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llision accident reconstruction

검색결과 27건 처리시간 0.023초

타이어 펑크 차량의 주행 및 충돌후 거동 (Coasting and Post-impact Motion of a Vehicle With Tire Blowout)

  • 한인환;임상현;박종찬;최지훈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32권5호
    • /
    • pp.503-512
    • /
    • 2014
  • 본 논문에서는 펑크 타이어 힘 시험 연구 결과들을 다양하게 수집하고 분석하여, 펑크(blow-out) 타이어 차량 동적 거동 해석을 위한 구름저항력(rolling resistance), 셀프 얼라이닝 토크(self aligning torque), 코너링 강성(cornering stiffness), 반경방향 강성(radial stiffness)과 같은 관련 계수들의 적정값을 추정하였다. 이러한 타이어 펑크 관련한 입력계수들을 자동차 사고 해석 상용 프로그램에서 설정하여 타이어 펑크 효과를 구현한 시뮬레이션 해석을 수행하였다. 그리고, 정상 차량들 간의 다양한 충돌 형태들과 속도 등을 참조하여, 펑크 차량의 충돌 유형들을 구성하고 시뮬레이션 해석을 수행하여 충돌 특성을 구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타이어 펑크 혹은 손상에 대한 고려는 보다 신뢰성 있는 자동차 사고 재구성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자동차 교통사고 시 에어백에 의한 안면부 손상특성 (Facial Injury after Airbag Deployment in Occupant Motor Vehicle Accident)

  • 이희영;이강현;이정훈;성실;강찬영;김호중;김상철;윤영한
    • 자동차안전학회지
    • /
    • 제8권3호
    • /
    • pp.10-15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injury mechanism of facial injury related to an air-bag's deployment in occupant motor vehicle accident (MVA) by using Hospital Information System (HIS) and reconstruction program, based on the materials related to motor vehicle accidents. Among patients who visited the emergency department of Wonju Severance Christian Hospital due to motor vehicle accidents from August 2012 to February 2014, we collected data on patients with agreement for taking the damaged vehicle's photos. After obtaining the verbal consent from the patient, we asked about the cause of the accident, information on vehicle involved in the accident, and the location of car repair shop. The photos of the damaged vehicle were taken on the basis of front, rear, left side and right side. Damage to the vehicle was presented using the CDC code by analytical study of photo-images of the damaged vehicle, and a trauma score was used for medical examination of the severity of the patient's injury. Among the 309 patients with agreement for an investigation, thirty five (11.3 %) were the severe who had ISS over 15. And also, sixteen (5.2%) derived from the reconstructed data (maximum collision energy, maximum acceleration, delta V) by PC-Crash. As a result, ISS including the facial injuries was affected by the condition. It was high when the number of crash extent, the safety belt was not fastened, and the seating position of occupant and the direction of collision is same. For accurate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occupant injury and vehicle damage in MVAs, build-up of an in-depth database through carrying out various policies for motor vehicle accidents is necessary for sure.

마찰력이 수반된 자동차 충돌의 동역학적 해석 (Dynamic Analysis of Automobile Collisions with Friction)

  • 한인환
    • 한국자동차공학회논문집
    • /
    • 제2권2호
    • /
    • pp.1-11
    • /
    • 1994
  • The most commonplace of collisions that directly affect people is that of vehicles. Safety studies have noted a correlation between vehicle occupant injury severity and velocity changes. Methods for estimating collision velocity changes are discussed here. This topic is part of what is referred to as accident reconstruction. Only planar collisions are considered. When a vehicle collides with another, impact dynamics with friction should be considered. This paper presents a general analysis methodology of impact. must dynamics incorporating friction. The presence of friction between sliding contacts during the impact makes the problem difficult since the events such as reverse sliding or sticking, which may occur at different times throughout the impact, must be determined. This paper uses the results of RICSAC experiments for verifying the developed methodology. The analysis and experimental results agree well.

  • PDF

한국형 보행자 사고재현 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Development of Korean Pedestrian Accident Reconstruction Model)

  • 이수범;류태선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23권6호
    • /
    • pp.103-113
    • /
    • 2005
  • 교통사고 중 차대보행자 사고의 원인분석은 차대차 사고에 비해 관련 연구가 미흡한 실정이다. 국내에서도 차대차 사고의 경우에는 실차충돌실험을 통해 많은 자료를 축척하고 이를 체계화하여 다각적인 방법으로 실제 교통사고에 적용하려는 노력이 있으나 차대보행자 사고의 경우에는 아직 시작단계라고 볼 수 있다. 선진국에서는 차대보행자 사고에 대하여 더미를 이용한 실차충돌실험을 통해 많은 모형을 개발하였고, 이를 보행자사고의 정확한 원인분석을 위해 활용하고 있다. 국내에서는 차대보행자 사고의 해석과 관련된 모형이 개발되지 않아 외국의 모형을 그대로 활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외국의 모형을 이용하게 되면 차량과 보행자의 체위특성이 다른 경우 왜곡된 결과가 도출될 가능성이 많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그 동안 수집된 보행자 사고자료를 이용하여 국내 실정에 적합한 차대보행자 충돌모형을 개발하였다. 그 결과 차량의 속도에 따라 외국의 모형과는 다소 상이한 결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외국의 모형 중에서는 차량 및 보행자의 체위 특성이 유사한 일본의 모형과 가장 흡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 결과는 수십개의 자료를 이용한 것으로 장래에 보다 폭넓은 자료를 통하여 모형의 신뢰성을 높이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보행자 충돌안전기준 도입에 따른 사망자수 감소 효과 추정 (Estimation of Fatality Reduction by Introducing Technical Regulation on Pedestrian Protection)

  • 오철;강연수;김원규;김범일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49-57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보행자와 차량의 충돌 시 보행자의 상해를 감소시키기 위한 충돌안전기준의 도입에 따른 보행자 사망자수 감소 효과를 추정하는 방법론을 개발하였다. 국내 교통환경 특성을 반영한 보행자 사망확률모형을 개발하고, 사망자 감소 효과 추정에 반영하였다. 사고재현을 통해 추정된 충돌속도를 보행자 사망확률모형의 주요 변수로 사용하였다. 모형의 개발을 위해서는 logistic regression 기법을 적용하였으며, 충돌안전기준의 주요 변수인 HIC(Head Injury Criterion)와 충돌속도의 변화에 따른 사망자수 감소효과를 계량화하여 제시하였다. 제안된 방법론은 향후 국내 실정에 부합되는 충돌안전기준의 개발, 보행자 보호를 위한 첨단 차량의 개발, 보행자 안전을 위한 정책 수립 등을 지원하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할 것으로 기대된다.

차량 정면충돌 및 추돌시 유효충돌속도에 따른 탑승자 상해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haracteristics of Passenger Injury for Effective Impact Speed in Vehicles Frontal Collision and Rear-ender)

  • 조정권;윤준규;임종한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5권4호
    • /
    • pp.239-247
    • /
    • 2015
  • 최근에 자동차 사고발생 빈도수가 높은 정면충돌사고와 추돌사고에 대해 사회적 관심도 높아지면서 다양한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자동차 충돌사고에서 재구성을 위한 유효충돌속도와 인체상해발생정도의 관계를 과학적으로 분석하여 관련 모형식을 제시하였으며, 인체상해가 가능한 자동차 실차실험의 한계가 명확하므로 이를 대신하여 각종 충돌실험자료와 인체실험자료 등을 심층 분석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로 정면 및 추돌사고의 경우에는 유효 충돌속도가 7 km/h 이하에서는 상해가 발생하지 않는 임계치를 나타냈으며, 충돌속도와 소성변형량 정도를 통해 상해정도가 유효충돌속도에 선형적으로 비례하는 모형식을 제시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하여 새롭게 제시된 유효충돌속도와 상해발생정도의 추정모형은 사고재구성에서 최소한의 공학적 판단기준으로 활용 가능하여 법적 분쟁시 유익한 정보를 제공할 것으로 사료된다.

정면충돌 시 차량 탑승자의 하지 손상기전에 대한 분석 (Analysis of Lower Extremity Injury Mechanism Centered on Frontal Collision in Occupant Motor Vehicle Crashes)

  • 이희영;이정훈;전혁진;김호중;김상철;윤영한;이강현
    • 자동차안전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7-12
    • /
    • 2018
  • Injury mechanisms of lower extremity injuries in motor vehicle accidents are focused on fractures, sprains, and contusion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analysis of lower extremity injury mechanism in occupant motor vehicle accident by using Hospital Information System (HIS) and reconstruction program, based on the materials related to motor vehicle accidents. Among patients who visited the emergency department of Wonju Severance Christian Hospital due to motor vehicle accidents from August 2012 to February 2014, we collected data on patients with agreement for taking the damaged vehicle's photos. After obtaining the verbal consent from the patient, we asked about the cause of the accident, information on vehicle involved in the accident, and the location of car repair shop. The photos of the damaged vehicle were taken on the basis of front, rear, left side and right side. Damage to the vehicle was presented using the CDC code by analytical study of photo-images of the damaged vehicle, and a trauma score was used for medical examination of the severity of the patient's injury. Among the 1,699 patients due to motor vehicle crashes, 88 (5.2%) received a diagnosis of lower extremity fracture and 141 (8.3%) were the severe who had ISS over 15. Nevertheless during 19 months for research, it was difficult to build up in-depth database about motor vehicle crashes. It has a limitation on collecting data because not only the system for constructing database about motor vehicle crash is not organized but also the process for demanding materials is not available due to prevention of personal information. For accurate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occupant injury and vehicle damage in motor vehicle crashes, build-up of an in-depth database through carrying out various policies for motor vehicle crashes is necessary for s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