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gnitive Tools

검색결과 285건 처리시간 0.026초

파킨슨병 환자의 영양 상태에 따른 식사의 질 및 삶의 질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qualities of diet and life in Parkinson's disease patients according to their nutritional status)

  • 윤재희;임현정;우미혜;안태범;조여원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5권3호
    • /
    • pp.240-251
    • /
    • 2012
  • Assessment regarding the nutritional status of Parkinson's disease (PD) patients is important because their nutritional status influences the outcome of disea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nvestigated the dietary habits, dietary quality, and quality of life for Korean PD patients according to their nutritional status. Seventy PD patients were recruited from K University Hospital (KMC IRB#0918-07) from February 2010 to October 2011. To diagnose PD, the United Kingdom Parkinson's Society Brain Bank standards were used by a neurology physician. The participants were interviewed and assessed using various tools, including a general questionnaire, anthropometrics, questionnaires for dietary habits, dietary diversity score (DVS), dietary variety score (DVS), diet quality index-international (DQI-I), beck depression inventory (BDI), the Korean version of mini mental state examination (K-MMSE), and 36-item short-form health survey (SF-36).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1) Most of the PD patients (69.0%) were at risk of malnutrition, and 8.5% and 22.5% of the subjects were malnourished and well-nourished, respectively. 2) Clinical symptoms (swallowing and chewing difficulties) were obvious, and the quality of diet (DDS, DVS, DQI-I) was low in the malnourished group (p < 0.01). 3) The malnourished group had significantly lower scores regarding SF-36 (quality of life) as well as that of cognitive function (p < 0.05). 4) The nutritional status of PD patients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ir depression (p < 0.05) and quality of life (p < 0.01). These results indicate that appropriate nutritional management will improve the nutritional status and quality of life as well as the cognitive function in Parkinson's disease patients.

관문통제동통이론과 FISHBEIN의 모델을 이용한 동통표현 예견에 대한 연구 (Prediction of Pain Expression Using the Extended Gate Control Theory of Pain and Fishbein′s Model)

  • 이은옥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1-21
    • /
    • 1983
  •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a) develop theoretical modifications of the extended gate control theory of pain using Fishbein's model and(b) test the efficacy of these modifications. Attitude, social subjective norm, personal subjective norm, habit and state anxiety were operationalized to represent internal stimuli for the cognitive-evaluative and motivational-affective dimensions of the theory. Pain expression was operationalized as sensory and affective responses to pain, and pain endurance. Sixty-two female nurses from 20 to 50 years of age participated. A semantic differential scale measured attitude and motivations to comply; a Likerty-type scale measured personal and social norms and habit. Spielberger's STAI measured state anxiety, Pain was produced using a modified submaximum effort tourniquet technique. Pair expression was measured using ratio scales of sensory intensity and unpleasantness developed by Gracely and his associates. Pain endurance was measured by subtracting time of pain threshold from pain tolerance. The first hypothesis examining whether pain endurance would be more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affective response than to the sensory response was net rejected. Four remaining hypotheses, testing the ability of the five variables to predict the sensory and affective responses were not rejected. However, the habit of pain expression and the attitude toward pain expression contributed to the prediction of both sensory and affective responses to pain. The interaction between the cognitive-evaluative and the sensory-discriminative dimensions and the interaction between the cognitive-evaluative and motivational-affective dimensions were partially supported by the data from these two variables. The interaction between the motivational-affective and the sensory-discriminative dimensions was also supported by the relationship of sensory to affective responses. The variables which did not significantly predict pain expression appeared to have potential for prediction. Revision and testing of the tools for better reliability, validity, and clinical usuability are needed. The study contributed to theory building. The identification of variables which pre-dict pain behavior must occur before effective nursing interventions can be developed.

  • PDF

가전제품의 음성 인터페이스 디자인 적용에 대한 연구 (A Study on Voice User Interface for Domestic Appliance)

  • 홍지영;전명훈;한광희;채행석
    • 감성과학
    • /
    • 제10권1호
    • /
    • pp.55-68
    • /
    • 2007
  • 음성 사용자 인터페이스(Voice User Interface, 이하 VUI)는 음성을 매개로 일어나는 인간과 기계 간 인터페이스를 뜻한다. 음성 인식율의 향상과 음성 재생 장치의 발달에 힘입어 최근 들어 휴대폰과 자동차 네비게이션 시스템에 주로 적용되고 있다. 최근 이러한 경향은 A/V 시스템 등 가전제품(Domestic Appliance)에도 확대되고 있는데 본 연구에서는 사용자와 필수적이고 빈번한 상호작용이 일어나는 백색 가전을 대상으로 사용자를 만족시키는 음성 인터페이스의 주요 속성 중 음성 생성(Speech Generation)과 관련된 음성 표현을 중점적으로 연구하였다. 연구방법으로 먼저 주부들이 느끼는 가전에서의 문제점과 VUI로서 해결가능성에 대하여 심층집단면접(Focus Group Interviwe, F.G.I.)를 통한 사전조사에서 주요 이슈를 도출하고, 대표적 백색 가전인 에어컨, 세탁기, 김치냉장고, 냉장고, 식기세척기, 오븐레인지 등 6개 제품에 대하여 음성의 물리적 특성, 내용적 특성, 기능에 따른 배치에 대하여 조건에 따라 다양한 프로토타입을 제작한 후 실제 환경과 유사한 실험실 상황에서 사용자의 선호도, 적합도 및 수행을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 각 이슈에 따라 가전제품에 적합한 VUI 가이드라인 특성을 찾아내었다.

  • PDF

한국어 텍스트 문장정렬을 위한 개체격자 접근법과 LSA 기반 접근법의 활용연구 (A comparative study of Entity-Grid and LSA models on Korean sentence ordering)

  • 김영삼;김홍기;신효필
    • 인지과학
    • /
    • 제24권4호
    • /
    • pp.301-321
    • /
    • 2013
  • 본 논문은 텍스트의 응집도 측정과 텍스트 자동생성 시스템을 위한 기초기술 중 하나인 문장정렬 과제에 대한 연구로, 개체기반적(entity-based) 접근의 한 유형인 개체격자 모형(Entity-Grid model)과 벡터공간 모형에 기반한 LSA(Latent Semantic Analysis)를 모두 시도하고 결과를 서로 비교하였다. 개체격자 모형에 대한 기존 연구들에서 논의된 명사들의 통사역(syntactic role) 정보가 한국어 텍스트 정렬과제에 미치는 영향을 실험하고자 하였으며, 기존 독일어권 응용연구 결과와는 달리 긍정적인 결과를 얻었다. 이 과정에서 한국어의 격조사를 활용하는 전략을 취했으며, 이는 한국어의 격표지 정보가 한국어 텍스트의 응집성을 측정하는 데에 유용할 수 있다는 점을 보인 것이다. 그리고 개체격자 모형을 통한 결과를 LSA 기반 모형결과와 비교하여 양 모형의 장단점과 향후 개선점을 아울러 논의하였다.

  • PDF

애니메이션에서 표현되는 공간에 관한 연구 - 인크레더블을 중심으로 - (A Study on Expressed in Animations - Focused on Incredible -)

  • 전정숙;손영범
    • 디자인학연구
    • /
    • 제19권2호
    • /
    • pp.273-282
    • /
    • 2006
  • 초기의 애니메이션은 단순히 삽화에 움직임을 줌으로서 살아있는 듯한 표현의 리얼감을 목표로 하였다. 이후 애니메이션은 미디어 기술의 발달과 인간의 의식변화, 그리고 사회현상들의 다양한 변화에 의해 영향을 받고, 영향을 끼쳐왔다. 그 중에서도 1946년에 처음 등장한 컴퓨터는 애니메이션의 리얼리티 표현의 도구를 더욱 다양화시켰고, 나아가 표현 매체의 지적능력 향상을 초래하여 새로운 시각영역의 확대와 의식을 확장하는 다원적인 영상정보 환경으로 바뀌었다. 또한 이 기술은 모든 영역에 있어서 보편적 질서의 해체와 다의적이고 다양함과 모호함, 그리고 때로는 서로 모순적인 요소들이 함께 내포하고 있는 포스트모더니즘 속에서 애니메이션은 기존의 리얼리티(지각적 리얼리티와 반영적 리얼리티)에서 새로운 돌파구를 찾아야만 하였다. 따라서 애니메이션은 단순한 화상처리라는 기술의 벽을 넘어서서 논리적인 지각과정의 경로보다 빠르고 즉흥적이고 감성적으로 지각할 수 있는 리얼리티로의 전환을 이루게 된 것이다. 이를 본 연구에서는 '감각적(感覺的) 리얼리티'라고 명명하며, 이에 관한 연구의 일환으로서 질 들뢰즈(Gilles Deleuze,)의 공간에 관한 리얼리티를 실제 애니메이션영화에 적용하여 해석하고 있다.

  • PDF

조기영어학습 경험의 유형에 따른 만 5세 유아의 실행기능의 차이 (The Differences of Executive Function according to Type of Early English Learning Experience of 5-years old)

  • 김래은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9권10호
    • /
    • pp.133-143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조기영어학습 경험의 유형에 따른 실행기능의 차이를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어학원에서 몰입식 영어교육 경험을 가진 23명의 유아, 어린이집에서 방과후 영어학습 경험을 가진 52명의 유아, 총 75명을 대상으로 삼았다. 연구도구는 주의통제의 경우 스트룹 과제, 인지적 융통성의 경우 카드분류과제와 숫자 따라 외우기 소검사, 정보처리의 경우 도안 유창성, 목표설정의 경우 미로 소검사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자료분석은 전체지능지수를 공변인으로 한 공분산분석을 적용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주의통제와 인지적 융통성은 조기영어학습의 유형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정보처리와 목표설정은 조기영어학습의 유형에 따라 어떠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본 연구는 전일제 조기영어학습의 경험이 주의통제와 인지적 융통성에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반면, 정보처리와 목표설정에는 어떠한 영향도 미치지 않음을 시사한다.

수학 예비교사들이 과제의 인지적 노력 수준 변형에서 겪는 오류와 어려움 (Pre-service teachers' errors and difficulties in task modification focusing on cognitive demand)

  • 강향임;최은아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60권1호
    • /
    • pp.61-76
    • /
    • 2021
  • 본 연구는 수학 예비교사들이 과제의 인지적 노력 수준 변형에서 겪는 오류와 어려움을 분석하여, 수학 과제 변형과 관련한 수학 예비교사 교육에 유의미한 시사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24명의 수학 예비교사들을 대상으로 수직이등분선의 성질에 대한 추론 과제를 높은 수준과 낮은 수준으로 변형하는 활동과 이에 대한 반성 및 수정 기회를 제공하였다. 변형 과제를 중심으로 예비교사들이 과제의 수준 변형에서 겪는 오류와 어려움을 분석한 결과, 과제 수준의 판단 관점에서 PNC와 PWC 과제의 구분에 제한된 이해를 보였으며, 과제의 외형적인 요소에 의존하는 간섭 현상을 확인하였다. 과제 수준의 변형 관점에서 예비교사들은 과제의 목표와 수직적 위계를 간과하거나 변형 유형의 편향성을 보였다. 한편 예비교사들은 반성 및 수정 활동을 통해 자신들의 변형 과제의 오류를 인식하고 개선할 수 있었으며, 도구의 범주를 Geogebra를 포함한 공학적 도구로 확장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Assessment of Questionnaire of Physical Activity at Workplace Based on the Social Cognitive Theory (PAWPQ-SCT): A Psychometric Study in Iranian Gas Refinery Workers

  • Kamel Ghobadi;AhmadAli Eslami;Asiyeh Pirzadeh;Seyed Mohammad Mazloomi;Fatemeh Hosseini
    • Safety and Health at Work
    • /
    • 제14권4호
    • /
    • pp.358-367
    • /
    • 2023
  • Background: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nd assess the psychometric features of the Physical Activity at Workplace Questionnaire (PAWPQ) based on the Social Cognitive Theory (SCT) to evaluate employees' physical activity (PA) behaviors at the workplace. Methods: This psychometric cross-sectional study was conducted on 455 employees working in one of the gas refineries in Iran. The participants were selected using the proportional stratified sampling method in 2019. The data collection tools were a demographic information questionnaire, the short form of the International Physical Activity Questionnaire (IPAQ), and a questionnaire developed based on the SCT, whose psychometric features were confirmed in terms of validity and reliability.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22 and AMOS20 software. Results: The first version of PAWPQ-SCT had 74 items. After evaluating content and face validity, nine items were removed. The results of the content validity index (0.98), content validity ratio (0.86), and impact score (3.62) were acceptable for the whole instrument. I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fter removing seven items-58-item final version of the scale-six factors could explain 73.54% of the total variance. The results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howed the acceptable fit of the model into the data (RMSEA = 0.052, CFI = 0.917, NFI = 0.878, TLI = 0.905, IFI = 0.917, CMIN/DF = 2.818). Cronbach's alpha coefficient and Intraclass Correlation were 0.90 and 0.86, respectively. Conclusion: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 psychometric features of the 58-item final version of PAWPQSCT constructs were acceptable in a sample of Iranian employees. This questionnaire can be used as a valid and reliable tool to evaluate Iranian employees' PA behaviors and develop effective educational interventions for workers and managers.

외상성 뇌손상 아동의 신경정신과적 후유증 평가 (NEUROPSYCHIATRIC SEQUELAE AND ITS EVALUATION IN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TRAUMATIC BRAIN INJURY)

  • 김혜경;방형석;박광수;왕미란;민성호;박기창;안정숙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10권2호
    • /
    • pp.212-219
    • /
    • 1999
  • 본 연구는 뇌손상 아동의 후유증을 조사하고, 이 증상에 손상요인, 치료요인, 환경요인이 관련되어 있는 지와, 후유증을 평가하는데 일반적인 심리검사가 적절한지를 규명함으로써 뇌손상 아동의 후유증 치료, 예방 및 평가에 관한 임상적 지침을 얻고자하였다. 연세대학교 원주기독병원 응급의학과와 신경외과에서 뇌손상에 관한 치료를 받고 최소한 6개월이 지난 후 정신과에 신경정신과적 평가가 의뢰된 47명의 아동(연령 $5{\sim}14$세)을 대상으로 후유증을 네 범주로 나누어 조사했다. 초기 GCS 점수, 동반손상, 치료방법, 입원일수를 조사하고, EEG, MRI, 지능검사, 심리검사를 시행한 후 통계처리하여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인지증상이 행동증상, 정서증상, 신체증상보다 많았으며, 이들 증상의 빈도는 경도집단과 중등도-중증 집단간에 차이가 없었다. 2) 인지증상은 두부수술을 받지 않은 아동이 더 많이 호소하였다(p<0.01). 3) 행동증상은 뇌손상 당시의 연령이 낮은 아동과(p<0.05), 투약한 아동에서(p<0.05) 더 많이 호소되었다. 4) 정서증상은 동반손상이 있는 아동이 더 많이 호소하였다(p<0.05). 5) 신체증상은 약물치료를 받지 않은 아동에서(p<0.05), 지능지수가 높을수록(p<0.05) 많았다. 6) GCS 점수가 낮을수록 지능지수가 낮았다(p<0.05). 인지증상을 호소한 총 42명 중 25명에서 심리검사상 인지장애가 확인되었다. 이들은 다른 아동에 비해 입원일수가 길었다(p<0.05). 7) 정서증상을 호소한 총 25명 아동 중 심리검사를 통하여 정서장애가 확인된 아동은 22명이었다. 이들은 다른 아동에 비해 인지증상이 더 많았다(p<0.05).

  • PDF

Geriatric Dwelling Depression Measurement Based on Projective Image Analysis Modeling

  • Lee, Yewon;Park, Chongwook;Woo, Sungju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6권4호
    • /
    • pp.323-330
    • /
    • 2018
  • The growth of the older population is expected to further increase social problems associated with population aging, such as isolation, poverty, and depression. The emerging issues associated with the older population are also expected to provide further momentum on studies about the dwelling environment as factors that ensure the health of older people as well as improve their quality of life. Therefore, approaches for explaining the issues of the older age group should be diversified using a variety of factors and appropriate analytic tools. Studies on measuring depression have principally focused on assessing an objective self-report questionnaire, usually in a highly structured, textual form which may not reflect the cognitive impairment of older adult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fine and measure dwelling depression among older adults in Korea. There are two specific hypotheses in this study as follows: (a) there will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s with dwelling dissatisfaction and depression, and (b) dwelling depression tools containing text and images will be, respectively, assessment tools that have a good construct with content validity and reliability. In the first experiment, to define and measure dwelling depression, 301 people over 65 years old living in single and two-person households were surveyed using a text-based dwelling depression questionnaires from September 1-30, 2017. In the second experiment, to examine whether the projective image questionnaire could serve as a suitable replacement for the text-based questionnaires, the same participants were surveyed from January 22 to February 2, 2018. The results show that depression has a close correlation with dwelling dissatisfaction. In addition, the geriatric dwelling depression index (GDDI) based on the projective image was refined. Additionally, the projective image questionnaire has a close correlation with the text-based questionnaire. Finally, through ROC curve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projective image questionnaire can accurately predict a depression group. To this end, this preliminary study examined the validity of the projective image questionnaire in older adults to make this instrument feasible for older populations and to contribute to a profound understanding of geriatric depression due to the living environment. We hope they will provide a basis for further research on psychological diagnoses using projective imag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