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loured rice

검색결과 8건 처리시간 0.022초

몇 가지 벼품종 현미층위별 항산화 물질의 함량 평가 (Evaluation on the Contents of Antioxidative Substance at the Different Layers in Several Rice Varieties)

  • 곽태순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257-263
    • /
    • 1998
  • Fifteen varieties of Oryza sativa mainly includig those of Korean native rice were exactly cutted into three layers such as L$_1$ layer (the outer part of 90% from rice center), L$_2$ layer(the part of 81 ~ 91% from the rice center) and L$_3$ layer(the inner part of 80% from the rice center) and ferulic acid derivatives, which play an important role of antioxidative action, were quantitiavely analyzed by UV absorption spectrometric method at fixed 314nm. From this experiment, it was found that the more it enters from the surface into the rice center, the more those secondary metabolites contents were highly reduced. The varieties showing contents more than 20 mg/g were as follows: Hwasunchalbyeo(25.8mg/g), Jojeongdo(24.1mg/g), Suwon425(21.2mg/g), Daigolbyeo(20.6mg/g) and Nonglimna 1(20.2mg/g) by this order. Estimation onthe anthocyanin contents of both Suwon 425 and Sanghehanghyeolna revealed that its total. contents were very exactly close each other. However, it was charateristically differentiated in the contents of L$_2$ layer with respect to showing a considerably higher content of Suwon 425 than of Sanghaehanghyeolna. Conclusively, the selected Suwon 425 variety, which is coloured and flavour volatile one, showed relatively higher contents of anthocyanin, ferulic acid derivatives in the L$_2$ layer as well as L$_1$ layer when compared with Sanghaehangyeolna and even other varieties. This fact suggested that Suwon 425 could be a promising candidate for the development of health rice food.

  • PDF

Variation of antioxidant activity in Korea-native weedy rice germplasm

  • Cho, Ei Ei;Kim, Ji-Young;Chung, Nam-Jin
    • 한국작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작물학회 2017년도 9th Asian Crop Science Association conference
    • /
    • pp.278-278
    • /
    • 2017
  • Brown rice grains are increasingly attended by consumers due to their potential health benefits of antioxidant capacity. Therefore, this research was carried out to evaluate the antioxidant activity of brown rice in Korea-native weedy rice germplasm. Two hundred and twenty one accessions of weedy rice used in this study were received from the National Agrobiodiversity Center of RDA, and were regenerated in the experimental field of Chonbuk National University. The sampled seeds were extracted using methanol and the extracts were analyzed using the 1, 1-dipheny-2-picrylhydrasyl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assay for antioxidant capacity determination. Among the all germplasm, the samples of seed coat in red colour, white colour, red -white mixing colour and brown colour were 171 (81%), 26 (12%), 12 (6%) and 2 (1%), respectively. The antioxidant activity values of all samples were varied in the range from 22.31% to 95.53 % and mean value was 82.09%. Depend on the seed coat colour, the average antioxidant activity of the extract of weedy rice seeds indicated that the following order in seed coat colour: red colour (89.11%) > the red-white mixing colour (70.67%) > brown colour (53.16%) > white colour (45.99%). The antioxidant activity of red coloured weedy rice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the others. It is suggested that Korea-native weedy rice accessions with high antioxidant activity could be developed as a potential functional food material by further research of component analysis.

  • PDF

특수 유색미, 향류미 및 한국 재래종 벼 종자의 층위별 항산화 및 간보호 활성 (Antioxidative and Hepatoprotective Activity of Colured-Scented and Korean Native Rice Varieties Based on Different Layers)

  • 박희준;곽태순;정원태;최종원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191-198
    • /
    • 1999
  • Fifteen varieties of Oryza sativa mainly including those of Korean native rice were exactly cutted into three layers such as L1 layer(the outer part of 92% from rice center), L2 layer(the part of 81∼91% from the rice center) and L3 layer(the inner part of 80% from the rice center) We biologically evaluated the antioxidative effect on the every layer(L1, L2 and L3) of all the varieties, by observing malondialdehyde (MDA) produced by galactosamine in the mouse. L1 layer of some varieties showed significant antiox idative effect, while L2 and L3 layer didn't show the activity. It was also suggested that coloured rice(Suwon 425 and Sanggaehangbyeolna) showed stronger activity than other general rices, probably due to high contents of anthocyanins. Successively, we evaluated antihepatotoxic effect, based on the determination of serum ALT and AST activity. Some varieties of only L1 layer, except for L2 and L3 layer, significantly decreased the serum ALT and AST activity. This finding indicate that oral diet of some raw rice are able to protect hepatotoxicities. Among all the samples tested, L1 layer of Suwon 425 showed the strongest antihepatotoxic effect. From quantitative analysis on ferulic acid derivatives, it was found that the more it enters from the surface into the rice center, the more those secondary metabolites contents were highly reduced. These findings above suggested that Suwon 425 could be a promising candidate for the development of health rice food.

  • PDF

벼 중생 적갈색미 신품종 '홍진주' (A New Reddish Brown Color Rice Cultivar 'Hongjinju')

  • 양창인;이규성;최용환;정국현;정오영;황흥구;이점호;김홍열;홍하철;이상복;이영태;양세준;강경호;조영찬;김선림
    • 한국육종학회지
    • /
    • 제43권6호
    • /
    • pp.513-518
    • /
    • 2011
  • '홍진주'는 1990/91년 동계에 수원383호와 '자광벼'가 교배된 $F_2$ 계통에 수원383호를 여교배하여 얻은 후대를 계통육종법으로 세대를 촉진시키고 각종 특성검정을 실시하면서 생산력검정을 통하여 중생 적갈색 유색미 계통을 선발하여 수원501호로 계통명을 부여하고 2004년부터 2006년까지 3개년간 지역적응시험를 실시한 결과 그 우수성이 인정되어 2006년 12월 농작물 직무육성 신품종 선정위원회에서 '홍진주'로 명명되어 중부 및 남부평야지에 적응하는 국가품종목록등재품종으로 선정되었는데 그 주요특성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홍진주' 출수기는 중부평야지 보통기 보비재배에서 8월 13일로 중생종이다. 2. 벼키는 82 cm정도로 준단간이고, 주당수수는 흑진주보다 작은 편이나 수당립수는 많고 현미천립중은 21.6 g으로 중소립이다. 3. '홍진주'는 도열병 균계검정과 밭못자리검정 결과 중약정도이고 흰잎마름병과 바이러스병 및 멸구류에 약하다. 4. '홍진주'는 불시출수, 내냉성, 수발아, 도복 등 생리장해저항성 검정에서 '흑진주벼'보다 양호한 특성을 보였다. 5. '홍진주'의 현미색은 적갈색이고 아밀로스함량은 낮은 편이다. 6. 기능성 생리활성 물질로 페놀릭산과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기존의 유색미 품종들보다 많이 함유하고 있다. 7. '홍진주' 현미 수량성은 보통기 보비재배에서 5.07 MT/ha로 '흑진주벼' 대비 16% 증수되었다. 8. 재배적지는 중부 및 남부평야지이다.

쌀을 첨가하여 제조한 식빵의 품질 특성에 미치는 Hydrocolloids의 영향 (Effects of Hydrocolloids on Quality Characteristics of Bread with Rice Flour)

  • 김양훈;이정훈;이시경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5권9호
    • /
    • pp.1324-1332
    • /
    • 2016
  • 강력분 80%와 쌀가루 20%에 baker's%로 검류로 HPMC, xanthan gum, guar gum, glucomannan 등을 각각 1% 첨가한 혼합분으로 만든 식빵의 품질 특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빵의 부피 및 비용적, 굽기 및 냉각 손실률, 수분 함량, 수분활성도, crumb 조직감, crumb 색도, 관능검사 등을 분석하였다. 식빵의 부피는 HPMC와 glucomannan 첨가구가 유의적 차이 없이 가장 컸고 xanthan gum 첨가구가 가장 작았으며, 비용적은 부피의 결과와 반대였다. 냉각 손실률은 guar gum 첨가구가 9.25%로 가장 높았고, glucomannan 첨가구가 7.78%로 가장 낮았다. 수분 함량은 저장기간 동안 glucomannan 첨가구가 가장 많았고 대조구가 가장 적었다. Crumb 조직감 특성에서 경도는 glucomannan 첨가구가 낮고 탄력성은 높아 부드러웠으며, xanthan gum 첨가구는 경도 값이 높아 부드럽지 못하였다. 응집성, 씹힘성, 검성은 glucomannan과 HPMC 첨가구가 가장 낮았고 xanthan gum 첨가구가 가장 높았다. Crumb 색도 측정에서 L 값은 HPMC 첨가구가 높았고 xanthan gum 첨가구가 가장 낮았다. a 값은 모두 유사하였으나, b 값은 HPMC 첨가구가 가장 낮아 밝았고 xanthan gum 첨가구는 가장 높아 어두웠다. 관능검사의 종합점수에서 HPMC와 glucomannan 첨가구가 유의적 차이 없이 높은 점수를, xanthan gum 첨가구가 낮은 점수를 얻었다. 이상의 실험으로 강력분과 쌀가루 8:2의 혼합분에 hydrocolloids를 첨가하여 식빵 제조 시 HPMC와 glucomannan의 첨가가 부피, 부드러움, 맛과 향, 노화 지연 등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동부(Vigna unguiculatal(L) Walp)의 개화후 일수경과에 따른 협실비대 및 품질의 변화 (Changes in Development and Nutrient Composition of Pod after Flowering in Cowpea 〔Vigna unguiculata(L) Walp〕)

  • 김수동;차영훈;조진태;권규칠;손삼곤;박상일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68-73
    • /
    • 1986
  • 동부의 생리적 성숙기와 풋 동부로 이용할 때의 적정 수확기를 구명하기 위해 서원동부를 공시해서 본 실험을 실시하였던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협장, 협폭은 개화후 10일에 최대에 달했고, 협후는 14 일에 최대로 된 후 쭈그러들기 시작하여 18 일에 안정되었다. 2. 깍지의 두께는 개화후 8일에 최대에 달한 후 얇아지기 시작했고, 깍지의 무게는 14일에 최대로 되었다. 3. 종실의 장과 폭은 개화후 10 일에 최대로 된 후 16 일까지 그 크기를 유지하다 작아지기 시작했으며 입중은 16 일에 최대에 달했다. 4. 탈녹색은 종실에서 개화후 8 일부터 깍지는 10일부터 시작되어 16 일에 협ㆍ실 모두 완전한 품종고유의 색이 되었다. 5. 개화후 8일부터 협실에서 수분감소가 일어나며 입중이 최대에 달한 생리적 성숙기의 종실 수분함량은 54.5%였다. 6. SiO$_2$는 협ㆍ실 어디에도 존재하지 않았고 T-N는 깍지에서 개화후 14일까지 감소하다 0.04%를 유지했고 종실에서는 0.20~0.24% 였으며 $K_2$O, CaO 및 MgO는 일정한 경향이 없었다. 7. Oil 함량은 개화후 일수가 경과함에 따라 감소하며, Carbohydrate는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8. 동부의 생리적 성숙기는 최대 입중이 되고, 완전 탈녹색이 된 개화후 16일이며, 풋 동부로 이용할 때는 개화후 12 일~16 일에 수확하는 것이 합리적이었다. 9. 개화후 10 일부터 발아력이 있으나 14 일 이후부터 정상적 발아가 가능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