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gnitive crafting

검색결과 13건 처리시간 0.021초

학습마을활동가의 잡 크래프팅을 통한 일의 의미 탐색 (An exploration of the meaning of work through job crafting by Learning Village Activists)

  • 송성숙
    • 산업융합연구
    • /
    • 제19권3호
    • /
    • pp.51-60
    • /
    • 2021
  • 본 연구는 잡 크래프팅을 중심으로 학습마을활동가의 일의 의미에 대해 심층적으로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학습마을활동가 4명을 대상으로 2020년 3월 23일부터 2021년 03월 05일까지 참여관찰과 심층면담을 통해 질적 사례연구를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과업 크래프팅은 '자신이 가진 강점과 자원을 활용한 과업수행', '정해진 과업 이외의 추가적 업무수행', ' 효율적 과업수행을 위한 업무방식의 변화'가 나타났다. 인지 크래프팅은 '일의 중요성과 소명의식 인지', '일의 행복과 즐거움 인지', '일의 전문성 확장을 위한 역할 인지'가 나타났다. 관계 크래프팅은 '동료와 실천학습공동체 구축', '마을주민의 성장과 변화의 매개자', '업무관계자와 갈등과 협력의 공존'이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학습마을활동가들은 잡 크래프팅을 통해 능동적으로 일을 변화시키고 있었으며, 이는 일의 만족감을 향상할 수 있는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추후 타지역 학습마을활동가 대상의 후속연구를 제안하였다.

공유리더십이 직무재창조(Job crafting)에 미치는 영향: 학습목표지향성과 지식공유의 매개효과 (The Effect of Shared Leadership on Job Crafting: Mediating Role of Learning Goal Orientation and Knowledge Sharing)

  • 이지은;오상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10호
    • /
    • pp.654-678
    • /
    • 2020
  • 본 연구는 조직의 업무성과 향상에 중요한 요인으로 논의되고 있는 직무재창조를 유도할 수 있는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기 위하여 유관변인을 탐색하고 변인들 간의 영향관계를 실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하여 공유리더십, 학습목표지향성, 지식공유를 예측변인으로 선정하여 공유리더십과 직무재창조의 관계에서 학습목표지향성과 지식공유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가설은 선행연구와 사회인지이론, 정서사건이론 등에 기초하여 설정하였다. 자료는 국내 다양한 조직에서 재직하고 있는 직장인 318명을 대상으로 온라인으로 설문을 실시하여 수집하였다. 수집된 데이터의 신뢰성과 유효성은 SPSS 25.0과 AMOS 25.0에 의해 검증되었으며 가설은 SPSS프로세스 매크로 3.0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공유리더십은 구성원의 학습목표지향성과 지식공유, 그리고 직무재창조에 각각 정(+)의 영향을 미치고, 공유리더십과 직무재창조의 관계에서 학습목표지향성과 지식공유가 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구성원의 직무재창조를 촉진하는 공유리더십의 효과성을 제시함으로써 공유리더십의 활성화를 위한 시스템 마련과 구성원들의 학습목표지향성, 지식공유를 강화하기 위한 시사점과 향후 연구방안을 논의하였다.

Development of a campus-based intervention program to strengthen food literacy among university students: A qualitative formative study

  • Eunji Ko;Eunjin Jang;Jiwon Sim;Minjeong Jeong;Sohyun Park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28권6호
    • /
    • pp.495-508
    • /
    • 2023
  •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 campus-based intervention program to enhance food literacy (FL) among university students. Methods: In the initial phase, we conducted a literature review of FL intervention studies and held in-depth interviews with university students to identify facilitators and barriers to improving and practicing FL. Expert counseling sessions were conducted with nutrition education, marketing, and service design professionals. The results of this phase led to the creation of an initial curriculum draft. In the second phase, a follow-up survey was conducted with young adults to assess the acceptability of the developed curriculum. After the follow-up survey, additional meetings were conducted with the aforementioned experts, and the curriculum was further refined based on their input. Results: An 11-week FL intervention program was devised using constructs from the Social Cognitive Theory. The weekly curriculum consisted of 90-min theory-based and 90-min hands-on experience sessions. Three primary aspects of FL were covered: nutrition and food safety, cultural and relational dimensions, and socio-ecological aspects. Program highlights included cooking sessions for crafting traditional Korean desserts, lectures on animal welfare, insights into zero-waste practices, and communal eating experiences. Based on the study team's previous research, the program also addressed mindful eating, helping participants understand the relationship with their eating habits, and providing strategies to manage negative emotions without resorting to food. Yoga sessions and local farm visits were incorporated into the curriculum to promote holistic well-being. Conclusions: This study elucidated the comprehensive process of creating a campus-based curriculum to enhance FL among university students, a group particularly susceptible to problematic eating behaviors and low FL levels. The developed program can serve as a blueprint for adaptation to other campuses seeking to bolster students' F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