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mmercial kimchi

검색결과 137건 처리시간 0.035초

김치 저장 용기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Facillities for Preservation of Kimchi)

  • 안명수;이진영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499-505
    • /
    • 1996
  • 김치의 맛을 더욱 좋게 유지하면서 상품적인 가치를 높이는 한 가지 방법으로 김치 포장 용기를 개발하고자 본 연구에 착수하였다. 기존으로 사용되고 있는 PP(Polypropylene), PS(Polystyrene), PPC(Polypropylene+ceramic)와 본 연구에서 개발하고자 하는 용기인 3층으로 laminate 된 PPP(PETG+PS+PETG) 용기에 김치를 담고 6일간 발효시키면서 총젖산균수, pH, 산도, 색상, 포장내 기체조성과 자유용적, 그리고 관능적인 성질을 측정하여 비교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총젖산균수는 PP, PS, PPP 공기내의 김치는 발효 6시간 후부터 급증한 데 반하여 PPC는 24시간 후에 급증하였고 PPP의 것은 120시간까지도 높은 수가 유 지된 것으로 나타났다. pH는 발효 72시간에 모든 시료가 pH 4로 떨어졌으룩 PPP의 것은 발효 144시간까지 pH 4를 유지하여 다른 것보다 pH 저하가 다소 둔하였다. 색도에 있어서도 PP, PS, PPC 용기의 것이 발효48시간에 L b/a 값이 45.6-49로 떨어진 데 비하여 PPP는 53.21로 붉은색이 더 좋았고 5일 후에도 같은경향을 보였다. 또한 $CO_2$$O_2$의 존재량과 자유용적을 비교한 결과 PPP와 PPC가 $CO_2$량이 비교적 적고 내부자유용적의 팽창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나 기체 투관성이 다른 용기에 비해 낮은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색, 풍미, 텍스쳐, 종합적인 기호도 등에 대한관능검사 결과에서도 PPP내의 김치가 발효 48시간까지 좋은 결과를 보였다. 또한 PPP 용기를 김치 포장용기로 사용하면 투명하므로 내용물의 종류와 상태를 용이하게 확인하여 선택을 확실하게 할 수 있게 하며 PP나 PS 용기보다 견고하여 내용물의 발효에 의한 팽 창시 파열되지 않아 유통기간 중 안전하며 김치의 품질도 좀 더 좋은 것으로 나타나 김치 포장용기로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시판 김치 분리 젖산균에 의한 아질산염 소거 (Depletion of Nitrite by Lactic Acid Bacteria Isolated from Commercial Kimchi)

  • 고정림;오창경;오명철;김수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8권7호
    • /
    • pp.892-901
    • /
    • 2009
  • 본 연구는 시판 배추김치, 총각김치, 깍두기 및 파김치에서 분리한 젖산균을 $15^{\circ}C$$25^{\circ}C$의 온도에서 배양하였을 때 아질산염의 소거 효능을 확인하였다. $15^{\circ}C$에서, 시판김치에서 분리된 젖산균은 L. mesenteroides subsp mesenteroides와 L. paramesenteroides를 제외하고는 매우 활성적으로 아질산염을 소거시켰다. 특히 L. mesenteroides subsp dextrinicum과 L. lactis는 아질산염에 적응하는 기간을 필요로 함이 없이 매우 활성적으로 아질산염을 소거시켰다. L. sake, L. plantarum, L. casei subsp. pseudoplantarum 및 L. coryniformis subsp. torquens는 하루 정도 아질산염에 적응하는 기간을 거친 이후에 매우 활성적으로 아질산염을 소거시켰다. L mesenteroides subsp. mesenteroides는 하루가 경과된 이후에 비교적 활성적으로 아질산염을 소거시켰다. 그러나 L. mesenteroides subsp. mesenteroides는 다른 균종에 비하여 매우 낮은 아질산염 소거율을 나타내었다. $25^{\circ}C$에서, 시판김치에서 분리된 모든 젖산균은 아질산염에 적응하는 기간을 필요로 하지 않았으며, L. paramesenteroides를 제외하고는 매우 활성적으로 아질산염을 소거하였다. 또한 시판김치로부터 분리된 젖산균은 L. mesenteroides subsp. mesenteroides와 L. paramesenteroides를 제외하고는 1일 이후에, L. mesenteroides subsp. mesenteroides는 2일 이후에 90% 이상의 아질산염을 소거시켰다. 그러나 L. paramesenteroides는 $25^{\circ}C$에서도 활성적이지 못하여 다른 균종에 비하여 아질산염의 소거 능력이 매우 낮았다. 한편, 다른 김치 기원의 동일 균종의 Lactobacilli와 L. mesenteroides subsp. mesenteroides 및 L. paramesenteroides를 제외한 Leuconostocs는 $15^{\circ}C$에서는 물론 $25^{\circ}C$에서 매우 활성적으로 아질산염을 소거시켰다.

Antioxidative Activities of Soymilk Fermented with Bacillus subtilis

  • Seo, Kyoung-Chun;Kim, Mi-Jin;Kwon, Myung-Ja;Kim, Hyun-Ju;Noh, Jeong-Sook;Song, Yeong-Ok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8권5호
    • /
    • pp.1298-1300
    • /
    • 2009
  • To develop a dietary beverage with functionalities of cheonggukjang, soymilk was fermented with Bacillus subtilis and its antioxidant activities were examined. Antioxidative capacities of fermented soymilk (FS) with 5 different B. subtili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se, FS with 2829PNU015 revealed the greatest antioxidant activities.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scavenging activity, total antioxidant activity, and low density lipoprotein (LDL) oxidation inhibition of FS with 2829PNU015 were increased by 150, 140, and 240%, respectively, compared with those of unfermented soymilk (p<0.05). Further study for the improvement of sensory properties of FS with B. subtilis is required for a commercial production.

자염(煮鹽)으로 담근 배추김치의 발효숙성 중 이화학적.관능적 특성 및 자염이 김치발효 미생물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raditional Salt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and Growth of Microorganisms from Kimchi)

  • 김혜란;김미리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61-69
    • /
    • 2010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various kinds of commercial salts, including sun-dried (Korea), purified, and traditional salts on the chemical and sensory properties and growth of microorganisms involved in kimchi fermentation. Kimchi was prepared by salting in 10% NaCl solution for 2 hours followed by addition of other spices and fermentation at $20^{\circ}C$. The decreases in pH suggested that kimchi fermentation can be classified into 3 steps: initial, intermediate, and final stages. In texture analysis, the hardness and fracturability of traditional salt kimchi were higher than those of regular kimchi. From the sensory evaluation test for kimchi, sensory scores were high for traditional salt addition, especially taste, overall preference and texture. Among various microorganisms related to kimchi fermentation, the growth of Leuconostoc mesenteroides, Lactobacillus plantarum, Pichia membranaefaciens and Escherichia coli were examined. Based on the conditions of kimchi fermentation, a 2% and 5% concentration of each salt were studied. Also, the conditions of the cultures at $37^{\circ}C$ were examined. There was no considerable difference in the growth of Leuconostoc mesenteroides, Lactobacillus plantarum, Escherichia coli in the different kinds of salts. However, the growth of Pichia membranaefaciens was strongly inhibited by a 5% concentration of traditional salt during incubation at $37^{\circ}C$.

티백 형 수정과의 관능적 특성 및 소비자 기호도 조사 (Descriptive Sensory Evaluation and Consumer Acceptability of Sujeonggwa in a Tea Bag)

  • 김하나;송영옥;이지현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280-287
    • /
    • 2015
  • Sujeonggwa is a popular Korean traditional beverage. However, consumers only prepare it at home on special occasions due to the time and effort required. Developing a convenient form of Sujeonggwa may promote its consumption.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1) develop Sujeonggwa in a tea bag using different sweeteners and 2) describe the characteristics of Sujeonggwa's flavor in tea bag samples and 3) determine how well consumers accept the tea bag samples. A total of four types of Sujeonggwa in a tea bag were developed: two samples with varying amount of sugar, another sample using sugar and stevia and the last sample using sugar and short chain fructo-oligosaccharide as a sweetener. A commercial ginger tea and cinnamon tea were used as control products. Descriptive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same six samples and a descriptive panel identified its attributes. A total of 61 consumers evaluated acceptability using a nine-point hedonic scale and how they felt about intensities of the samples using a just-about-right scale. The results indicated that consumers liked Sujeonggwa samples in a tea bag more than commercial ginger tea and cinnamon tea.

한국산 및 중국산 김치의 Bacteria 군집 분석 및 발효과정 중 Bacilli 포자 형성 규명 (Bacterial Community Monitoring of Commercial Kimchi Produced in Korea and China with Evidence of Bacilli Spore Formation during Fermentation)

  • 안두현;김혜림;정도원;;이종훈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2권2호
    • /
    • pp.121-130
    • /
    • 2014
  • Bacteria 군집 차이를 이용한 신속한 한국산 및 중국산 김치 원산지 판별 가능성의 검토를 위하여 Terminal Restriction Fragment Length Polymorphism (T-RFLP) 분석법을 적용하였다. T-RFLP 분석은 김치발효에 관여하는 주요 유산균의 빠르고, 재현성 있는 검출에는 효과적이었지만, 종(species) 수준에서의 미생물 확인에는 한계를 가지고 있어 한국산 및 중국산 김치에 특이적으로 존재하는 bacteria의 검출에는 부적합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T-RFLP를 적용한 발효과정 중의 한국산 및 중국산 김치에 존재하는 bacteria 군집 천이 분석은 비슷한 양상으로 나타났고, Bacillus 속이 발효 후기까지 검출되었다. 또한 Bacillus 속은 발효 후기에 포자를 형성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초기 진공조건이 유연포장 김치의 품질변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Vacuumizing Conditions on Quality Changes of Flexible Package Kimchi)

  • 홍석인;박노현;구영조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190-196
    • /
    • 1996
  • 고차단성 포장재를 이용하여 김치를 각기 다르게 진공포장한 후 $10^{\circ}C$$0^{\circ}C$의 저온조건에 저장하면서 진공도 차이에 따른 pH, 산도, 색상, 젖산균수 등의 변화를 측정하고 관능검사를 병행하여 진공포장이 김치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전체적으로 진공도 차이는 저장중 김치의 pH와 적정 산도, 색상, Leuconostoc과 Lactobacilli를 포함한 젖산균수, 관능검사 결과 등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이로부터 저온 유통되는 소포장 김치의 품질보존을 위해서는 고도의 진공포장이 아닌 포장재 내부의 head space를 제거하는 수준으로도 충분히 효과적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소포장 김치의 포장방법별 품질특성 변화 (Quality Changes of Commercial Kimchi Products by Different Packaging Methods)

  • 홍석인;박진숙;박노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112-118
    • /
    • 1995
  • 포장김치의 유통과정 중 안전성과 상품성 유지를 위한 팽창 파열방지 포장기법의 개발과 관련하여 포장방법에 따른 김치의 품질특성 변화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상압(AP), 배기(CV), 이중(DP), 진공(VP) 포장 등으로 김치의 포장방법을 각각 달리하여 $10^{\circ}C$ 에서 저장하면서 포장내 기체조성, 포장내 자유용적, pH, 산도, 색상, 젖산균수 및 관능적 품질변화를 측정하였다. 저장기간이 증가함에 따라 AP와 CV의 포장내 $O_2$ 농도는 지수적으로 감소하고 $CO_2$ 농도는 2단계 증가양상을 나타내었으나, DP에서는 $O_2$ 농도가 일정하고 $CO_2$ 농도는 2단계 증가 후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으며, VP는 저장말기에 저농도 $O_2$와 고농도 $CO_2$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등 각기 다른 경향을 나타내었다. 포장내 자유용적은 AP와 CV에서 sigmoid 곡선형으로 증가하였으나, DP는 거의 일정하였고 VP는 저장말기에 약간의 증가를 나타내었다. 각 포장구의 pH는 유의차 없이 대부분 비슷하였으나, 산도는 DP가 다른 포장구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값을 유지하였다. 김치 여과액의 색상변화에서 포장구 모두 L, b값은 전반적으로 감소하고 a값은 일정하게 증가하였는데, 색지수(L b/a) 값으로 표시할 경우 지수적으로 감소하다가 일정하게 유지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색지수의 변화에 있어 DP는 AP, CV 포장구에 비해 높은 값을, VP는 낮은 값을 보였다. 젖산균수의 변화에 있어서도 DP는 다른 포장구에 비해 급격한 증가를 나타내었으나, VP는 비교적 낮은 수준을 유지하였다. 관능검사 결과 신맛은 DP에서 상대적으로 높았고, 조직감은 각 포장구에서 유의차를 볼 수 없었으며, 기호도에서는 VP>AP, CV>DP의 순서를 나타내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김치의 팽창 파열방지 포장기법으로서 배기포장이 상압포장과 큰 차이 없었으나 이중포장과 진공포장은 상당히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 PDF

김치 발효산물에 대한 발색지시계의 온도별 민감성 (Sensitivity of Color Indicators to Fermentation Products of Kimchi at Various Temperatures)

  • 홍석인;박완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21-25
    • /
    • 1997
  • 소포장 김치의 발효, 숙성정도를 연속적으로 신속하게 감지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하고자 색 지시계를 적용하였다. $CO_2$ 흡착제/발색시약의 혼합물로 구성된 지시계를 포장재에 도입하여 화학반응에 의한 색깔 변화와 저장 중 김치의 pH, 산도 변화를 측정 비교하므로서 숙성도를 감지하였다. 김치의 발효 숙성이 진행되면서 포장재 내부에 부착되어 있던 지시계 BP와 MR은 초기의 하늘색에서 보라색으로, 연한 노란색에서 빨간색으로 점차 색이 변하였으며, 이러한 지시계의 색 변화는 저장온도에 관계없이 pH 또는 산도 변화와 높은 상관관계를 가지므로서 김치의 숙성정도를 잘 나타내었다. 결과적으로 상품 김치의 저장 유통과정에서 포장을 뜯지 않고도 내용물의 숙성도를 육안으로 감지할 수 있는 숙성 감지용 지시계의 적용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가열 및 비가열 처리 액젓으로 제조한 김치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Antioxidant Activities of Extracts from Various Kimchi with Heat and Non-heat Treatment of Salt-Fermented Anchovies)

  • 강현우;조영제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257-263
    • /
    • 2013
  • The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of extracts from kimchi, as well as various antioxidant activities, such as 2,2-azinobis-( 3-ethylbenzothiazoline-6-sulfonic aci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ferric reducing antioxidant power (FRAP) were examined. Specifically, the ABTS radical scavenging and FRAP activities of ethanolic extracts from kimchi (kimchi with non-treated salt fermented anchovy, treated non-heat salt fermented anchovy, treated heat salt fermented anchovy and commercial salt-fermented anchovy) were $0.749{\pm}0.26$, $0.895{\pm}0.15$, $0.758{\pm}0.12$, and $0.769{\pm}0.02$ mM Trolox eq./mg extract and $0.727{\pm}0.11$, $0.901{\pm}0.03$, $0.811{\pm}0.17$, and $0.843{\pm}0.16$ mM $FeSO_4$ eq./mg extract,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antioxidant activity of extract from kimchi was estimated in vivo. Mice were randomly divided into six groups (n=6), and treated with LPS for 10 days, which resulted in lower antioxidant capacities as well as increased aspartate aminotransferase (AST) and alanine aminotransferase (ALT) values in the blood serum. Furthermore, antioxidant enzymes (catalase and superoxide dismutase) in blood serum increased in the presence of the kimchi. The present results reveal antioxidant activities from kimchi and encourage their application for the food industry and cook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