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mbined chemotherapy and radiotherapy

검색결과 152건 처리시간 0.041초

국소적으로 진행된 두경부 편평상피세포종양의 방사선- 항암화학 병용요법과 방사선단독치료의 비교 (Combined Chemoradiotherapy vs Radiotherapy Alone for Locally Advanced Squamous Cell Carcinoma of the Head and Neck)

  • 정현주;서현숙;김철수;김예회;김성록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14권1호
    • /
    • pp.9-15
    • /
    • 1996
  • 목적 : 국소적으로 진행된 III, IV기 두경부종양의 방사선치료시 항암화학요법을 병행할 경우 방사선에 대한 민감도를 증가시켜 치료효과를 향상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방사선-항암화학 병용요법이 국소제어율 및 생존율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방사선 단독치료군의 치료결과와 후향적으로 비교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83년 11월부터 1994년 3월까지 인제대학교부속 백병원에서 두경부종양으로 진단받고, 추적관찰이 가능했던 III, IV기의 편평상피세포종양 환자 31명(I군: 방사선 단독치료 16명, II군: 방사선-항암화학 병용요법 15명)을 데상으로 하였다. 남녀 비는 I, II군에서 각각 12:4, 15:0 이었고 연령분포는 각각 17-74세(중앙값 64세), 34-71세(중앙값 54세)였다. 병기별 분포는 III기가 각각 5명, 3명, IV기가 11명, 12명이었다 방사선치료는 4MV 선형가속기(LINAC)를 사용하였고 총 방사선 조사선량은 I군 50-77.6Gy(중앙값 70.2Gey), II군 50-75.6Gy(중앙값 70Gy)이었다. 항암화학요법은 cisplatin + 5-FU (7명), methotrexate + leucovorin + 5-FU + cisplatin (혹은 carboplatin) (2명), 방사선민감제로서 clsplatin (6명)이 사용되었다. 결과 : 총 추적관찰기간은 4-134개월(중앙값 16개월)이었다 전체관해율은 I군 $66.6\%$(완전관해 $53.3\%$, 부분관해 $13.3\%$), 11군 $93.3\%$(완전관해 $60\%$, 부분관해 $33.3\%$)였고, 완전관해된 환자에서 2년 종양제어율은 각각 $50\%$, $40\%$이었다. 국소실패율은 I군과 II군에서 각각 $71.5\%$, $72.7\%$이었고, 원격전이율은 $14.4\%$$9.1\%$였다. 5년 생존율은 전체 환자에서 $21.5\%$, I군과 II군에서 $23.4\%$, $23.5\%$로 두 군간의 생존율의 차이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P>0.05). 3년 무병생존율 역시 $44.5\%$$40\%$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05). 치료에 따른 급성 부작용은 피부독성이 I군 7/16명(RTOG/EORTC 등급 1; 5명, 2; 1명, 3: 1명), II군 5/15명(등급 2: 1명, 3: 4명, 4: 1명), 식도염 및 인두염이 각각 14/16명(등급 1: 7명, 2; 6명, 3이상 1명), 6/15명(등급 2: 1명, 3: 1명), 구강점막염은 각각 6/15명(등급 1: 1명, 2: 2명, 3; 2명, 4: 1명), 9/15명(등급 2: 4명, 4; 5명)으로 두 군간의 차이는 없었으나, 혈액학적 독성은 II군에서만 8/15($53.3\%$)가 관찰되었다. 결론 : 본 연구에서는 방사선-항암화학 병용요법군이 방사선 단독치료군에 비해 종양의 전체관해율은 높았으나, 5년 생존율 및 3년 무병 생존율에서는 두 군간에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05). 그러나, 본 연구는 대상환자의 숫자가 제한되어 있어 항암화학요법의 역할을 규명하기 위해서는 앞으로 더 많은 환자를 대상으로 하여 오랜 기간의 추적관찰이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 PDF

비인강 종양에 있어서 방사선 치료와 유도화학 요법 (Results in the Treatment of Nasopharyngeal Carcinoma Using Combined Radiotherapy)

  • 정수미;윤세철;신경섭;박용휘;김훈교;이경식;조승호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9권1호
    • /
    • pp.59-63
    • /
    • 1991
  • 1983년에서 1989년까지 가톨릭의대 부속 성모병원 방사선치료실에서 비인강종양으로 확진되어 치료를 시행한 환자 31명중 치료가 불완전했던 환자 8명을 제외한 23명의 치료성적으로 후향조사 하였다. 이들 중 11명의 환자에 있어서는 방사선 단독요법을 시행하였으며, 12명의 환자에소는 cispiatin+5-fluorouracil 혹은 cisplatin-bleomycin-vincristine을 이용하여 1회 내지 3회에 걸친 유도 화학요법후 방사선치료를 시행하였다. 방사선 단독요법으로 치료된 11명의 환자에서 완전 관해율은 55%(6/11), 부분관해율은 45%(5/11)였다. 유도화학요법을 시행한 12명의 환자중 약물 치료후 완전관해율은 25%(3/12)였으며, 부분관해율은 75%(9/12)였고, 연속적으로 시행된 방사선 치료후에는 완전 관해율이 83%(10/12)로 증가되었으며, 부분 관해율은 17%(2/12)였다. 유도 항암요법에 부분관해를 보였던 환자중 stage 111 환자 1명과 stage IV 환자 6명이 추가 방사선 치료후 완전 관해를 보였다. 방사선 단독요법군에서는 4명에 국소재발이 발생했으며,-약물요법과 방사선치료를 병행했던 군에서는 국소재발 3명과 폐로의 원격전이가 1명에서 발생되었다. 방사선단독으로 치료한 환자군과 유도화학요법과 방사선 치료를 병행한 환자군에서의 생존율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28.55{\pm}15$ and $M{\pm}SD=28.588{\pm}25.39$, p>0.05) 치료환자군의 수가 적은 이유로 통계분석 결과 큰 의의를 발견할 수 없었다.

  • PDF

원발성 중추신경계 림프종의 치료전략 (Treatment Strategies for Primary Central Nervous System Lymphoma)

  • 김일만;이창영;손은익;김동원;임만빈;김상표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30권3호
    • /
    • pp.334-341
    • /
    • 2001
  • Objective : We have currently changed treatment strategies to methotrexate(MTX)-based preirradiation chemotherapy with subsequent planned radiation for the initial therapy of primary central nervous system lymphoma (PCNSL).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results of treating PCNSL with chemotherapy plus radiotherapy (CRT) or radiotherapy(RT) alone. Method and Material : This study involved 10 females and 3 males patients with a mean age of 54.2 years. All patients underwent surgery, open(8 cases) or stereotactic biopsy(5 cases) for histological diagnosis. Eleven tumors were diffuse large B-cell lymphomas. Tumor volume change in the follow-up images and survival time were evaluated in patients treated with CRT and RT alone. In the beginning, two patients received ProMACE-Cytabom chemotherapeutic regimen, but did not complete the course and died of progressive tumor 8 and 9 months after diagnosis, respectively. One patient died at 6 months before chemotherapy. These three were excluded from the survival analysis. Five patients(RT group) completed full courses of cranial irradiation with or without boost. For the current combined modality treatment, high-dose MTXbased chemotherapy(systemic and intrathecal MTX, IV vincristine, and oral procarbazine) followed by whole brain irrdiation to 45Gy to tumor was introduced in 5 patients of CRT group. Result : A complete response was achieved in three of five who received RT only and in all of five who received CRT. All patients in CRT groups are in disease free status at a mean 23 months following therapy. The RT group patients refused any additional salvage therapy at tumor relapse and survived at mean 20 months from diagnosis. The Karnofsky performance status improved in eight of ten patients with treatment. The treatment toxicity included leukoencephalopathy in RT group and severe leukopenia, transient hepatitis, avascular necrosis of femoral head, hearing loss, and amenorrhea in CRT group, respectively. Conclusion : The combined modality therapy of MTX-based chemotherapy plus radiotherapy for PCNSL may enhance tumor response and improve patient survival. The patients who received CRT should be carefully followed up because of the higher risk of treatment-induced late neurotoxicity.

  • PDF

Combined chemotherapy and intra-arterial chemotherapy of retinoblastoma

  • Choi, Saerom;Han, Jung Woo;Kim, Hyosun;Kim, Beom Sik;Kim, Dong Joon;Lee, Sung Chul;Lyu, Chuhl Joo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6권6호
    • /
    • pp.254-259
    • /
    • 2013
  • Purpose: Retinoblastoma (RB) is the most common primary malignant intraocular tumor in children. Although systemic chemotherapy has been the primary treatment, intra-arterial chemotherapy (IAC) represents a new treatment option. Here, we performed alternate systemic chemotherapy and IAC and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efficacy and safety of this approach. Methods: Patients diagnosed with intraocular RB between January 2000 and December 2011 at Severance Children's Hospital, Yonsei University, were reviewed. Before February 2010, the primary treatment for RB was chemotherapy (non-IAC/CTX). Since February 2010, the primary treatment for RB has been IAC (IAC/CTX). External beam radiotherapy or high-dose chemotherapy were used as "last resort" treatments just prior to enucleation at the time of progression or recurrence during primary treatment. Enucleation-free survival (EFS) and progression-free survival were assessed. Results: We examined 19 patients (median age, 11.9 months; range, 1.4 to 75.6 months) with a sum of 25 eyes, of which, 60.0% were at advanced Reese Ellsworth (RE) stages. The enucleation rate was 33.3% at early RE stages and 81.8% at advanced RE stages (P=0.028). At 36 months, EFS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IAC/CTX group than in the non-IAC/CTX group (100% vs. 40.0%, P=0.016). All 5 patients treated with IAC achieved eye preservation, although most patients were at advanced RE stages (IV-V). Conclusion: Despite the limitation of a small sample size, our work shows that an alternative combined approach using IAC and CTX may be safe and effective for eye preservation in advanced RB.

항문암의 동시 화학 방사선 요법 치료결과 (Concurrent Chemoradiotherapy Results in Patients with Anal Cancer)

  • 정원규;김수곤;이창걸;성진실;김귀언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12권1호
    • /
    • pp.99-107
    • /
    • 1994
  • Among the 63 patients with histopathologically proven primary squamous cell anal cancer who were managed in Presbyterian Medical Center and Yonsei University Cancer from Jan. 1971 to Dec. 1991, 34 patients, who were managed with surgery alone(abdominoperineal resection) or post-operative radiotherapy and concurrent chemoradiotherapy were analysed. With mean follow up time of 81.3 months, 30 Patients(88$ \% $) were followed up from 17 to 243 months. In methods, 10 patients were treated with surgery alone. 9 Patients were treated with combined surgery and postoperative radiotherapy(50$\∼$60 Gy in 28$\∼$30 fractions). 15 patients were treated with concurrent chemoradiotherapy. Chemotherapy (Mitomycin C 15 mg/squ, bolus injection day 1;5-FU, 750 mg/squ, 24hr infusion, day 1 to 5) and radiotherapy started the same day. A dose of 30 Gy was given to the tumor and to the pelvis including inguinal nodes, in 15 fractions. After 2 weeks a boost of radiotherapy(20 Gy) to the ano-perineal area and second cycle of chemotherapy completed the treatment. The overall 5-year survival rate was 56.2$ \% $. Concurrent chemoradiotherapy group was 70$ \% $ and surgery alone group was 16.7$ \% $. According to the cox proportional harzard model,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survival with concurrent chemoradiotherapy and surgery alone(p=0.0129), but post-operative radiotherapy was 64.8$ \% $, which was not stastically significant(p=0.1412). In concurrent chemoradiotherapy group, the anal funtion Preservation rate was 87$ \% $ and the severe complication rate(grade 3 stenosis and incontinence) was 13.3$ \% $. In conclusion, we conclude that the concurrent chemoradiotherapy may be effective treatment modality in patients with anal cancer.

  • PDF

액와 림프절에 전이된 유방암 환자에서 수술 후 방사선치료 및 항암 약물 요법의 치료 성적 (Treatment Results of Adjuvant Radiotherapy and Chemotherapy in Breast Cancer Patients with Positive Axillary Nodes)

  • 신현수;서창옥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18권4호
    • /
    • pp.265-276
    • /
    • 2000
  • 목적 : 1983년부터 1988년 사이에 유방암으로 진단받고 근치적 유방절제술을 시행한 환자로써 조직학적으로 액와림프절 전이가 확인된 218명의 환자에서 수술 후 보조적 방사선치료 및 항암약물치료를 시행하였으며 이들 환자를 대상으로 한 치료 결과를 후향적 연구를 통해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대상환자는 3개 군으로 분류하였는데, 1군은 항암약물치료 단독으로 치료한 80명의 환자가 포함되었고 2군은 방사선치료 단독으로 치료한 52명을 포함하였으며 3군은 방사선치료 및 항암약물치료를 병용하여 치료한 86명의 환자를 포함하였다. 이들의 평균 연령은 44세, 27$\~$70세의 연령분포를 보였으며 추적관찰 기간의 중앙값은 51개월이었다. 결과 : 7년 무병생존율 및 전체생존율은 각각 56$\%$와 67$\%$이었으며, 각 치료군에 따른 생존율은 1군에서는 50$\%$와 56$\%$, 2군은 51$\%$와 65$\%$, 3군은 62$\%$와 75$\%$이었다. 국소재발율은 13$\%$이었으며 원격전이율은 33$\%$ 이었다. 방사선치료가 포함되었던 2군과 3군에서는 국소재발 위험이 낮았으나(p<0.05) 원격전이율의 차이는 없었다. 단변량분석에서 무병 생존율에 영향을 주는 인자로서는 액와 림프절 양성 비율이었으며 전체생존율에 있어서는 원발 병소 크기, 액와 림프절 전이 개수 및 양성 비율, 병기가 관련있는 인자임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다변량분석에서는 치료방법만이 의미있는 예후인자임을 알 수 있었다. 전체 치료실패율과 원격전이율에 영향을 주는 예후인자는 액와 림프절 양성 비율이었으며 국소재발율은 치료방법이 의미있는 예후인자임을 알 수 있었다. 결론 : 결론적으로 이러한 결과는 폐경전 환자, 액와 림프절 전이 개수가 4개 이상이거나 양성 비율이 1/3이상인 환자에서 수술 후 방사선치료가 시행된 경우 국소재발율을 감소시킨다는 사실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종양의 크기가 2$\~$5 cm, IIB 병기 및 액와 림프절 전이 개수가 4개 이상이거나 양성 비율이 1/3이상인 환자에서 수술후 보조적 치료로써 방사선치료/항암약물치료 병용요법이 가장 효과적인 치료방법임을 알 수 있었다.

  • PDF

식도암의 방사선-항암화학 병용치료결과 (The Results of Combined External Radiotherapy and Chemotherapy in the Management of Esophageal Cancer)

  • 이현주;서현숙;김준희;김철수;김성록;김예회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14권1호
    • /
    • pp.17-23
    • /
    • 1996
  • 목적 : 외과적 절제가 불가능하거나 내과적인 문제로 수술을 받을 수 없는 식도암환자에서 방사선-항암화학 병용치료를 시행하였으며 이를 방사선 단독치료군의 치료결과와 후향적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83년 10월부터 1994년 12월까지 인제대학교부속 백병원 치료방사선과에서 식도암으로 치료받은 환자 64명중 추적관찰이 가능하였던 55명을 대상으로하였다. 이중 방사선-항암화학 병용치료군은 30명(A군), 방사선 단독치료군은 25명(B군)이었다. 외부방사선치료는 4 MV 선형가속기를 이용하여 식도의 원발병소와 인접 림프절을 포함하는 조사야로 치료하였고, 조사선량은 2520-6480cGy(중앙값 5460cGy), 180-200cGy/fx으로 주었다. 항암화학요법은 방사선 치료전 또는 후에 총1-13회(중앙값 2회)가 시행되었고, 연령 및 성별분포는 두 군에서 유사하였고, 병리 조직학적 소견상 50명이 편평상피암이었다. 진단당시 병기별분포(1983년 AJCC)는 병기 I, II, III가 각각 A군 1, 5, 24명, B군 1, 8, 16명이었다. 종괴크기에 따라 5cm미만과 5cm이상이 각각 A군 5,25명, B군 3,22명이었다. 총 조사선량은 50Gy미만과 50Gy이상이 각각 A군 14, 16명, B군 11, 14명이었다. 두 군의 치료결과 비교 및 각군에서의 예후인자를 알아보기 위하여 병기, 종괴의 크기, 조사선량에 따라 1년 및 2년 생존율을 구하였다. 결과 : 총 추적관찰기간은 2-73개월(중앙값 7개월)이었다. 환자의 중앙생존기간은 A군 7.5개월(20일-29개월), B군 5개월(20일-73개월)이었으며 1, 2년 생존율(YSR)은 각각 A군 $26.7\%$, $8.9\%$, B군 $12.7\%$, $4.3\%$ (p>0.05)였다. 병기 III에서 1YSR은 A군 $24.9\%$ (2YSR $0\%$ B군 $13.7\%$ (2YSR $6.9\%$)였고, 종괴크기 5cm미만과 이상에서 1YSR은 A군 $60.0\%$, $17.4\%$ (2YSR $8.0\%$, $3.5\%$) B군 $0\%$, $14.5\%$ (2YSR $0\%$, $4.8\%$)였다. 조사선량 50Gy이상과 미만에 따라 1YSR이 $31.2\%$, $21.5\%$ (2YSR $6.2\%$, $7.2\%$) B군 $23.0\%$, $0\%$ (2YSR $7.7\%$, $0\%$)였다. 두 군의 1, 2YSR을 진행된 식도암의 경우에서 병기 III, 종괴크기 5cm이상, 조사선량 50Gy이상을 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비교분석한 결과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방사선치료후 치료반응을 판정 할 수 있었던 28명에서 완전관해는 A군 4명, B군 1명이었고 전체관해율은 각각 $43.8\%$(7/16), $25.0\%$(3/12)로 나타났다. 치료실패양상을 분석할 수 있었던 35명중 국소실패는 A군과 B군에서 각 각 $52.4\%$(l1/21), $64.3\%$(9/14), 원격전이는 각각 $23.8\%$(5/21), $14.3\%$(2/14), 동시재발이 각 각 $23.8\%$(5/21), $21.4\%$(3/14)였다. 치료에 따른 급성부작용은 병응치료군이 단독치료군에 비해 백혈구감소증과 오심구토의 빈도가 증가하였으나 정도의 차이는 크지 않았다. 결론 : 진행된 병기의 식도암환자에서 방사선-항암화학병용치료를 시행함으로써 별다른 부작용 없이 생존기간 및 1년/2년 생존율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관찰하였으나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방사선치료 단독군에서 총 방사선조사량만이 예후인자로써 확인되었다.

  • PDF

두개강내 내배엽성 동종양(Endodermal Sinus Tumor) (Intracranial Endodermal Sinus Tumor)

  • 임용철;조경기;이성운;박한준;신용삼;윤수한;조기홍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30권12호
    • /
    • pp.1381-1387
    • /
    • 2001
  • Objective : Endodermal sinus tumor or yolk sac tumor is an uncommon malignant germ-cell neoplasm. This tumor was originally described as a germ cell tumor of the ovary or the testis. Intracranial endodermal sinus tumor is extremely rare and usually develop in the pineal or suprasellar regions. The authors evaluated the effect of adjuvant therapy(chemotherapy combined with radiotherapy) and radical removal of intracranial endodermal sinus tumors. Material and Methods : Between 1996 and 2001, four patients of intracranial endodermal sinus tumor were diagnosed with tumor marker(AFP) and biopsy. Three patients were treated with surgical removal and chemotherapy with cisplatin($20mg/m^2$), etoposide($100mg/m^2$) and bleomycin($15mg/m^2$) as well as external beam radiation therapy. We compared the management problems for these tumors. Result : In all three patients the tumor size and the level of tumor marker decresed during initial adjuvant therapy. However, Tumors showed regrowth with elevated AFP of serum and CSF possibly related to delayed chemotherapeutic treatment or inadequate administration of chemotherapeutic drugs due to severe bone marrow suppression. An additional chemotherapy and external radiation therapy were given, but tumors could not be controlled with leptomeningeal seeding. Conclusion : Radiotherapy is considered to be less effective. The combination chemotherapy with PVB(cisplatin, vinblastine, bleomycine) or PE(cisplatin, etoposide) is considered to be value in prolongation of the survival rate. But the role of chemotherapy in this tumor has not yet been clarified due to bone marrow suppression and drug resistance. Further study with large series of this tumor is necessary to establish the optimal management.

  • PDF

Functional Magnetic Resonance Imaging in the Diagnosis of Locally Recurrent Prostate Cancer: Are All Pulse Sequences Helpful?

  • Liao, Xiao-Li;Wei, Jun-Bao;Li, Yong-Qiang;Zhong, Jian-Hong;Liao, Cheng-Cheng;Wei, Chang-Yuan
    • Korean Journal of Radiology
    • /
    • 제19권6호
    • /
    • pp.1110-1118
    • /
    • 2018
  • Objective: To perform a meta-analysis to quantitatively assess functional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in the diagnosis of locally recurrent prostate cancer. Materials and Methods: A comprehensive search of the PubMed, Embase, Cochrane Central Register of Controlled Trials, and Cochrane Database of Systematic Reviews was conducted from January 1, 1995 to December 31, 2016. Diagnostic accuracy was quantitatively pooled for all studies by using hierarchical logistic regression modeling, including bivariate modeling and hierarchical summary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HSROC) curves (AUCs). The Z test was used to determine whether adding functional MRI to T2-weighted imaging (T2WI) results in significantly increased diagnostic sensitivity and specificity. Results: Meta-analysis of 13 studies involving 826 patients who underwent radical prostatectomy showed a pooled sensitivity and specificity of 91%, and the AUC was 0.96. Meta-analysis of 7 studies involving 329 patients who underwent radiotherapy showed a pooled sensitivity of 80% and specificity of 81%, and the AUC was 0.88. Meta-analysis of 11 studies reporting 1669 sextant biopsies from patients who underwent radiotherapy showed a pooled sensitivity of 54% and specificity of 91%, and the AUC was 0.85. Sensitivity after radiotherapy was significantly higher when diffusion-weighted MRI data were combined with T2WI than when only T2WI results were used. This was true when meta-analysis was performed on a per-patient basis (p = 0.027) or per sextant biopsy (p = 0.046). A similar result was found when $^1H$-magnetic resonance spectroscopy ($^1H$-MRS) data were combined with T2WI and sextant biopsy was the unit of analysis (p = 0.036). Conclusion: Functional MRI data may not strengthen the ability of T2WI to detect locally recurrent prostate cancer in patients who have undergone radical prostatectomy. By contrast, diffusion-weight MRI and $^1H$-MRS data may improve the sensitivity of T2WI for patients who have undergone radiotherapy.

비인강암의 병합요법 (Combined Modality Treatment in Nasopharyngeal Carcinoma)

  • 윤상모;김재철;박인규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19권2호
    • /
    • pp.100-106
    • /
    • 2001
  • 목적 : 국소 진행된 비인강암으로 유도 화학요법 혹은 동시 화학요법 및 방사선 치료를 받은 환자들의 부작용 및 단기 생존율을 비교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89년 10월부터 1998년 5월까지, 비인강암으로 진단받고 유도 화학요법 혹은 동시 화학요법 및 방사선 치료를 받은 62명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후향적 분석을 시행하였다. 유도 화학요법군은 50명, 동시 화학요법군은 12명이었다. 나이, 성, 전신 수행능력, 조직학적 유형 등은 양군에서 비교적 고르게 분포하였다. 병기 분포는, 유도 화학요법군의 경우 IIB가 $32\%$, III가 $30\%$, 그리고 IV가 $38\%$였으며, 동시 화학요법군은 각각 50, 33.3, $16.7\%$였다. 양군에서 화학요법 약제는 CF (cisplatin and 5-FU)였고, 약제 투여 방법은 동일하였다. Cisplatin $100\;mg/m^2$을 day 1에, 5-FU $1,000\;mg/m^2$을 day $2\~6$에 각각 정맥투여하였으며 3주 간격으로 반복하였다. 방사선 치료 종료시까지 시행된 화학요법의 횟수는 양군 모두 테$1\~3$회(중앙값 2회)였다. 방사선 치료는 양군 모두 일일선량 $1.8\~2.0\;Gy$를 주 5회 조사하였다. 총 방사선량은, 유도 화학요법군의 경우 $69.4\~86\;Gy$ (중앙 선량 73.4 Gy), 동시 화학요법군은 $69.4\~75.4\;Gy$ (중앙 선량 70.8 Gy)였다. 추적기간은, 유도 화학요법군의 경우 $9\~l16$개월(중앙값 40.5개월), 동시 화학요법군은 $14\~29$개월(중앙값 21개월)이었다. 결과 : 전체 환자에서 2년 생존율은 $78.7\%$였다. 치료 방법별 2년 전체 생존율은, 유도 화학요법군이 $77\%$, 동시 화학요법군은 $87\%$였으며(p>0.05), 2년 무병 생존율은 각각 $56\%$$81\%$였다(p>0.05). 최종 치료에 대한 완전 관해율은 $75.5\%$$91.7\%$로 동시 화학요법군에서 높았으나 통계학적 유의성은 없었다. 방사선 치료시 grade $3\~4$의 혈액학적 독성은 양군에서 차이가 없었고, grade 2의 백혈구 감소가 동시 화학요법군에서 많았다 $(18\%\;vs\;66.7\%)$. Grade $3\~4$의 점막염은 동시 화학요법군에서 많았다$(4.0\%\;vs\;33.3\%)$. 전체적으로 grade $3\~4$의 급성 부작용이 동시 화학요법군에서 빈번하였고$(6.0\%\;vs\;41.7\%,\;p=0.005)$, 부작용으로 사망한 경우는 없었다. 결론 : 국소 진행된 비인강암에서 동시 화학요법을 시행함으로써 치료의 반응율과 2년 무병 생존율이 향상되는 경향을 보였으나, 통계학적 의의는 없었다. 따라서, 좀더 많은 대조군과 장기 추적관찰이 요구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