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llections Management

검색결과 227건 처리시간 0.029초

기록물의 인터랙티브 시각화 적용에 관한 연구 - 국가기록원 기록물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Interactive Visualization Techniques to the Collections of the National Archives of Korea)

  • 유지윤;김지현
    • 한국기록관리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31-67
    • /
    • 2016
  • 최근 다양한 형태의 디지털 기록물들이 증가하면서 이를 기술하고 접근을 제공하는 방식에도 변화가 요구되는 실정이다. 미국, 호주, 영국 등 해외의 문화유산기관에서는 방대한 양의 기록을 한 눈에 브라우징 할 수 있도록 해주는 인터랙티브 시각화를 도입하여 기록물에 접근하는 방식을 다양화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인터랙티브 시각화 기법을 기록물에 적용하기 위해 인터랙티브 시각화의 필요성을 조명하고 해외 문화유산기관의 인터랙티브 시각화 사례를 분석하였다. 사례분석을 통해 도출한 공통된 시각화 요소 및 기법을 적용하여 국가기록원의 기록물을 다양한 방식으로 시각화하였다.

박물관 환경디자인에 관한 기초적 연구(1)-유물의 수장화 과정과 공간특성을 중심으로- (A basic study on the Environmental Design of Museum(1)-Focusing on the Preservation Process of Collections and Characteristic of Space-)

  • 임채진;천혜선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2호
    • /
    • pp.67-77
    • /
    • 1997
  • Preservation space is a functionally$\ulcorner$core$\lrcorner$in a museum. Gernerally, it is a common view that collections are exhibited within 5% of total stored collections. So that, part of collections are cycled exhibition space centering around preservation space, and that is a important mechanism of collections circulation in a museum. It is the best way that collections should be $\ulcorner$conserve$\lrcorner$ in a stable condition, but inevitably collections are exposed as stable condition, but inevitably collections are exposed as called $\ulcorner$exhibition$\lrcorner$. For that reason the function of $\ulcorner$exhibition$\lrcorner$. For that reason the function of $\ulcorner$exhibition$\lrcorner$for 'showing' and the function of $\ulcorner$preservation$\lrcorner$for 'conserve'are contrary to each other's concept, so it is principle of scheme that these concepts should be functionally connected with and planned$\ulcorner$match$\lrcorner$. In addition, various studies (for example, comparative analysis of collections, examination of collections for conserved condition or special exhibition, and classification of new item, etc.) are worked in preservation space. Therefore, preservation space should not be considered as a warehouse, should be composed not only$\ulcorner$comfortable place to rest of collections$\lrcorner$but also $\ulcorner$part of study room$\lrcorner$in a museum. So that, environment of museum should be established by plan to preservation and management. The point of plan to museum is that minimize dangerous element for collections, and then develop an essencial element of space for$\ulcorner$conservation$\lrcorner$and$\ulcorner$exhibition$\lrcorner$. The reason why with a few exceptions (buildings which have being exposed or extremely minor part of collections) most of collections have been lasting its life during over hundreds of years with adapting itself to natural features, so scheme of preservation facilities should be made up with understanding and analysis generic character of collections, and then establish proper temperature and humidity environment.

  • PDF

전문대학 도서관 취업관련자료의 효율적 활용방안 연구 (A Study on the Efficient Management of Job-related Collections in College Libraries)

  • 조인숙;김문규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211-229
    • /
    • 2011
  • 본 연구는 전문대학의 직업교육 분야와 밀접하게 연관된 취업관련자료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활용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문헌조사, 전화인터뷰 조사, 설문지 조사를 통해 자료 수집을 하였으며 이를 분석한 결과를 토대로 취업관련자료의 효율적인 활용방안을 도출하였다. 자료의 효과적인 관리 및 자료구입예산의 효율화를 위해 도서관이 주도적으로 취업관련자료 업무를 담당하되, 자료의 비치 관리는 학생의 접근성과 이용 편리성, 활용성을 고려해 도서관과 취업부서가 연계하여 공동으로 서비스를 수행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는 결론을 얻었다. 또한 취업관련자료의 개발을 도모하기 위해 도서관은 전문대학의 교육목적과 특성을 고려한 전공계열별 공통 기초전공자료의 개발, 전공관련 자격증과 연계되는 핵심 취업전공자료 개발, 직업실무중심자료 집중 확보 등의 방안을 강구해야 할 것이다.

An Approach to Art Collections Management and Content-based Recovery

  • De Celis Herrero, Concepcion Perez;Alvarez, Jaime Lara;Aguilar, Gustavo Cossio;Garcia, Maria Josefa Somodevilla
    • Journal of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s
    • /
    • 제7권3호
    • /
    • pp.447-458
    • /
    • 2011
  • This study presents a comprehensive solution to the collection management, which is based on the model for Cultural Objects (CCO). The developed system manages and spreads the collections that are safeguarded in museums and galleries more easily by using IT. In particular, we present our approach for a non-structured search and recovery of the objects based on the annotation of artwork images. In this methodology, we have introduced a faceted search used as a framework for multi-classification and for exploring/browsing complex information bases in a guided, yet unconstrained way, through a visual interface.

연극기록물의 수집방안 연구 (A Study on the Acquisiton Methods of Theater Collections)

  • 정은진
    • 기록학연구
    • /
    • 제29호
    • /
    • pp.35-78
    • /
    • 2011
  • 연극은 공연예술을 대표하는 분야로 우리나라의 근대의 시작과 역사를 함께하고 있다. 그러나 그 동안 연극기록물을 관리하고자 했던 노력이 부족해 이미 유실되고 흩어져버린 기록물이 대부분이다. 특히 연극이라는 공연예술의 특성에 따라 작품 자체는 일회로 공연되고 사라져버리는 것이므로, 후대가 공연을 향유하고 연구하기 위해서는 관련 기록을 통해 흔적을 찾아볼 수밖에 없는 현실에서 연극 기록물을 수집하는 것은 매우 중대한 과제라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당대에 행해지는 연극행위에 따른 기록물을 수집하는 것을 목적으로 기록물의 종류와 특성을 분석하고, 이 분석한 내용을 기반으로 수집범위, 대상, 우선순위, 수집 수준, 수집 방법을 제안하였다. 수집의 범위는 우리나라의 근대극이 시작된 1900년대 이후에 전국적으로 행해진 연극 관련 기록물로, 기획행정 희곡(대본) 연출 무대디자인 홍보 공연 평가 개인 기록물 외에 개인정보와 단체정보, 공간정보의 관련정보 기록물을 그 대상에 포함한다. 기록물은 일반기록물과 역사기록물로 구분하여 역사적 가치가 있고 공공기관의 지원에 의해 공연된 연극을 우선적인 수집 대상으로 정한다. 다양한 기록물의 수집 수준을 결정하기 위해 '원본수집', '사본수집', '웹 링크', '데이터베이스'로 구분하고 공연의 성격에 따라 '필수', '권장', 재량'의 정도를 정해 수준을 제안하고 이관, 기증, 기탁, 구입의 일반적인 수집 방법과 복사, 제작, 납본, 입력, 웹 링크 연결 등의 방법으로 기록물을 수집할 수 있다. 이러한 수집 방안의 실행을 위해서는 수집의 수행과 기록물의 활용은 디지털 기반 환경에서 통합적으로 이루어져야 하고, 통합 관리를 위한 중앙 집중형 기관 설립을 전제로 해야 하며, 연극의 이해관계자와 유관기관 간의 협력을 필요로 할 것이다.

수장공간의 조도기준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Illuminance Recommendations for a Museum Storage Area)

  • 김홍범
    • 조명전기설비학회논문지
    • /
    • 제16권5호
    • /
    • pp.1-6
    • /
    • 2002
  • 박물관의 수장공간은 박물관의 가장 기초적인 기능을 수행하는 핵심 공간의 하나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반적인 사무실이나 공장의 창고로 생각하여 소홀히 다루어지는 경우가 많다. 본 논문에서는 수장고의 조명계획시에 검토해야 할 요소를 살펴보고, 조명의 정량적인 기준인 조도에 대해서 검토하였다. 자료의 보존을 고려한다면 조도가 낮을수록 바람직하나, 자료관리를 감안한다면, 현재의 권장조도기준이 상대적으로 낮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수장공간의 조도기준을 200[㏓]로 상향조정하고, 여타의 부속공간은 국부조명에 의해 조절하는 것이 타당하다.

대구·경북지역 폴리에스테르 직물의 표준색표집 설계 (The Planning of Polyester Fabric Standard Color Collections in Daegu, Gyeongbuk)

  • 이경희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5권4호
    • /
    • pp.337-350
    • /
    • 2003
  • Fiber industry is export leading industry that guide national economy development after the 1960s in Korea. But lately, including China and Southeast Asia pursuit, domestic fiber industry is taking serious situation. Various kind methods can be proposed for high value added in fiber industry, the research about color is essential. The importance of color is increasing in modern textile and fashion industry. Color is important factor of textile and fashion industry because color affects strong influence in human's sensitivity. Color expresses by hue, value and chroma but fashion industry is using mainly hue and tone color system. Daegu Gyeongbuk area is domestic maximum syntheic fiber producing district. This study planned the polyester standard color collections for general color management of the polyester industry in Daegu Gyeongbuk. As basic research for this I investigated the color appearance distribution of polyester fabrics in Daegu Gyeongbuk that were produced for the recently 10 years and Japanese polyester color collections "SCOTDIC 2450". Reflect these study finding, in this research planned the usable standard color collections "Hue and Tone Polyester Standard Color 288". This research constructs insufficient domestic color infrastructure and expect that basic role to develop the competitive power for Korean fiber industry.

디지털 도서관 콘텐츠 관리를 위한 KORMARC/EAD 통합시스템 구현 (Implementation of a KORMARC/EAD integrated system for the Myongji Digital Library Collections)

  • 김현희
    • 한국기록관리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119-131
    • /
    • 2002
  • 본 연구는 디지털도서관 콘텐츠를 관리할 KORMARC/EAD 통합시스템을 설계하고 구현하였다. 본 연 구의 목적은 명지대학 디지털도서관의 국제한국학 콜렉션과 단행본을 관리할 메타데이터를 설계하고 아울러 기록물정보관리의 모형 구축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메타데이터를 설계하기 위해서 기록물의 목록 규칙과 관련된 네 가지 종류의 자료 즉 국제표준기록물기술[ISAD(G)], 미국 기록물/필사본 기계가독목록(USMARC AMC), EAD 및 Ebind를 참조하였다. 시스템은 검색 모드와 입력 모드로 구성된다. 검색은 KORMARC를 이용하여 단행본과 콜렉션을 통합 검색할 수 있으며 콜렉션인 경우 링크를 통해서 EAD/XML을 활용한 인벤토리로 연결된다. 인벤토리는 기록물에 대한 상세 정보 뿐 아니라 PDF 형식의 전문 이미지 데이터를 제공하며 단행본인 경우 KORMARC 의 856 태그를 이용하여 전문 이미지 데이터를 제공한다. 입력 모드는 목록과 인벤토리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스크린을 제공한다. 시스템에 대한 이용자 만족도, 시스템의 개선점 및 향후 콜렉션을 포함한 다양한 기록물 관리 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얻기 위하여 설문지를 이용하여 시스템을 평가해 보았다. 평가 분석 결과는 향후 시스템을 갱신할 때 활용할 수 있도록 정리하였고, 제안된 시스템이 좀 더 개선되기 위한 방안 세가지를 끝으로 제시하였다.

미국 9/11 메모리얼의 설립과 재난컬렉션 수집에 관한 연구 (A study of Establishment and Acquisition for Disaster Collections on The National September 11 Memorial & Museum)

  • 정혜지;이승휘
    • 기록학연구
    • /
    • 제55호
    • /
    • pp.235-273
    • /
    • 2018
  • 미국 뉴욕에 자리한 9/11 메모리얼은 2001년 9월 11일 미국 지역에서 일어난 테러 및 1996년 2월 26일 뉴욕 WTC 폭탄테러와 관련된 컬렉션을 관리하는 기관이다. 설립 당시부터 시민참여 프로그램에서 추모시설의 필요성과 세부적인 특징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졌고, 개관 이후에도 지속적이고 자발적인 기증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관련법의 제정으로 안정적인 운영이 보장된 기관이다. 한편 전 세계에 분포된 불특정 다수의 생산자에게서 기록을 수집하기 위해 9/11 메모리얼은 구입 오프라인 기증뿐 아니라 온라인에서도 웹사이트 이용자를 중심으로 한 수집 활동을 진행하고 있다. 재난기록을 잘 관리하기 위해서는 시민여론과 정부와의 공정한 논의 하에 합리적인 의사결정이 내려져야 한다. 이 과정에서 재난기록 관리는 추모, 기억 보전, 교육, 진상규명, 학제적 정보자료를 마련하기 위한 중요한 수단으로서 함께 논의되어야 하며, 이를 통해 재난 이후 기록관리 분야에서의 협력적인 거버넌스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공공도서관 장서관리 현황 분석 (Examining the Collection Management Process in Public Libraries)

  • 이지연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3권3호
    • /
    • pp.247-267
    • /
    • 2009
  • 이 연구는 국내 공공도서관의 장서관리 현황을 분석하고 요구사항을 조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장서관리의 세부운영지침을 조사하고 공공도서관의 유형에 따라 장서관리 지침 및 요구사항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공공도서관의 장서관리 지침은 세부적으로 일부 이용자와 관련하여 명시하기 쉬운 업무를 위주로 성문화된 지침을 가진 곳이 많았으나 포괄적으로 장서관리를 다루는 체계적인 장서관리 지침이 마련된 곳은 없었다. 특히 작은도서관, 병원, 교도소, 병영도서관 등 전문 인력과 재원이 부족한 작은 규모의 도서관에서는 체계적인 장서관리 업무에 어려움을 겪거나 실무에 바로 참고할만한 지침을 갖고 있지 못한 경우가 많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