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mmercial species

검색결과 671건 처리시간 0.026초

고온기 및 저온기의 rotifer, Brachionus plicatilis 배양을 위한 적종 식물 먹이생물 선택 (Selection of suitable phyto-food organisms for the rotifer, Brachionus plicatilis cultivation in high and low water temperature seasons)

  • 허성범;이창규;이응호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2권2호
    • /
    • pp.91-106
    • /
    • 1989
  • 해산어류 및 갑각류 유생 사육 시 초기 먹이로 요구되는 rotifer를 고온기나 저온기에 생산하고자 할 때 Chlorella 대용으로서 적합한 식물성 먹이생물에 관한 실험요약은 다음과 같다. 1. 고온에서 가장 성장이 양호한 종은 Nannnochioris oculata로 $28^{\circ}C$, $33\%_{\circ}$, 5,000 lux가 최적 환경 요인으로 밝혀졌다. 2. 저온에서 가장 성장이 양호한 종은 Phaeodactylum tricornutum이었고 이 종의 최대 성장요인은 보험구간중 가장 고온인 $10^{\circ}C$, 8,000 lux 및 $30\%_{\circ}$이었고 $8^{\circ}C$에서도 성장이 양호한 편이었다. 3. Nannnochioris oculata 와 Phaeodactylum tricornutum을 대조구인 Chlorella ellipsoidea와 함께 고온 및 저온에서 각각 대량배양하여 rotifer를 배양한 결과 rotifer 개체 밀도는 Nannnochioris oculata를 공급하여 배양한 것이 Chlorella ellipsoidea에 비해 월등히 높았고 Phaeodactylum tricornutum을 공급하여 배양한 경우는 Chlorella ellipsoidea보다 약간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방산 조성에서도 Nannnochioris oculata가 Chlorella ellipsoidea나 Phaeodactylum tricornutum보다 polyene의 비가 높아 영양적인 측면에서도 유리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 PDF

각시붕어 Rhodeus uyekii와 떡납줄갱이 R. notatus 간 정교배체, 상반교배체의 계측형질과 세포유전학적 분석 (Morphometric Traits and Cytogenetic Analysis in Induced Cross and Reciprocal Hybrid between Rhodeus uyekii and R. notatus)

  • 김봉석;강언종;장혁;박인석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151-159
    • /
    • 2012
  • 정교배체인 각시붕어, Rhodeus uyekii (♀)${\times}$떡납줄갱이, R. notatus (♂) 잡종, 그리고 상반교배체인 떡납줄갱이 (♀)${\times}$각시붕어(♂) 잡종을 대상으로 혈액도말을 통한 적혈구 크기, flowcytometry를 통한 세포유전학적인 형질 및 truss dimension과 classical dimension에 의한 외부 계측형질에서의 특성을 부모종간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각시붕어와 떡납줄갱이의 정교배체 및 상반교배체의 계측형질은 일반적으로 이들 유도시 사용된 모계와 부계 종의 중간을 보였다. 정교배체는 14개의 계측형질이 부계의 형질과 유사하였으며 7개의 계측형질이 모계의 형질과 유사하였다. 상반교배체의 경우, 13개의 계측형질이 부계의 형질을, 5개의 계측형질이 모계의 형질과 유사하였다. 정교배체와 상반교배체의 체색소 분포는 중간을 보이나 양친 종을 닮게 나타났다(P<0.05). 적혈구 크기와 DNA 함량은 정교배체와 상반교배체 모두 모계의 적혈구 크기 및 DNA 함량을 따르는 경향이 나타났다(P<0.05). 본 연구에서 파악된 각시붕어와 떡납줄갱이의 잡종 계측형질 및 세포유전학적인 형질은 납자루아과의 관상어 개발시 종간 구별에 유용할 것이다.

Growth Characteristics, Bio-chemical Composition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Benthic Diatom Grammatophora marina from Jeju Coast, Korea

  • ;;전유진;김보영;이준백
    • ALGAE
    • /
    • 제21권1호
    • /
    • pp.141-148
    • /
    • 2006
  • Benthic diatoms are known as a good food for shellfish in nature and in commercial hatchery of Jeju Island, Korea. Grammatophora marina is commonly found as dominant benthic micro-algae in Jeju coastal waters throughout the year. To know the best growth conditions of this species, culture was done in terms of three parameters; water temperature, salinity and nutrients. Each parameter was controlled by temperature of 15, 20 and 25°C; salinity of 25, 30 and 35 psu; and nutrient concentrations of 50, 100 and 200%. F/2 media was used with artificial seawater for the culture, which was continued for two weeks with L:D cycle 12:12 by using fluorescent light. Maximum specific growth rate was recorded 1.68 d–1 at temperature of 25°C with salinity of 35 psu and nutrient concentration of 200% on 6th day during the culture period. Maximum biomass was also observed 4.9 × 105 cells mL–1 in the same condition. This species may belong to the euryhaline and eutrophic habitat with warm condition. For nutritional aspects of this species, protein, lipid and carbohydrate were measured. The value of protein, lipid and carbohydrate was 4.96%, 15.82% and 5.65%, respectively. The antioxidant activities of 80% methanolic extract were 46.7%, 23.7% and 23.8% on DPPH (1,1-Diphenyl-2-picrylydrazy) radical, superoxide anion radical and hydrogen peroxide scavenging, respectively. Percentage metal chelating activity was 81.2%. Enzymatic extracts of Alcalase and Ultraflow showed remarkable scavenging activities on DPPH radical (86.5% and 57.2%, respectively), and superoxide anion scavenging activities were 45.3% and 41.4% from Kojizyme and Viscozyme extracts, respectively. Extract of Protomex revealed 24.8% activity on hydrogen peroxide and Neutase showed 30.8% on hydroxyl radical scavenging effects. Celluclast and Viscozyme extracts showed 33.2% and 32.1% activities on nitric oxide scavenging, respectively, while Alcalase showed 61.5% on metal chelating. This species contains higher lipids among the biochemical compounds and higher metal chelating activities from both 80% methanolic and enzymatic extracts.

Late season commercial mosquito trap and host seeking activity evaluation against mosquitoes in a malarious area of the Republic of Korea

  • Buekett, Douglas-A.;Lee, Won-Ja;Lee, Kwan-Woo;Kim, Heung-Chul;Lee, Hee-Il;Lee, Jong-Soo;Shin, E-Hyun;Wirtz, Robert-A.;Cho, Hae-Wol;Ckaborn, David-M.;Coleman, Russel-E.;Kim, Wan-Y;Klein, Terry-A.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40권1호
    • /
    • pp.45-54
    • /
    • 2002
  • Field trials evaluating selected commercially available mosquito traps variously baited with light, carbon dioxide, and/or octenol were conducted from 18-27 September 2000 in a malarious area near Paekyeon-ri (Tongil-Chon) and Camp Greaves in Paju County, Kyonggi Province, Republic of Korea. The host-seeking activity for common mosquito species, including the primary vector of Japanese encephalitis, Culex tritaeniorhynchus Giles. was determined using hourly aspirator collections from a human and propane lantern-baited Shannon trap doting hours when temperatures exceeded $15^{\circ}C$. The total number of mosquitoes and number of each species captured during the test was compared using a block design.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for the total number of mosquitoes collected, such that, the Mosquito MagnetTM with octenol > Shannon trap > ABC light trap with light and dry ice > Miniature Black Light trap (manufactured by John W. Hock) $\geq$ New Jersey Trap > ABC light trap with light on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numbers collected among trapes were noted for several species including: Aedes vexans (Meigen), Anopheles lesteri Baisas and Hu. An. sinensis Weidemann, An. sineroides Yamada, An. yatsushiroensis Miyazaki. Culex pipiens pallets Coquillett L., Cx. orientalis Edwards and Cx. tritaeniorhynchus. Host-seeking activity for most common species showed a similar bimodal pattern. Results from these field trap evaluations can significantly enhance current vector and disease surveillance efforts especially for the primary vector of Japanese encephalitis, Cx. tritaeniorhunchus.

사천시 용정천에서 하천 생태계와 하안단구 지역의 수변식물상 (River Ecosystem and Floristic Characterization of Riparian Zones at the Youngjeong River, Sacheon-ci, Korea)

  • 허만규
    • 생명과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301-309
    • /
    • 2017
  • 본 연구는 경상남도 사천시 용정천에서 하천의 건강도와 식생 구조를 평가하기 위해 하천의 상, 주, 하류에서 물리적 구조와 30곳의 방형구에서 식물 피도를 조사하였다. 2015년 이 하천의 전체 수변식물상은 28과 72속 75종 13변종이었다. 상류 제방의 식생은 초본, 관목, 교목의 혼합 군락이었다. 상류지역의 하안단구 식생은 자연 침식으로 형성된 식물상이었다. 상류에서는 40종의 식물이 동정되었고 우점 군락은 교목이었다. 중류 지역에서 홍수터는 자연식생과 인공식생이 혼재하였다. 제외지는 초지가 우세하였다. 상, 중, 하류의 피도-풍부도(cover-abundance)는 각각 9.26, 7.24, 7.56이었다. 잎이 좁은 초본과 잎이 넓은 광엽 초본의 피도-풍부도는 유사한 비율을 나타내었다. 최근 이 지역의 하첨 주변은 상업 및 산업 시설이 설치되어 제외지 등에서 많은 하천변 식생이 훼손되었다. 따라서 이 하천의 지속 가능한 유지를 위해서는 생물종 다양성에 대한 모니터링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Tomato spotted wilt virus Isolates Giving Different Infection in Commercial Capsicum annuum Cultivars

  • Chung, Bong-Nam;Choi, Hak-Soon;Yang, Eun-Young;Cho, Jeom-Deog;Cho, In-Sook;Choi, Gug-Sun;Choi, Seung-Kook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28권1호
    • /
    • pp.87-92
    • /
    • 2012
  • $Tomato$ $spotted$ $wilt$ $virus$ (TSWV)-infected $Capsicum$ $annuum$ plants were collected from open fields during June to July in 2010. The TSWV isolates were designated as Gneung, Ghang-Kjj, Gchang-Njc, Ghae, and Pap. The nucleotide sequence of the nucleocapsid protein (N) and movement protein (NSm) of the five isolates was determined. The pathogenicity of the five isolates was determined on 14 $C.$ $annuum$ cultivars two times by using mechanical inoculation. The five isolates induced different response: Both Gneung and Gchang-Kjj did not infect any of the cultivars in the 2nd trial, while Gchang-Njc, Ghae and Pap infected 11, 6 and 13 of 14 cultivars, respectively. The five isolates also were tested on $Solanum$ $lycopersicum$ breeding line TGC09-71 and three $Nicotiana$ species. $S.$ $lycopersicum$ showed a similar response to the five isolates as did $C.$ $annuum$. Both Gchang-Njc and Ghae infected systemically all three $Nicotiana$ species tested. While both Pap and Gneung did not infect any of the $Nicotiana$ species tested. In conclusion, five TSWV isolates induced different infection spectra in $C.$ $annuum$ cultivars, $Nicotiana$ species and an $S.$ $lycopersicum$ breeding line. Amino acid sequence analysis of the NSm gene could not support or explain the different infection spectra of the five isolates. This study indicated that various isolates must be used as virus inocula for evaluation of $C.$ $annuum$ and $S.$ $lycopersicum$ cultivars in breeding programs for TSWV resistance.

Comparison of catches and species composition for flounders caught using gillnets, gillnets with supporting lines, and trammel nets

  • Park, Hae-Hoon;Millar, Russell B.;Park, Chang-Doo;Park, Seong-Wook;Lee, Sung Il;Bae, Bong-Seong;An, Heui-Chun;Cho, Sam-Kwang;Lee, Kyounghoon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50권1호
    • /
    • pp.1-11
    • /
    • 2014
  • To compare the catches made using gillnets, trammel nets, and gillnets with supporting lines, several experiments were conducted with commercial vessels near Uljin and Pohang in Eastern Korea between July 2010 and May 2011. Two sets of 13 different nets were used, including 5 panels of gillnets and trammel nets each with stretched mesh sizes of 7.6, 9.1, 10.6, 12.1, and 13.6 cm and 3 panels of gillnets with a mesh size of 9.1 cm with supporting lines with different line spacing. The outer (stretched) mesh size of the trammel nets measured 51.5 cm. The target fishes of the fishing nets were various types of flounders. The catch rate of flounders was 50.7% of the total catch in weight. The total catch for all nets was 443.8 kg. The predominant species was pointhead flounder (Cleisthenes pinetorum). The total catch by trammel nets was 1.4 times that of the comparable gillnets. But more pointhead flounder were caught by gillnets than by trammel nets, though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Fishermen catching the pointhead flounder in Korea said that there was no need to use trammel net to catch it; this was an unexpected finding compared to the findings of other flounder fisheries. The amounts of roughscale sole, brown sole, and blackfin flounder caught by trammel nets were greater than those caught by gillnets. The mean lengths (standard deviation) of blackfin flounder, pointhead flounder, brown sole, and roughscale sole were 21.0 (4.57), 22.9 (3.40), 24.7 (4.90), and 28.3 (5.43) cm, respectively;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mean length (p < 0.00001). Therefore, in order to catch flounder efficiently, the fishing nets and mesh size should be chosen according to the target species. One advantage of using supporting lines is that it prevents breakage by strengthening the material especially when utilized on a rough bottom. Catch by using gillnet with supporting lines was not greater than that by using trammel net for the conservation of fisheries resources.

Macrobrachium rosenbergi (De Maan)의 초기유생의 성장 및 수온과 변태와의 관계 (DEVELOPMENT, GROWTH, AND RELATIONSHIP BETWEEN TEMPERATURE AND METAMORPHOSIS RATE OF THE EARLIER LARVAE ON MACROBRACHIUM ROSENBERGI (DE MAAN))

  • 권진수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52-62
    • /
    • 1974
  • 1. 수조내에서 순화된 친가에서 부화시킨 유생을 실험실내에서 수온 $27.5\~28.7^{\circ}C$, 염분 $6.58-7.05\%_{\circ}$Cl. pH $8.0\~8.2$, 조도 3000lux, 여과수양 $0.3{\ell}/min$의 조건하에서 먹이로는 Artemia salina nauplius를 참여하여 사육하였다. 2. 갓 부화된 zoea 유생의 체장은 1.92mm이며 제1 post-larva는 7.69mm로써 11영기의 zoea기에서 제1 post-larva로 변태하며 상기 조건하에서는 35일이 소요되며 제11 영기에서 제1 post-larva로 변태할 때 복절의 길이가 줄어들고 굵어진다. 3. 갓 부화된 유생의 제3 복절의 배면에 출현하는 3개의 색소포와 미절의 기부에 나타나는 1개의 색소포는 Palaemonidae속 새로운 분류지표로 중요하다. 4. 유생의 제6 영기 부터 개체변이체인 "숙성이"가 출현하며 동일 영기개체군에서 형태적으로 뛰어나게 크다. 5. 유생의 전발생영기를 통하여 특히 "숙성이"가 출현하기 쉬운 단계가 있는 것 같으며 이것은 제6영기와 제10영기인 것 같다. 이 현상은 체장의 변동폭의 넓이와 관계가 크며 이것은 섭이요인이 가장 크게 작용하는 것같다. 6. 유생의 발생도중 완전한 skipping 현상이 나타나는 것처럼 여겨졌으나, 영기별 각 부속기관의 형태적인 특징을 비교관찰한 결과, 어느 영기가 완전히 skipping하는 것은 아닌 것 같다. 7. "숙성이"의 부속기관을 비교검토한 결과, 한영기에서 다음 영기로 분화발생할 때 각 기관의 분화가 동시에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고, 어떤 연관성을 가지며 각 기관마다 개별적인 분화발생속도를 유지하며 분화의 동시성은 볼 수 없는 것 같다.

  • PDF

해산어류 6종의 산소소비 경향에 관한 연구 (The Patterns of Oxygen Consumption In Six Species of Marine Fish)

  • KIM Il-Nam;CHANG Young-Jin;KWON Joon-Yeong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373-381
    • /
    • 1995
  • 유용 해산어류에 대한 산소소비 경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넙치 Paralichthys olivaceus, 자주복 Takifugu rubripes, 조피볼락 Sebastes schlegeli, 농어 Lateolabrax japonicus, 참돔 Pagrus major, 감성돔 Acanthopagrus schlegeli 등 6종의 추어를 주대상으로 수온별, 밀도별, 체중별 산소소비량및 치사산소량에 관한 실험을 실시하였다. 모든 어종에서 산소소비량 $(Oc,\;ml/kg\;\cdot\;hr)$은 수온$(T,\;^{\circ}C)$의 상승에 비례하여 증가하였으며, 그 경향은 다음과 같은 회귀직선식으로 표시되었다. 넙치= Oc=34.0515T-339.5987 $(r^2=0.9730)$, 자주복. Oc=34.4941T-479.8732 $(r^2=0.9483),$, 조피볼락: Oc=44.7970T-634.2627 $(r^2=0.9718),$, 농어: Oc=26.1488T-318.0633 $(r^2=0.9316),$, 참돔: Oc=61.1020T-722.8926 $(r^2= 0.9805),$, 감성돔: Oc=75.1460T-947.9370 $(r^2=0.9392).$. 어체의 수용밀도가 증가함에 따라 단위체중당 산소소비량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넙치는 체중(W, g) 증가에 파라 산소소비량이 감소함으로써 Oc=2532.0268W-0.6565 $(r^2=0.9229)$의 관계를 나타냈다. 넙치, 조피볼락, 자주복, 참돔의 치사산소량은 각각 0.66, 0.79, 0.75 및 1.36m1/1였다

  • PDF

복숭아나무에서 검출된 Apricot pseudo-chlorotic leaf spot virus의 국내 첫 보고 (First Report of Apricot pseudo-chlorotic leaf spot virus Infecting Peach Trees in South Korea)

  • 박상민;서은철;김산영;박원흠;이수헌
    • 식물병연구
    • /
    • 제23권1호
    • /
    • pp.75-81
    • /
    • 2017
  • 2016년 5월, 우리나라 복숭아의 주요산지인 경북 영천 지역에서 퇴록, 괴저반점, 엽맥퇴록, 황화와 같은 바이러스 병징과 이상증상을 보이는 복숭아 잎 24점을 채집하였다. 이 시료들의 바이러스 감염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RT-PCR 진단법을 이용하여 진단하였다. 진단 대상은 검역 병원체로 지정된 바이러스 또는 바이로이드를 중심으로, 국내외 연구를 참고하여 국내 발생가능성이 높거나 발생 시 위험도가 높은 종 17종이다. 진단결과, 국내에서 보고된 적이 없는 바이러스 1종(Apricot pseudo-chlorotic leaf spot virus, APCLSV)과 검역 바이로이드 1종(Peach latent mosaic viroid, PLMVd)을 포함하여, 총 7종의 바이러스와 바이로이드가 검출되었다. 바이러스를 동정하기 위해, RT-PCR 산물을 sequencing 하여 확인하였다. 또, 국내 미보고 종인 APCLSV가 검출된 시료를 이용하여 APCLSV의 외피단백질을 암호화하고 있는 염기서열을 증폭하여 결정하였다. 결정된 염기서열은 기 보고된 APCLSV 분리주와 97%의 상동성을 보였다. 이 외피단백질 염기서열을 Trichovirus속 바이러스들과 비교 분석하여, 최종적으로 APCLSV임을 확인하였다. 동정된 APCLSV를 Yeongcheon 분리주로 명명하고 결정된 외피단백질 염기서열은 NCBI GenBank에 등록하였다. APCLSV의 발생 양상을 보면, APCLSV가 검출된 시료들은 모두 Apple chlorotic leaf spot virus (ACLSV)가 복합감염되어 있었으며, APCLSV는 ACLSV와 유전학적 유연관계가 가까운 것으로 알려져 있다. ACLSV의 특성에 비추어 볼 때, APCLSV는 국내 과수 농가에 널리 퍼질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추후 국내 농가에 미칠 영향 등에 관련된 연구가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