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locasia antiquorum

검색결과 16건 처리시간 0.026초

토란(Colocasia antiquorum var. esculenta Engl.)의 생육과 생산성에 미치는 활성탄의 효과 (The Effect of Activated Charcoal on Growth and Yield in Taro, Colocasia antiquorum var. esculenta Engl.)

  • 최성규;박영태;윤경원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293-297
    • /
    • 2002
  • 약용과 식용으로 이용이 가능한 구황작물인 토란을 활성탄(Activate Charcoal)을 시용하여 재배할 경우 생산성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어 본시험을 수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활성탄시용에 따른 토란의 생장은 활성탄처리가 무처리에 비하여 엽장이 크고, 엽병속수가 많아 생육이 양호하였으며, 특히 활성탄 10%∼20%가 첨가되었을 때 효과가 인정되었다. 또한 지하부의 생장에서도 활성탄10%∼20%처리가 주당 괴경수가 많고 괴경중이 무거워 양호한 경향이었다. 한편 괴경(槐莖)의 수량과 부산물인 엽병(葉柄)의 수량은 활성탄 10%∼20%처리가 생육이 양호하여 증수되었다. 이상과 같은 결과로 보아 토란을 재배할 경우 활성탄의 효과가 인정되어 앞으로 작물의 종류에 따른 농도별 시험이 계속적으로 이루어 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축산폐수(畜産廢水)의 오염물질제거(汚染物質除去)를 위(爲)한 수초선발이용연구(水草選拔利用硏究) (Studies on the Nutrient removal potential of selected aquatic plants in the pig waste water.)

  • 김복영;김규식;박영대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111-116
    • /
    • 1988
  • 축산폐수(畜産廢水)의 정화방법(淨化方法)의 일환으로 사각(四角) pot에 수초(水草)인 부레옥잠, 물옥잠, 줄, 부들 창포 왕골, 토란을 이식하고 관수(灌水)하면서 재배(栽培)하고 건물생산량(乾物生産量), 식물체중(植物體中)의 질소(窒素)및 인산함량(燐酸含量), 질소(窒素) 및 인산흡수량(燐酸吸收量), 부레옥잠의 생육상황(生育狀況)등을 조사(調査)하여 축산폐수(畜産廢水)의 정화능력(淨化能力)을 조사(調査)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식물별(植物別) 질소(窒素), 인산함량(燐酸含量) 및 제거량(除去量)은 부레옥잠이 가장 높았다. 2. $NH_4-N$ 100ppm구(區)에서 건물수량(乾物收量)은 부레옥잠>줄>부들>물옥잠>창포의 순이었다. 3. $NH_4-N$ 100ppm구(區)에서 질소제거량(窒素除去量)은 부레옥잠>줄>물옥잠>부들>창포>토란>왕골> 순이었고, 인산(燐酸)은 부레옥잠>물옥잠>줄>부들>창포>왕골>토란순이었다. 4. 생육저해(生育沮害) $NH_4-N$ 농도(濃度)는 부레옥잠, 줄, 부들 은 200ppm이고, 물옥잠 및 창포는 100ppm이었다. 5. 부레옥잠에서 질소(窒素)는 잎에 인산(燐酸)은 부레에 많이 함유(含有)되어 있었다. 6. 부레옥잠의 년간(年間) 재배기간(栽培期間)을 7개월(個月)로보면 $NH_4-N$ 100ppm구(區)에서 분벽(分蘗)은 1개체(個體)가 752개(個)로 증가(增加)되고 건물수량(乾物收量)은 10a당(當) 5톤정도(程度)로 추정(推定)되었다.

  • PDF

약용식물인 야우 (Colocasia antiquorum Schott ) 의 주년재배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the Year-round Production of Colocasia antiquorum Schott in Medicinal Herb)

  • 이종일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59-65
    • /
    • 1991
  • 남부지방에서 무가온 하우스 및 터널등 피복재료로서 재배형을 달리하여 조기생산의 가능성을 구명하고자 본 시험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하우스내의 반촉성 재배 결과 7월 30일 조기수확이 가능하였으며, 특히 멀칭 + 터널구에서는 엽병수확이 1,600kg/10a을 생산할 수 있었고, 괴경수량도 700kg/10a 수확이 가능하였다. 2. 조숙재배의 1차 (8월 30일) 수확은 멀칭터널구가 엽병수량 4,200kg/10a, 괴경수량 1,900kg/10a을 생산할 수 있어 다른 수확에 비히여 크게 증수되었으며, 2차 (9월 30일) 수확에서도 멀칭과 멀칭 + 터널구가 괴경수량은 현저하게 배수되었다. 그러나 괴경수량은 8월 30일 보다 감소되는 경향으로서 조기재배는 8월 하순경이 식물체 지하부의 생장최성기가 되었다. 이상 결과로 보아 하우스내에서 야우을 3월 상순 안식할 경우 7월 하순경에 초기생산을 할 수 있었으며, 오역에서 조숙재배로 8월하순 조기생산을 할 수가 있어서 약용식물로 조기공급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친종우 종량에 따른 토란 주요형질 및 수량변이 (The Effect of Mother~Corm Weight on Growth and Yield in Taro , Colocasia antiquorum var. Esculenta ENGL.)

  • 최성규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129-137
    • /
    • 1992
  • In order to investigate the Possibility of utilizing corm as a seed corm In taro, the corm classified by the weight was planted on April 20, 1984. The effect of weight of corm (30, 50, 70, 90, 110, 130150r and 170g) on the growth, yield, and quality of taro was compared to those raised from cornel.The corm showed a better emergence rate than cermets regardless of its size. The larger the size ofcorm wasi the more the number of leaves developed, and the fisher the yield was. It was consideredthat the higher yield and better quality of taro was obtained by using larger corm as a mother corm( in the following year) due to the increase in the production of large taros.

  • PDF

토란의 생리.생태적 특성 및 다변량 해석법을 통한 유연관계 분석 (Physioecological Characteristics and Phylogenetic Relationships Based on Multivariate Analysis on Colocasia antiquorum Schott)

  • 최경구;유남희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5권3호
    • /
    • pp.177-185
    • /
    • 1997
  • 국내에서 품종보존이 거의 이루어지지 않은 토란의 생리, 생태적 특성조사와 다변량 해석법에 의한 수집계통간의 유연관계를 분석하였던 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출현기가 가장 빠른 계통은 구례2이었고 평균 출현일수는 21.7일이었다. 대부분은 엽병색이 녹색으로 초형이 직립형 혹은 개장형이었으나 엽병색이 자색류을 띄는 계통은 초형이 총생형이었다. 수집종 대부분이 일반적인 자구생성을 보였으나 대만1 만이 기다란 포복경(匍匐莖)(runner)외에 자구의 생성이 거의 없는 전형적인 모구형 계통이었다. 평균 총수확량은 3,719kg/10a로서 상당히 높았고 주당 총자구중은 787g, 자구수는 39.2개, 평균자구중은 20.3g이었으며 모구중은 263.6g이었다. 총자구중과 평균자구중, 그리고 모구중까지 동시에 양호한 계통으로는 청주1과 완주1이었다. 주요 24개 형질을 대상으로 다변량 해석법에 의한 유연관계 분석에서 지상부 엽병색이 56.8%, 자구의 형태가 44.4%로서 비교적 변이계수가 크게 나타났다. 유연관계의 거리D(${\sqrt{D^{2}}$)가 110인 선에서 11개의 계통군으로 분류할 수 있었는데 일본1을 포함하여 가장 많은 21 계통이 제2군에 포함되어 있고 대만1이 가장 유연관계가 먼 것으로 나타났다. 엽병색이 자색인 계통은 제3군의 3계통 중 두계통(음성1과 이천1), 제9군(부안2), 제10군(이리1)에 각각 한 계통씩 포함되어 있어서 다른 계통들과 구별되었다. 제8군에 포함된 청주1, 완주1, 완주3및 대천2는 모두 총수확량이 높은 공통점을 가지고 있었다. 분류된 계통간의 유연관계는 지리적 분포와 직접적인 연관성을 보이지 않는 경우도 있었다.

  • PDF

토란밭의 잡초발생(雜草發生) 양상(樣相)과 몇가지 제초제(除草劑)의 단제(單劑) 및 조합처리(組合處理)가 제초효과(除草效果)와 수량(收量)에 미치는 영향(影響) (The Pattern of Weed Occurence and the Effect of single or combinated Treatment of several Herbicides on Weed Control and Yield in Taro (Colocasia antiquorum var. esculenta Engl. ) Field)

  • 강병화;이상각;심상인;이기철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163-169
    • /
    • 1992
  • 본(本) 시험(試驗)은 1989년에 경기도 광주에서 토수(土垂)토란을 공시(供試)하여 재식밀도(栽植密度)는 60×30cm로 하고 손제초구(除草區)와 방임구(放任區) 외(外)에 Ethalfluralin과 Clomazone의 각각의 단제처리구(單劑處理區)와 Paraquat fb Ethalfluralin과 Paraquat fb Cloazone의 각각의 조합처리구(組合處理區)를 두어 토란밭의 잡초발생(雜草發生) 양상(樣相)과 각 처리(處理)에 따른 제초효과(除草效果) 및 수량(收量)에 관한 기초(基礎) 자료(資料)를 제공(提供)하고자 본(本) 시험(試驗)을 실시하였다. 주요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발생(發生) 잡초(雜草)는 총(總) 12과(科) 15종(種)이었다(돌피, 바랭이, 강아지풀, 개비름, 여뀌, 깨풀, 명아주, 좀명아주, 쇠비름, 참방동산이, 개갓냉이, 진득찰, 토끼풀, 괭이밥, 꽃바지). 2. 피>쇠비름>깨풀 순으(順)로 우점도(優占度)가 우세(優勢)하였다. 3. 단제처리구(單劑處理區)보다 조합처리구(組合處理區)가 높은 방제가(防除價)를 보였다. 4. 손제초구(除草區)에 비하여 방임구(放任區)의 수량(收量)이 91.8% 감수(減收)하였다. 5. 단제처리구(單劑處理區)보다 조합처리구(組合處理區)의 수량(收量)이 더 높았다.

  • PDF

박피 토란(Colocasia antiquorum SCHOTT)의 침지 보관액에 따른 저장효과 비교 (Comparison of Shelf-life on Peeled Taro(Colocasia antiquorum SCHOTT) Stored in Various Immersion Liquids)

  • 정승원;정진웅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154-160
    • /
    • 2002
  • 박피 토란의 저장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전해산화수, 유자과즙을 첨가한 전해산화수 및 명반수를 사용하여 제조한 침지저장액에 따른 저장 효과를 살펴본 결과, 토란 수분함량은 80.05%에서 저장 25일째 수분의 흡수로 인해 82.12~84.24%로 다소 증가하였으나 처리구간의 차이는 거의 없었다. 색도는 전반적으로 L값은 감소하였으며 a, b값이 증가되는 현상을 보여주었으며, 조직감은 모든 처리구에서 초기 4,520$\pm$75 g에서 점차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그 감소 폭이 유자과즙첨가구가 가장 적은 것으로 나타나 저장 25일째 4,160$\pm$80 g의 수준을 보였다. 총 vitamin C함량은 0.5%유자과즙 첨가 구에서 25일째 6.99 mg%로 약 57%의 보존율을 보여 가장 손실이 적었다. 총당은 대부분의 처리구에서 저장 15일째까지 급격히 하강하다가 저장 15일 이후에는 감소속도가 완만한 것을 볼 수 있었으며, 저장 중의 유리당의 함량은 저장기간에 따른 증감의 큰 변화 폭은 관찰할 수 없었다. 단지 sucrose 함량은 저장 중반기인 10일 전후에 일부 감소하다가 다시 증가하여 저장 25일째에는 처리구에 관계없이 저장 초기 값의 1.5~2배 수준에 도달하였으며, fructose, glucose, maltose는 저장기간별 처리구간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박피 토란의 주 아미노산은 aspartic acid와glutamic acid로 각각 1,084.8 mg/100g. 691.8 mg/100g으로 나타났으며, 전해산화수에 침지하여 저장한 경우 aspartic acid 함량이 초기보다 13.9% 수준 증가하였다. 한편, 필수아미노산총량은 유자과즙 첨가구에 저장한 경우가 총당 감소율 측면에서 가장 유리한 것으로 나타났다.

Analysis of Genetic Diversity of Korean Accessions of the Genus Acorus Using RAPD Markers and NIR Spectroscopy

  • Lee, Ja-Hyun;Kim, In-Seon;Lee, Seong-Gene;Rim, Kwang-Sub;Kim, Sung-Gil;Han, Tae-Ho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29권3호
    • /
    • pp.232-239
    • /
    • 2011
  • The genus Acorus is known as an indigenous medicinal plant. Genetic diversity of thirteen accessions of A. calamus and eight of A. gramineus, with an accession of Colocasia antiquorum and two of Iris pseudacorus as outgroups, were evaluated using RAPD markers for cluster analysis and principal coordinate analysis, and NIR spectroscopic profiles for principal component analysis.A total of 371 polymorphic bands were obtained by using the selected 12 random primers. The genetic distances were estimated from 0.03 to 0.31 within A. calamus and from 0.03 to 0.51 within A. gramineus. The dendrogram and three-dimensional plot separated the accessions into four distinct groups (A. calamus, A. gramineus, C. antiquorum, and I. pseudacorus). Moreover, for the diversity among genus Acorus, eleven A. calamus accessions, one A. gramineus accession, and two I. pseudacorus accessions were non-destructively analyzed from their leaves by NIR spectroscopy, which discriminated Acorus accessions like the RAPD analysis. Interestingly, thirteen accessions of A. calamus were clustered into two groups based on RAPD and NIR analyses, which indicates that there are two ecotypes of A. calamus in Korea. An accession (CZ) of A. calamus with yellow stripe on leaves was closely grouped with another (CX) at a genetic distance (GD) of 0.03, which shows that the stripe trait might be generated by chimeric mutation. The genetic distance between A. calamus and A. gramineus was revealed to be farthest from 0.80 to 0.88 GD. In genus Acorus the genetic diversity and genetic variation were identified by using RAPD marker technique and non-destructive NI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