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ilia spp.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16초

Dynamics of Fish Larvae in the Han River Estuary and Kyunggi Bay, Korea

  • Park, Gyung-Soo;Han, Kyung-Nam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 /
    • 제32권4호
    • /
    • pp.202-207
    • /
    • 1997
  • Species composition and abundance of fish larvae were studied from May 1988 through August 1989 in the Han River Estuary and adjacent Kyunggi Bay, Korea. Of 23 taxa identified, Coilia nasus, llisha elongata, and Cyprinidae spp. were dominated. Maximum density (3,5771/1,000m)$^3$ occurred in August 1988 and minimum (3/1,m$^3$) in February 1989. O1igo- ormesohaline species dominated during ebb tides while polyhaline species during flood tides. Correspondence analysis revealed that three distinctive species groups; oligohaline species, Coilia nasus, Ilisha elongata and Cyprinidae spp., which dominated at both channels of Kwanghwa Island (stations 1, 2), mesohaline species, Sardinella zunasi and Gobiidae spp., at the mouth of Yeomha Channel (station 3), and polyhaline species, Engraulis japonicus and Syngnathus schlegeli, in the middle of Kyunggi Bay (station 4). Coilia nasus was the most abundant species and reported first time in the study area. Given the species composition and density of fish larvae, the Han River Estuary is considered to be a major spawning and nursery ground for brackish water species such as Coilia nasus, Ilisha elongata and some Cyprinidae spp.

  • PDF

한강하구에서 조석주기에 따른 웅어속 자치어의 출현량 변동 (Change in Abundance of Coilia spp. Larvae by the Tidal Cycle in the Han River Estuary, Korea)

  • 김지혜;송태윤;김병기;김병표;한경남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192-199
    • /
    • 2016
  • 조류에 의한 에너지가 상대적으로 매우 큰 한강 하구역의 대표적인 석모수로와 염하수로에서 2007년 8월과 2008년 8월에 연속 관측을 통해 조석주기에 따른 소하성 어종인 웅어속 자치어의 출현량을 조사하였다. 조석주기에 따른 환경측정 결과, $1^{\circ}C$ 미만의 수온차를 보였고, 염분은 창조 시 최고 15.1 psu, 낙조 시 최저 0.8 psu로 조석에 따른 염분차가 컸다. 웅어속 자치어는 창조 시보다 낙조 시 높은 출현량을 보였다 (p<0.05). 이는 소하성 어종인 웅어속 자치어가 한강 상류 또는 중류에서 부화한 후, 보육장인 하구역에 정착하기 위해 수평이동 선택적 조수흐름 (STST)으로 낙조류를 이용하는 것으로 사료되며, 특히 낙조 시 13.6 mm 이상의 유영력이 향상된 개체일수록 뚜렷하게 나타났다.

낙동강 하구부근의 부유성 란 자치어의 출현량 변동 (Response of Striped Puffer to the White Lights)

  • 차성식;허성회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24권4호
    • /
    • pp.135-143
    • /
    • 1988
  • To study the abundances of ichthyoplankton in the Nakdong River estuary, ichthyoplankton were sampled with standard net at approximately one month intervals from February, 1987 to January, 1988. Temperature and salinity in the study area showed large seasonal fluctuations due to the inflow of Nakdong River. Among 8 taxa of pelagic eggs occured in the study area, Sillago spp. occupied 37.3% of the total eggs; Coilia spp., 35.8%; Repomucenus spp., 13.7%; Engraulis japonica, 9.4%. These 4 taxa occupied 96.4% of the total eggs. Among 26 taxa of fish larvae, Engraulis japonica was the most abundant species and occupied 36.8% of the total larvae; Gobiidae, 15.3%; Repomucenus spp., 15.0%; Coilia spp., 14.0%; Hexagrammos otakii, 6.8%; Omobranchus elegans, 4.4%. These 6 taxa occupied 92.3% of the total larvae, The densities of pelagic eggs were more than 100 eggs/ 1,000m super(3) from May to October. The densities of larvae were 3.8~221.3 larvae/1,000m super(3). They were relatively high in May, July, and August.

  • PDF

한강 하구역 자치어 종조성의 계절 변동 (Seasonal Variation in Species Composition of the Larval Fish in the Han River Estuary, Korea)

  • 김지혜;김병기;한경남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25-132
    • /
    • 2014
  • 한강 하구역에서 출현하는 자치어의 시공간적 분포 특성을 파악하고 해양환경요인과 자치어의 분포 및 출현양상과의 연관성을 평가하기 위해 한강 하구역을 대표하는 염하수로, 석모수로, 장봉수로에서 2007년 5월에서 2008년 8월 사이 계절별로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기간 동안 자치어는 총 13개 분류군 총 3,642개체가 출현하였고, 웅어속이 48.8%로 우점하였다. 장봉수로에서 총 11개 분류군이 출현하여 가장 많았다. 석모수로에서는 웅어속이 대량 채집되어 채집량이 2,428개체로 가장 높았다. 춘계와 하계에 출현량이 증가하였으며, 동계에는 흰베도라치만이 출현하였다. 염하수로 및 석모수로에서는 기수종이 주를 이루었고 장봉수로에서는 연안성 어종, 연안 회유성 어종, 연안정착성 어종 등 다양하게 출현하였다. 정준대응분석(CCA) 결과 자치어는 수온 및 염분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한강 담수유입에 따른 염분에 따라 주요 자치어는 2개의 그룹(염하 석모수로, 장봉수로)으로 구분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