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mmissioned Education

검색결과 38건 처리시간 0.021초

육군 위탁교육 변천과 성과평가 발전 방향 (The Transition Process and Performance Evaluation Plan of Commissioned Education by the ROK Armed Forces)

  • 김충관;박찬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6호
    • /
    • pp.668-681
    • /
    • 2020
  • 1948년부터 시작된 국외 군사교육과 1958년도에 육사 교수요원 학위취득을 위해 시행된 전문학위 위탁교육은 4차 산업혁명시대에 육군의 미래와 변혁을 주도할 인재를 육성하기 위해 앞으로도 더욱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그러나 육군의 위탁교육제도는 고비용 저효율이라는 비판을 받고 있으며 위탁교육 성과에 대한 체계적인 평가도 미흡하여 제도 전반에 대한 개선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CIPP 평가모형을 적용하여 육군 전문학위 위탁교육 성과평가 연구 결과를 4년이 지난 시점에서 평가영역을 재검증하고 위탁교육의 발전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육군의 위탁교육 변천 과정을 살펴보았고 육군 위탁교육 성과평가를 위한 CIPP 평가모형의 단계별 평가영역에 대한 타당성은 전문가 델파이 조사와 토의 결과를 적용하였다. 연구결과 위탁교육 성과평가를 위한 평가영역에 대한 타당성은 전문가 델파이 조사결과 모두 적합하였고 위탁교육에 대한 다양한 의견을 얻었다.

위탁승선실습생의 인적자원관리 프로그램 개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 Human Resource Management Program for Commissioned On-board Trainees)

  • 박준모;정창현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9-17
    • /
    • 2019
  • 본 연구는 상선 해기사를 양성하는 교육부 소속의 해기교육기관을 중심으로 위탁승선실습 실시 목적 및 위탁승선실습생 관리에 관한 법적 근거를 조사하고, 설문조사를 통해 위탁승선실습생 관리 현황을 분석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절차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위탁승선실습생 관리에 대한 법적 근거가 마련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승선실습 관리에 대한 만족도가 높지 않고, 감독기관의 실습생 관리 시스템도 허술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에 따라 위탁승선실습생의 안전사고 발생 및 실습을 중도에 포기하는 학생이 적지 않게 발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위탁승선실습생의 안전하고 체계적인 관리를 위한 I.M.S.A.R. 모델(정보제공-모니터링-공유-경보발생-대응)을 도출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웹 기반의 위탁승선실습생 인적자원관리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는 위탁승선실습생 관리를 위한 실질적인 방안을 도출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는 연구라고 할 수 있다.

육군 전문학위 위탁교육의 성과관리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anagement of the Advanced Degree Programs Commissioned by the ROK Armed Forces)

  • 김충관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5호
    • /
    • pp.131-148
    • /
    • 2018
  • 연구 목적은 육군 전문학위 위탁교육에 대한 성과를 평가하고 발전방향을 탐색하여 제시하는데 있다. 연구 대상은 육군 전문학위 위탁교육을 중점으로 하였으며,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Stufflebeam의 CIPP 평가모형에 따라 위탁교육 관련 문헌분석과 각종 자료분석 그리고 면담 및 설문조사를 통해 육군의 전문학위 위탁교육 성과를 분석하고 발전방향을 논의하였다. 육군의 위탁교육은 국방전략과 인재육성 전략을 반영해야 하며 위탁교육 국가의 다변화가 필요하였으나 위탁교육은 개인의 역량개발과 증대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확인 되었다. 위탁교육 예산은 충분하게 편성되었고 효율적으로 집행되고 있었으나 담당인력의 추가 편성이 요구되었다. 위탁교육 목표와 교육활동은 연계성을 유지하고 있었으나 위탁교육 목적에 부합하고 군에 적용 가능한 논문을 작성할 수 있도록 해야 함을 확인 하였다. 마지막으로 위탁교육에 대해서 만족하고 있었으며 직무수행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평가하고 위탁교육을 통해서 전공지식 습득과 업무수행능력이 향상되고 전문성이 증진되었다.

국가비상사태에 신속히 대응 할 수 있는 응급구조 의무부사관인력 양성 발전방안 연구 - 현장 Needs를 반영한 학·군 연계 교육프로그램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Development Plan to quickly respond to a national emergency rescue Medical Non-Commissioned officer workforce - Focusing on the Educational Programs Connecting Academy to Army which Reflects the Site Needs -)

  • 이창훈;복혜정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16권3_1호
    • /
    • pp.37-45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육군에 근무하는 의무부사관 80명과 의무부사관과 재학생 80명을 대상으로 응급구조 의무부사관에 대한 필요로 하는 능력과 지식 등을 알아보고 응급구조의무부사관의 자질을 갖추기 위한 교육목표 수립과 핵심직무를 선정하고 교과목 도출을 위한 프로세스에 의해 국가비상사태시 신속 대응할 수 있는 응급구조 의무부사관인력 양성 프로그램을 개발 하였다.

상선 위탁실습생의 업무실태 및 실습만족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Working Status and Onboard Training Satisfaction Level of Merchant Ship's Cadets)

  • 김득봉;이창현;이홍훈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4권6호
    • /
    • pp.709-716
    • /
    • 2018
  • 2017년 승선실습 중이던 위탁실습생이 사망하는 사고가 있었다. 이 실습생은 1일 12시간씩 작업을 했다고 한다. 실습생에 대한 업무시간과 휴식시간을 규정하는 법령은 아직까지 없다. 이 연구는 상선에서 승선실습을 하는 위탁실습생의 업무실태 파악과 위탁실습생의 처우 개선을 위해 설문조사와 통계분석을 수행했다. 설문은 상선에서 위탁실습을 다녀온 학생을 대상으로 진행했다. 설문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선종에 관계없이 1일 평균 10시간씩 업무했다는 의견이 43.0 %를 차지했고, 휴식시간은 평균 8시간이었다는 의견이 35.2 %를 차지했다. 응답자의 15.6 %가 12시간 이상 업무한 경험이 있다고 했다. 라면 끓이기, 휴식 중에 작업, 사적인 심부름 등 부당한 지시 사례가 있었다. 둘째, 선종별 교육만족도에 대해 LNG운반선에서 실습한 학생들의 만족도가 높았던 반면, 산적화물선과 컨테이너운반선의 교육만족도는 낮았다. 선박의 크기와 선령, 업무시간, 휴식시간, 실습지원비가 교육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은 미약함을 확인했다. 끝으로, 위탁실습생의 근로자성 판단에 대해 56.8 %가 '근로에 해당된다'고 응답했다. 설문결과를 통해 위탁실습의 열악성과 위탁실습생이 근로와 휴식에 대한 법령의 사각지대에 있음을 확인했다. 이를 위해 업무시간과 휴식시간의 법령 마련, 폭력 및 성희롱에 피해방지시스템 구축 등을 개선방안으로 제시했다. 이 연구는 위탁실습생의 업무와 휴식에 논문의 초점을 맞춰 선박의 종류와 크기, 선령별로 실습만족도를 분석했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초등학생을 위한 실개천 체험 유러닝 콘텐츠 개발 (The Stream Environmental Education u-Learning Contents Development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 서우석;정철영;이재호;김재호;이윤조
    • 한국환경교육학회지:환경교육
    • /
    • 제22권4호
    • /
    • pp.95-110
    • /
    • 2009
  •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develop The Stream Environmental education u-learning contents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For the development of content, the researchers commissioned detailed examination to experts to confirm validity, did a literature review and hosted expert forums. In addition, to enhance accessibility, they asked fairytale writers to develop easier and more valid scenarios and narrations of u-learning contents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development content is for 18 hours of education and has three sections: i) Preparation, ii) Exploration, and iii) Arrangement. Since the content has been developed based on SCROM, it is expected to have re-usability, accessibility, compatibility and durability. Based on evaluation criteria of u-learning contents suggested in the research methods, the research group commissioned evaluation to ten experts in environmental education of each school level. Recommendations for applying the content developed in this study and further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the developed content should be actively promoted and provided both online and offline so that elementary school students can fully utilize them. To this end, the website of the Ministry of Environment and u-learning training centers of universities of education should be used. Since content requires interaction not only between learners of the content but also between learners and operators, additional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support should be provided. Second, this study focuses on the development of u-learning contents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develop content for secondary school students.

  • PDF

육군 부사관 협약제도의 효과성 평가와 개선 방안 (Evaluation and Suggestions of the Army-College Joint Training System for Non-commissioned Officers)

  • 임성빈;이시철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15권6_1호
    • /
    • pp.3-16
    • /
    • 2015
  • 우수 부사관 획득이라는 목적 아래 육군과 대학의 협력으로 육군 부사관 협약제도가 시행된 지 10년이 지났으며, 이제 매년 4천여명씩 배출되는 협약학과 출신이 하사~중사까지 중추적 임무수행을 하고 있는 시점이다. 이에 협약학과 출신 부사관의 직무수행능력, 직무수행태도가 우수한 지에 대하여 상사급 이상 100명을 대상으로 협약학과 부사관과 민간 출신 부사관을 비교하는 설문을 통하여 이 협약제도가 목적을 달성하고 있는지에 대한 효과성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협약학과 출신 부사관은 직무수행능력의 전문성과 직무수행태도의 적극성, 책임성이 더 양호한 것으로 분석되었으나, 다른 분야는 의미 있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우수한 부사관 인력을 획득하기 위해서는 학군제휴 협약학과 학생의 선발 제도 개선과 아울러, 부사관 관련 학과에 우수한 고등학생들이 입학할 수 있도록 육군의 제도적 지원이 필요한 것으로 제언한다.

상시학습 시스템 설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onstruction for all times learning system)

  • 박영호
    • 디지털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10권3호
    • /
    • pp.61-70
    • /
    • 2014
  • The government supports the various systems on the premise of life-long education for improving the qualification of its people and supporting the lifelong career system. These systems help the educational activities for every generation from the teens. Each government department supports the learning activities for those who are related. In addition, each government department systemizes the regular education for advancing the performance of civil servant, by obliging a self-directed system to their member as well as by reflecting this educational activities in a promotion. This style of learning is provided not only offline but also online. However, not all necessary educational contents is furnished within the department. It is sometimes necessary to cooperate with the commissioned education and a professional educational institution. This thesis suggests three model systems while comparing one another. This paper suggests three system model. The first model is e-contents open place. The second model is e-contents open place. Finally, the suggest model is mixed form.

Effects of Horticultural Therapy on the Emotions and Stress Index of Trainees Entrusted to the Juvenile Classification Review Center

  • Ryu, Ja Yeong;Yun, Suk Young;Choi, Byung Jin
    • 인간식물환경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47-53
    • /
    • 2020
  • This study conducted a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 for trainees entrusted to the Juvenile Classification Review Center in order to fill the educational gap while providing emotional stability during the one-month period of commissioned education. The effects of horticultural therapy were examined by the pretest and posttest changes of the emotional items such as anxiety, self-esteem, self-efficacy and stress index. As the research method, this study used the one-group pretest-posttest experimental design on 16 female trainees of commissioned education staying at the Juvenile Classification Review Center in the juvenile reformatory located in A city. The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 was carried out in four sessions: two on flower arrangement and two on planting. The scores before and after the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 were measured using the Revised Children's Manifest Anxiety Scale (RCMAS) to examine the effects of horticultural therapy on the reduction of anxiety for the adolescents staying in the Juvenile Classification Review Center. The results show that there was significant decrease in the mean of anxiety from 62.5 (SD = 6.8) to 57.6 (SD = 8.1) points after the program (p = .002). There was no significant change in self-esteem, which was 76.9 (SD = 11.2) before the horticultural therapy and 78.3 (SD = 8.7) after the therapy (p = .420). In self-efficacy, there was no significant change from 72.9 (SD = 10.9) before and 75.1 (SD = 11.0) after horticultural therapy (p = .178). In order to examine the physiological changes in such emotional functions, this study measured the stress index using the uBioMacpa as the tool. The result of the measurement show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change in the mean from 33.8 (SD = 2.3) before to 31.1 (SD = 2.2) after the horticultural therapy (p < .001).

119 구급대원의 중증도 분류 지식 정도 및 교육 전·후 비교 (Comparison of knowledge level of triage in 119 EMTs)

  • 이효주;조근자
    • 한국응급구조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43-54
    • /
    • 2014
  •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appropriate direction for triage education by investigating the knowledge level of triage in 119 EMTs before and after the triage education. Methods : The questionnaire was filled out by newly assigned 33 EMTs in the fire service academy in I metropolitan city from November 1, 2013.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WIN 21.0 program. Results : The lowest knowledge level by 119 triage was the potential emergency related question, but that by case-based triage was the semi-emergency related questions. The knowledge score by case-based triage before education was 51.14 points. This was lower than knowledge score by 119 triage, that is, 75.70 points. After education, the knowledge level by 119 triage was significantly improved(p =.000).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knowledge level by case-based triage(p =.236). Conclusion : It is necessary to provide systematic and periodic education and training for 119 EMTs toward triage to improve triage accuracy and efficient circulation of the emergency medical service system. Especially, it is very important to provide case-based triage education for field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