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llembola phylogeny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19초

New Family Gulgastruridae of Collembola (Insecta) Based on Morphological, Ecobiological and Molecular Data

  • Byung Hoon Lee;Jean Marc Thibaud
    • Animal cells and systems
    • /
    • 제2권4호
    • /
    • pp.451-454
    • /
    • 1998
  • Gulgastrura reticulosa, first described by Yosii (1966) as a monotypic new genus from a Korean limestone cave, was reviewed for its systematic position by c1adistic analysis of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investigation of its intermaulting period and reproductive cycle as well as allozyme and 18S rDNA analysis. The great extent of divergence was strongly suggested by its combined lack of sensory organs (third antennal organ, postantennal organ, eyes, pseudocelli) with simultaneous development of an 'apical organ'at the tip of the antennae. The obvious divergence from any existing Collembola families was additionally supported by the extremely prolonged intermoulting period as well as by the low strap value it showed with Onychiuridae as obtained by 18S DNA sequence analysis. All these were considered Justifying the creation of a new family, Gulgastruridae, but still revealing more allied to Onychiuvidae rather than to Hypogastruridae.

  • PDF

한국산 털보톡토기과(곤충강)의 표현형과 효소유전자형질에 대한 분지분석 (A Sustematic Study of Korean Entomobryidae(Collembola, Insecta) Based on Cladistic Analysis of Phenotypic nd Allozyme Data)

  • 이병훈;박경화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265-288
    • /
    • 1991
  • 한국산 털보톡토기과(Collembola, Insecta)의 계통유연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이 과에 속하는 3개속(Sinella, Entomobrya, Homidia)의 6종과 가시톡토기과의 1종(Tomocerus kinoshitai)에 대하여 모서식과 형태적 조사 외에 전기영동을 이용한 효소분석을 시리시하였다. 이들 모든 조사에서 32개의 형태형질과 33개의 모서식형질 및 80개의 효소유전자 형질을 얻어 분지분석하였는데, 이중 효소유전자에 대해서는 UPGMA방법도 적용하였다. 이러한 분석 결과 다양한 분지도를 얻었으나, Homidia종들은 언제나 두 개의 무리로 분리되었으며, Homidia munda의 두 아종이 가장 유연관계가 높았다. 반면에 Homidia koreana의 두 개체군은 다소 분리되어 같은 종으로 보기 의심스럽다는 소견을 얻었다. 또한 형태형질분석으로 얻은 계통수에서 가시톡토기과의 Tomocerus종이 털보톡토기과의 속들 사이에 끼어들어 나타나는데 이것은 형질에 따라 비중을 달리두는 평가방법이 아니기 때문에 나타난 것으로 추측된다. 본 연구 결과 대체로 외부형질과 모서식, 그리고 효소유전자의 세가지 유형의 형질들을 종합 분석할 때 도출되는 계통수가 자연분류에 가장 가까운 근연성을 보이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한국산 털보톡토기상과 (톡토기목, 곤충강)의 계통과 종분화 (Phylogeny and Speciation of Entomobryoidea (Collembola, Insecta) from Korea)

  • 박경화;김진태;이병훈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12권2호
    • /
    • pp.121-136
    • /
    • 1996
  • 톡토기목 가운데 털보톡토기상과에 속하는 3개 과의 종들간의 유연관계를 조사하기 위하여 이들 과에 속하는 3종 및 인접 상과에 속하는 3과 4종에 대해 유전자분석을 실시하 였다. 이를 위해서 전기영동을 실시하고 대립유전자빈도를 구한 후 유전적차이치(D)를 이용 하여 UPGMA 방법으로 dendrogram을 작성하였다. 그 결과 분절아목 중 털보톡토기상과에 속하는 마디톡토기과, 털보톡토기과 및 가시톡토기과의 종들이 함께 유집되었고, 인접상과인 보라톡토기과, 어리톡토기과 및 혹무늬톡토기과의 종들이 함께 유집되었다. 한편 가시톡토기 과의 종은 털보톡토기과의 종과 그리고 혹무늬톡토기과의 종은 보라톡토기과의 종과 가깝게 유집이 되기는 하나, 이들 종간의 유전적 차이값이 매우 높아 일부 학자의 견해대로 한 과 에 속하는 두 아과로 놓기보다는 별개의 과로 두는 것이 타당하다고 판단되었다. 아울러 굴 톡토기는 어리톡토기과와 유집되기는 하나 유전적차이가 크므로 독립된 과로서의 성격이 인 정된다. 이 결과는 형태형질 및 18S rDNA 염기서열을 분석한 결과와도 대체로 일치하였다.

  • PDF

한국산 가시톡토기 과 (곤충 강: 톡토기 목)의 문제 2아속의 계통분화 (Phylogenetic Study of Two Problematic Subgenera of Tomoceridae (Insecta : Collembola) from Korea)

  • 박경화;이병훈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15권1호
    • /
    • pp.11-25
    • /
    • 1999
  • 가시톡토기 과에서 분류학적으로 문제되는 2아속 3종의 유연관계를 밝히기 위해 형태형질 및 효소유전자분석을 실시하였다. 형태형질분석과 효소의 분석에서 서로 다른 계통수가 만들어졌다. 형태형질분석에서는 아속간에 분리가 이루어지지 않았으나 효소분석의 경우 아속간에 확실히 구분되었으며 유전적 차이도 매우 컸다. 그러나 이들 계통수들은 distance method나 분지분석방법에서 모두 같은 분지순서를 나타냈는데 특히 형태형질분석의 경우에 형질평가방법과 형질비평가 방법을 사용했음에도 불구하고 결과는 같았다. 본 연구 결과 어떤 중요한 형태적인 형질이 효소분석에서 처럼 유전적 분화를 나타내면 강렬한 분류형질이 될 수 있다고 생각된다.

  • PDF

혹무늬톡토기과의 형질평가 및 형질비평가방법에 의한 CLADISM 분석 (Cladistic Analysis of Neanuridae(Collembola) Using Character Weighted and Character Unweighted Approaches)

  • 이병훈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1권1_2호
    • /
    • pp.3-20
    • /
    • 1985
  • 혹무늬 톡토기과의 56개 아과들에서 20개 형질복합을 추추랗여 형질평가방법과 Wagner algorithm의 형질 비평가방법을 사용하여 계통수를 작성, 비교하였다. 전자의 방법을 이해 진화적 형질순서와 극성을 결정하고 고등급의 파생공유 형질을 토대로한 단계통군과 자매군을 확인하여 계통분화를 추적하였다. 이 두가지 방법에 의한 계통수에서 분지 방식은 매우 다르게 나타났으나 나열순서는 유사했고, 단지 마지막의 2개 아과가 후자에서는 반대로 나타났다. 그 원인은 후자의 방법으로는 파생혈질수가 많은 분류군에서의 형질상태가 Wagner algorithm에서 누적효과를 일으킨 때문인 것으로 생각되며, 아울러 1, 10 및 20 번 형질의 적응이동(adaptive shift) 상 나타낼 중요한 의의를 적절히 평가 반영할 수 없는 것으로 추정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