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il embolization

검색결과 165건 처리시간 0.031초

Simple Coiling versus Stent-Assisted Coiling of Paraclinoid Aneurysms : Radiological Outcome in a Single Center Study

  • Kim, Soo Yeon;Park, Dong Sun;Park, Hye Yin;Chun, Young Il;Moon, Chang Taek;Roh, Hong Gee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60권6호
    • /
    • pp.644-653
    • /
    • 2017
  • Objective : Paraclinoid aneurysms are a group of aneurysms arising at the distal internal carotid artery. Due to a high incidence of small, wide-necked aneurysms in this zone, it is often challenging to achieve complete occlusion when solely using detachable coils, thus stent placement is often required. In the present study, we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tent placement in endovascular treatment of paraclinoid aneurysms. Methods : Data of 98 paraclinoid aneurysms treated by endovascular approach in our center from August 2005 to June 2016 were retrospectively reviewed. They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 simple coiling and stent-assisted coiling. Differences in the recurrence and progressive occlusion between the two groups were mainly analyzed. The recurrence was defined as more than one grade worsening according to Raymond-Roy Classification or major recanalization that is large enough to permit retreatment in the follow-up study compared to the immediate post-operative results. Results : Complete occlusion was achieved immediately after endovascular treatment in eight out of 37 patients (21.6%) in the stent-assisted group and 18 out of 61 (29.5%) in the simple coiling group. In the follow-up imaging studies, the recurrence rate was lower in the stent-assisted group (one out of 37, 2.7%) compared to the simple coiling group (13 out of 61, 21.3%) (p=0.011).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model showed lower recurrence rate in the stent-assisted group than the simple coiling group (odds ratio [OR] 0.051, 95% confidence interval [CI] 0.005-0.527). Furthermore there was also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rate of progressive occlusion between the stent-assisted group (16 out of 29 patients, 55.2%) and the simple coiling group (10 out of 43 patients, 23.3%) (p=0.006). The stent-assisted group also exhibited a higher rate of progressive occlusion than the simple coiling group in the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model (OR 3.208, 95% CI 1.106-9.302). Conclusion : Use of stents results in good prognosis not only by reducing the recurrence rate but also by increasing the rate of progressive occlusion in wide-necked paraclinoid aneurysms. Stent-assisted coil embolization can be an important treatment strategy for paraclinoid aneurysms when considering the superiority of long term outcome.

Long Term Outcome of In-Stent Stenosis after Stent Assisted Coil Embolization for Cerebral Aneurysm

  • Kim, Sung Jin;Kim, Young-Joon;Ko, Jung Ho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62권5호
    • /
    • pp.536-544
    • /
    • 2019
  • Objective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long-term radiologic prognosis and characteristics of in-stent stenosis (ISS) after stent assisted coiling (SAC) for cerebral aneurysm and analyze its risk factors. Methods : Radiological records of 362 cases of SAC during 10 years were retrospectively reviewed. Patients were included in this study if they had follow-up angiogram using catheter selected angiography at least twice. All subjected were followed up from 12 months to over 30 months. Of 120 patients, 123 aneurysms were enrolled. Patient data including age, sex, aneurysm size, neck size, procedural complication, kinds of stent, ISS associated symptom, ruptured state, location of ISS, degree of ISS, radiologic prognosis of ISS, follow-up period of time, and medical comorbidities such as hypertension, diabetes mellitus (DM), dyslipidemia, and smoking were collected.Statistical comparisons of group clinical characteristics were conducted for the total population. Results : Among 123 casesof aneurysm, 22 cases (17.9%) of ISS were revealed on follow-up angiography. Multiple stenting was performed in three cases and intra-procedural rupture occurred in two cases. Most cases were asymptomatic and symptomatic stenosis was identified in only one case. Sixteen cases were ruptured aneurysm. Mild stenosis was observed in 11 cases. Moderate stenosis was found in eight cases and severe stenosis was identified in three cases. Mean timing of identification of ISS was 8.90 months. The most common type was proximal type. Most cases were improved or not changed on follow-up angiography. Only one case was aggravated from mild stenosis to occlusion of parent artery. Mean follow-up period was 44.3 months. We compared risk factors and characteristic between ISS group and non-ISS group using univariate analysis. Multiple stenting was performed for three cases (13.6%) of the ISS group and four cases (4.0%) of the non-ISS group, showing no statistical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p=0.108). Additionally, the proportion of patients who had more than two risk factors among four medical risk factors (hypertension, DM, dyslipidemia, and smoking) was higher in the ISS group than that in the non-ISS group,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either (31.8% vs. 12.9%, p=0.05). Conclusion : Clinical course and long-term prognosis of ISS might be benign. Most cases of ISS could be improved or not aggravated. Control of medical co-morbidity might be important. To the best of our knowledge, our study had more cases with longer follow-up period of time than other reports.

경피적 동맥관 폐쇄술에서 최근의 기구들의 전략적 이용과 결과 (A new strategy for transcatheter closure of patent ductus arteriosus with recent-generation devices)

  • 김상이;이수현;김남균;최재영;설준희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2권4호
    • /
    • pp.488-493
    • /
    • 2009
  • 목 적 : 경피적 동맥관 폐쇄술은 동맥관 개존증의 표준 치료로 시행되고 있다. 저자들은 동맥관의 최소 직경(MD)과 체혈류와 폐혈류의 비(Qp/Qs ratio)를 기준으로 하여 선택한 각각의 기구들로 경피적 동맥관 폐쇄술 시행한 후 추적 관찰 결과를 비교, 분석하여 새로운 기구 선택 기준의 효용성과 안전성을 알아보았다. 방 법 : 2003년 2월부터 2006년 1월까지 본원에서 동맥관 개존증을 진단받고 동맥관의 크기 및 Qp/Qs 비에 따라 CDC, PNO, ADO를 선택하여 경피적 동맥관 폐쇄술을 시행받은 138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그리고 2000년 2월부터 2003년 1월까지 본원에서 DO, PNO로 경피적 동맥관 폐쇄술을 시행받은 89명의 환자들을 대조군으로 설정하였다. 시술 전 환자의 임상적, 혈역학적 지표들을 확인하였고 시술 후 1일, 1개월, 6개월, 12개월, 그리고 12개월 이후 잔류 단락 유무 및 합병증을 평가, 비교하였다. 결 과 : 대상군 138명 모두에서 시술에 성공하였고 기구 색전도 없었으며 시술 후 12개월 이후 잔류 단락이 남아있지 않았다. 주요 합병증의 빈도는 대상군 138명 중 0명(0%), 대조군 89명 중 7명(7.9%)이었고(P<0.05) 전체 합병증의 빈도도 대상군 138명 중 2명(1.4%), 대조군 89명 중 8명(9.0%)으로(P=0.001) 대상군에서 대조군에 비하여 의미 있게 합병증의 빈도가 낮았다. 결 론 : 과거에 경피적 폐쇄가 어려웠던 큰 크기의 동맥관 개존에 ADO를 사용하게 되고 이전 기구들의 단점들이 개선된 최근 기구들을 각각의 특성에 적합하게 전략적으로 선택하여 시술함으로써 경피적 동맥관 폐쇄술의 결과가 향상되었고 더욱 안전하고 완전한 효과를 나타내게 되었다.

심실중격 결손이 없는 폐동맥 폐쇄의 내과-외과적 협동치료 (Medico-Surgical Cooperative Treatment of Pulmonary Atresia with Intact Ventricular Septum)

  • 김경식;권병철;이종균;최재영;설준희;이승규;박영환;조범구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6권3호
    • /
    • pp.250-258
    • /
    • 2003
  • 목 적 : 심실중격결손이 없는 폐동맥 폐쇄의 치료에 있어 수술적 우심실 유출로 재건술 대신 심도자를 이용한 경피적 폐동맥 판막 절개술이 도입되었고 고식적으로 폰탄 술식을 단계적으로 시행함에 있어서도 다양한 형태의 비수술적 치료 방법이 시행되고 있어 수술-비수술적 협동 치료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는 가운데 실제 심실중격결손이 없는 폐동맥 폐쇄의 치료에 있어 수술-비수술적 협동 치료가 행해지는 실례를 확인하고 각 치료 방법들 사이의 치료 성적과 해부학적 혈역학적 지표를 비교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 1995년 1월부터 2000년 12월까지 본원에서 심실중격 결손이 없는 폐동맥 폐쇄로 치료받은 33명의 환아(경피적 폐동맥 판막 절개술 10례, 수술적 우심실 유출로 재건술 12례, 폰탄형 술식 11례, 남 : 녀=17 : 16)를 대상으로 환자 기록지를 후향적으로 검토하였다. 결 과 : 경피적 폐동맥 판막 성형술을 시행 받은 10명의 환아 중 외래추적 과정에서 지속되는 폐동맥판막 협착으로 3례에서 풍선을 이용한 폐동맥판막 성형술을 필요로 하였으며 1례에서는 풍선을 이용한 폐동맥 판막 성형술에도 불구하고 삼첨판륜 성형술로 호전 되었다. 체폐 단락술이나 심도자 중재술 없이 일차적으로 우심실 유출로 재건술을 시행 받은 7례 중 2례에서 시술 후 추가적인 심도자 중재술을 필요로 하였으며 2례 에서 수술적 우심실 유출로 재건술 이전에 심도자 중재술을 시행 받았다. 폰탄 타입 수술을 시행한 11례 중 모두 5례에서 총 폐정맥-폐동맥 문합술 전에 측부순환에 대한 코일 색전술을 시행 받았고 모두 3례에서 총 폐정맥-폐동맥 문합술 후에 심도자 중재술을 필요로 하였다. 결 론 : 심실중격결손이 없는 폐동맥 폐쇄 환아의 치료에 있어 수술적 치료와 비수술적 치료가 병행되고 있으며 수술-비수술적 협동치료가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신생아기에 진단된 선천성 간내 문맥 전신성 단락의 임상적 고찰과 치료 (A Clinical Study of Congenital Intrahepatic Portosystemic Shunt Diagnosed in Neonatal Period)

  • 김지영;김경아;이연경;고선영;신손문;한병희
    • Neonatal Medicine
    • /
    • 제18권1호
    • /
    • pp.117-123
    • /
    • 2011
  • 목적: 선천성 문맥 전신성 단락은 매우 희귀한 질환으로, 대부분은 증상이 없어 우연히 시행된 영상 검사를 통해서 발견되고, 심각한 합병증을 일으킬 수 있어 진단과 치료에 신중을 기해야 하는 질환이나, 재태 상태 또는 신생아기에 단락의 진단을 위한 표준화된 방법이 제시되고 있지 않은 실정이다. 이에 선천성 간내 문맥 전신성 단락이 신생아기에 복부 초음파로 확인된 8예의 임상 양상과 치료 및 예후에 대해 알아보았다. 방법: 2006년 1월부터 2010년 12월까지 관동대학교 의과대학 제일병원에서 출생한 환아 36,572명 중 산전에 단락이 진단된 신생아 6예와, 출생 후 간내 문맥 전신성 단락이 진단된 신생아 2예를 대상으로 의무 기록 정보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선천성 간내 문맥 전신성 단락은 해당 기간의 출생아중 8명에서 발생하였으며, 이 중 6예는 산전검사에서 진단되었으며, 2예는 출생 후 복부 초음파 검사를 시행하여 진단되었다. 산전의 진단된 6예 중 3예는 자궁 내 성장 지연을 보였으며, 2예는 미숙아였다. 1예에서 암모니아의 상승을 보여, 코일 색전술을 시행하였으며, 4예에서 생후 11개월 내에 단락의 자연 소실을 확인하였다. 출생 후 단락이 확인된 경우는 2예로 모두 자궁 내성장 지연을 보였으며, 단락은 생후 4개월과 6개월에 자연 소실된 것을 확인하였다. 고찰: 선천성 간내 문맥 전신성 단락은 생후 2년 내에 자연 소실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소실 시까지 경과 관찰을 요한다. 단락은 4,500명의 출생아 중 1명에서 발생하였으며, 자궁 내 성장지연을 보인 5예를 포함한 8예에서 경험하였다. 뚜렷한 원인이 동반되지 않은 자궁 내 성장 지연을 보이는 경우, 반드시 선천성 문맥 전신성 단락을 의심하여야 하며, 산전 초음파를 시행하여 검증하여야 한다. 산전 초음파 결과 단락이 의심될 경우, 태아의 상태를 지속적으로 관찰해야 하며, 생후에도 단락의 자연 소실까지 주기적인 감시가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