan, Chungnam Province. Employing the releve method of Braun-Blanquet and quadrat method, 36 plots were sampled in forest of Seodaesan. The sub-communities were classified into Pinus densiflora, Acer pseudosieboldianum, and Carpinus laxiflora sub-community of Quercus mongolica community. The importance values were 77.07 in Quercus mongolica, 40.79 in Pinus densiflora, 17.03 Fraxinus rhynchophylla, 14.06 in Fraxinus sieboldiana, 13.99 in Quercus serrata, 12.93 Acer pseudosiebotdianum. Coverage rate was 84.6% in tree layer, 52.8% in subtree layer, 29.1% in shrub layer, 27.9% in herb layer, respectively. Most of the DBH of Quercus mongolica and Pinus densiflora was between 5cm and 20cm. Therefore, Quercus mongolica and Pinus densiflora might be dominant species in the study area for several decades. Acer pseudosieboldianum and Carpinus laxiflora sub-communities were distributed mainly in a high-altitude and northern and north-western area. Pinus densiflora sub-community was distributed mainly in a low-altitude and western area.

홍도 상록활엽수림 지역의 식물군집구조 (Plant Community Structure of Warm Temperate Evergreen Broad-Leaved Forest in Hongdo, Korea)

  • 오구균;조우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27-42
    • /
    • 1994
  • 홍도지역 상록활엽수림에 대한 식생구조와 천이계열을 분석하기 위하여 49개 조사구에 대한 TWINSPAN과 DCA ordination기법을 적용한 결과 동백나무군집, 후박나무군집, 구실잣밤나무-후박나무군집, 구실잣밤나무군집, 구실잣밤나무-동백나무군집, 상록활엽수혼효군집 등 6개 군집유형으로 분리되었다. 식생천이계열은 교목상층군에서는 소나무$\longrightarrow$구실잣밤나무$\longrightarrow$참식나무, 황칠나무, 센달나무, 붉가시나무, 후박나무로, 교목하층 및 관목층군에서는 광나무, 자금우, 사스레피나무. 다정클나무$\longrightarrow$마삭줄, 남오미자, 까마귀쪽나무, 동백나무$\longrightarrow$식나무, 말오줌때, 천선과나무로 추정되었다.

  • PDF

한려해상국립공원 거제도지구 산림군집구조 및 천이계열 (Vegetation Structure and Ecological Succession of Kojedo District, Hallyo-Haesang National Park)

  • 이경재;김보현;김동완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331-344
    • /
    • 1999
  • 한려해상국립공원 거제도지구 산림의 군집구조 및 천이계열을 연구하기 위하여 56개 조사구(10m$\times$10m)를 설치하고 식생조사를 하였다. 56개 조사구는 TWINSPAN분석에 의하여 굴참나무-느티나무군집(I), 굴참나무-생달나무-참식나무군집(II), 곰솔-생달나무-참식나무군집(III), 곰솔-소나무군집(IV)으로 분리되었다. 거제도지역 대부분의 산림은 인위적 교란을 받은 후 형성된 맹아림과 조림식생으로 4개 군집의 평균 수령은 35~40여년이었고 $600\m^2$당 출현종수는 32~44종이었다. 또한 낙엽활엽수(굴참나무, 느티나무 등)림은 참식나무, 생달나무를 중심으로 한 상록활엽수림으로, 상록침엽수(곰솔, 소나무 등)림은 참식나무, 생달나무, 육박나무 등 상록활엽수림으로 생태적 천이가 진행되고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