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llection management

검색결과 2,540건 처리시간 0.031초

정보 수집 최적화 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ollecting Optimization for KISTI's collection)

  • 황혜경;오주은
    • 정보관리연구
    • /
    • 제32권3_4호
    • /
    • pp.96-122
    • /
    • 2001
  • 본고는 국가 대표 정보센터의 역할을 수행할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의 정보수집 최적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기초 연구이다. 이를 위해 우선 국내와 해외의 도서관 및 연구소 자료실의 정보수집 현황을 살펴보고 KISTI의 정보수집 현황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정보수집의 최적화를 위한 방향을 제시하고 향후 수행해야 할 정책적 과제에 대하여 언급하였다.

  • PDF

u-Manufacturing 생산현장 정보취합 및 관리 방안 (Shop-Floor Information Management for u-Manufacturing)

  • 김동훈;송준엽;이승우;차석근
    • 한국정밀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밀공학회 2005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942-945
    • /
    • 2005
  • This paper tried to analyze the collection and management method of shop-floor information for development of digital framework in u-manufacturing. In detail, the shop-floor information collection method through the direct communication with manufacturing devices using network Including RS-232C/422, field bus and ethernet is analyzed and proposed. In case the direct communication is impossible, the information collection method through additional sensors or data acquisition units is analyzed and proposed. Moreover, the collection method through bar code reader or touch screen of operators is analyzed and proposed to act up to machine to man/mobile/machine.

  • PDF

웹을 이요한 데이터 수집 및 관리에 관한 연구 : 강의평가 시스템 구현 (Data Collection and Management on the World Wide Web : Evaluating system for Lecture)

  • 안정용;최승현;한경수
    • 응용통계연구
    • /
    • 제13권2호
    • /
    • pp.287-296
    • /
    • 2000
  • 데이터 수집과 관리, 그리고 분석을 통한 정보의 제공은 통계학의 기본적 사안이며, 다량의 데이터가 양산되는 현대 사회에서 그 중요성은 더욱 확대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분야에 대한 연구는 분석분야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많이 이루어지지 못한 것이 사실이다. 본 연구에서는 웹을 활용한 데이터 수집과 관리 방법에 대한 일반적인 사항들에 대해 살펴보고, 데이터를 수집함과 동시에 분석하여 사용자에게 정보를 전달해 줄 수 있는 강의평가 시스템을 사례로 제시한다.

  • PDF

북미 대학의 한국학 장서 평가에 관한 연구: A 대학을 중심으로 (A Study on Evaluation of Korean Collection of North America: Focused on the A University)

  • 오경묵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269-281
    • /
    • 2008
  • 본 논문은 북미 대학에서 한국학 장서 구축의 역사가 오래된 대학을 대상으로 그동안 구축된 한국학장서의 현황 규모에 대한 적정성을 현장을 중심으로 객관적으로 조사 분석한 것이다. 장서와 이용자 그룹에 근거하여 ACRL 표준공식을 적용하여 분석하였고, ARL 중앙값을 산출하여 비교하였다. ACRL 기준에 따른 평가결과, 이 대학의 한국학 장서는 B 등급으로 평가되었고, ARL 비교치 결과에서도 비교 대상교 15개 중에서 중간정도에 그치는 것으로 나타나서, 한국학 장서의 꾸준한 증가를 통해 한국학교육과정 지원을 보다 충실히 해야 한다는 결론을 도출하게 되었다.

Designing Refuse Collection Networks under Capacity and Maximum Allowable Distance Constraints

  • Kim, Ji-Su;Lee, Dong-Ho
    • Management Science and Financial Engineering
    • /
    • 제19권2호
    • /
    • pp.19-29
    • /
    • 2013
  • Refuse collection network design, one of major decision problems in reverse logistics, is the problem of locating collection points and allocating refuses at demand points to the opened collection points. As an extension of the previous models, we consider capacity and maximum allowable distance constraints at each collection point. In particular, the maximum allowable distance constraint is additionally considered to avoid the impractical solutions in which collection points are located too closely. Also, the additional distance constraint represents the physical distance limit between collection and demand points. The objective is to minimize the sum of fixed costs to open collection points and variable costs to transport refuses from demand to collection points. After formulating the problem as an integer programming model, we suggest an optimal branch and bound algorithm that generates all feasible solutions by a simultaneous location and allocation method and curtails the dominated ones using the lower bounds developed using the relaxation technique. Also, due to the limited applications of the optimal algorithm, we suggest two heuristics. To test the performances of the algorithms, computational experiments were done on a number of test instances, and the results are reported.

The review of municipal solid waste management in Nigeria: the current trends

  • Iorhemen, Oliver T.;Alfa, Meshach I.;Onoja, Sam B.
    • Advances in environmental research
    • /
    • 제5권4호
    • /
    • pp.237-249
    • /
    • 2016
  • The management of municipal solid waste (MSW) is essential for every community; and, it is currently a major challenge in Nigeria. This paper provides an overview of the current MSW management trends in Nigeria and proposes new sustainable MSW management systems. Across Nigerian cities, MSW management is characterized by inefficient collection and transportation to disposal sites. Collection services do not reach some unplanned areas and slums due to poor street network. Even some planned areas are not reached by collection services. The informal sector contributes to waste collection, resource recovery and recycling; however, their activities are not recognized by the governments. Markets exist for recovered materials but more efforts need to be geared towards intensive recovery of materials and expansion of these markets. Despite the high proportion of putrescible matter in MSW, the only form of treatment commonly used currently is open burning for volume reduction. The high organic fraction presents a great opportunity for composting and anaerobic digestion. Ultimate disposal is currently done in open dumpsites. This needs to be upgraded to engineered landfills that are properly sited and adequately operated by well trained personnel. There is an emerging waste stream of concern, electronic-waste (e-waste), that requires urgent sustainable management as e-waste are currently co-disposed with other waste streams or burnt in the open posing detrimental health impacts.

공공기록물의 수집·이관과 아키비스트의 역할 (The Collection and Transfer of Public Records and the Role of the Archivist)

  • 이원규
    • 기록학연구
    • /
    • 제2호
    • /
    • pp.3-48
    • /
    • 2000
  • The collection and transfer of records is a very basic stage in the whole process of records and archives management. However they are regarded as an non-professional art of work in records management that are performed easily by everyone. Therefore they have been treated not properly in the scholarly discussion of archival sciences in Korea. The collection and transfer of records play an active role in the making of effective administrative system, in accumulating and sharing the knowledge and informations of political, economical, social and cultural values. On the basis of proper collection and transfer of records our democracy can operate regularly and our daily experiences can be preserved as historical resources. For the optimal-functioned collection and transfer of public records the archivists for this task must have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whole process of records management and possess suitable professional skills. Moreover there are many sorts of preliminary works needed for this task, as follows: an accurate defining of administrative organizations and their tasks, thorough understanding of records management institutions on their own competence and ability, and the establishment of technical standards for their tasks. Additionally the archivists are able not only to consider the present informational and evidential values of the records, but also the historical values. It can be said that the collection and transfer of records is a "synthesis of records management skills" exerted by an archivist. According to the newly established law of public records management, the collection and transfer of public records must be registered at first electronically. Through this procedure the whole contents of produced and transmitted records, which are to be transferred, can be reported in detail. By means of this report the archival institutions and the archivists can trace back the each items of records(archives) and the result of their arrangement to identify a certain object. There are also new storage strategies employed to increase the whole sum of stored informations, i. e. records and archives, in spite of reducing the storage costs. It will be achieved by differentiations of the preservation methods for each sorts of records by the criteria of storage-period, -place, and -method. Many supplementary methods are also prepared to help the collection of important records(archives) in a complete structure and form. To let this new concept and system of collection and transfer of records operate properly, a number of professional archivists should be posted in the needed places throughout the whole administrative body. Their training must be also updated for the newly defined task of collection and transfer of records.

대도시 공공도서관 장서개발정책 분석과 제언 (Analysis and Implication of the Collection Development Policy of Public Libraries in Major Cities)

  • 윤희윤;김종애;오선경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51-75
    • /
    • 2020
  • 모든 공공도서관은 장서 기반의 지식문화서비스 기관이다. 이를 위해 가장 먼저 수립해야 할 필수적 정책인 동시에 전략적 메뉴가 장서개발정책이다. 특히 시도 단위의 종합지식정보센터 및 공동보존서고로서의 법정 업무를 수행해야 할 지역대표도서관은 최적 장서개발정책을 수립·적용해야 한다. 본 연구는 주요 선진국의 대도시 공공도서관 장서개발정책과 국내의 권역별 지역대표도서관 장서개발지침(안) 및 규정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대다수 선진국의 정책은 구성체계 및 내용적 측면에서 충실한 반면에 국내는 공식화된 정책문서가 없는 실무지침에 불과하였다. 따라서 모든 지역대표도서관은 장서개발의 중요성 인식, 미래지향적 사고, 전략적 판단 등을 전제로 장서개발정책을 수립·문서화해야 하며, 이를 위한 기본원칙과 구성체계를 제언하였다.

대학 기관 리포지토리의 운영 현황 분석 및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 dCollection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University Institutional Repositories (dCollection) based on its Current State)

  • 김현희;정경희;김용호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17-39
    • /
    • 2006
  • 기관 리포지토리는 오픈 액세스 운동을 실현할 수 있는 핵심적인 체제의 하나로 알려져 있다. 한국교육학술 정보원은 학술 정보 공유 공간으로 대학 기관 리포지토리 컨소시엄인 dCollection을 2003년에 구성하여 현재 62개의 국사립 대학들이 회원 대학으로 참가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2005년도에 구축된 dCollection 평가 모형을 조사 도구로 활용하여, 40개의 대학 기관 리포지토리의 운영 현황을 파악하고, 이러한 조사 결과를 기초로 하여 dCollection 자료의 등록률 및 이용율 향상에 초점을 맞춰 국내 기관 리포지토리의 발전 방안을 제안하여 효율적인 국가지식정보 유통체제의 인프라 구축을 목적으로 한다.

공공도서관의 장서개발정책 수립을 위한 장서평가 지표에 관한 탐색적 연구 (An Exploratory Study on Collection Evaluation Indicators for the Collection Development Policy in Public Libraries)

  • 오지은;정동열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43-62
    • /
    • 2015
  • 본 연구는 국내 공공도서관에서 장서개발정책 수립 시에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장서평가 지표를 제시할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러한 탐색적 연구를 위하여 공공도서관의 실제 데이터를 개별 장서평가 지표에 적용하는 사례연구를 통해서 그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장서평가 지표 분석을 위하여 서울시 광진구립도서관의 최근 10년간 장서대출 데이터가 이용되었다. 주요 장서평가 지표로는 연도별 구입도서의 장서회전율과 이용계수, 연도별 사서 추천도서 장서회전율과 이용계수, 연도별 비대출도서 비율, 대출자 거주지별 도서관 이용도 등이 분석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