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curing

검색결과 7건 처리시간 0.023초

복합재 태양광 무인기 날개 일체성형 제작기법 연구 (A Study on Manufacturing Methods of Cocuring Composite Wings of Solar-Powered UAV)

  • 양용만;권정식;김진성;이수용
    • 항공우주시스템공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43-50
    • /
    • 2016
  • In order to suggest the optimal manufacturing technology of composite wings of solar-powered unmanned aerial vehicles, this study compared forming technologies to reduce wing weight for long-endurance flight and to improve the manufacturing process for cost-saving and mass production. It compared the manufacturing time and weight of various composite wing molding technologies, including cocuring, secondary bonding, and manufacturing by balsa. As a result, wing weight was reduced through cocuring methods such as band type composite fiber/tape lamination technology, which enabled prolonged flight duration. In addition, the reduced manufacturing time led to a lower cost, which is a good example of weight lightening for not only small solar-powered UAVs, but also composite aircraft.

전기체 복합재 무인항공기 제작 (Manufacturing of an All Composite Unmanned Aerial Vehicle)

  • 김동민;허명규;강공진
    • 한국복합재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복합재료학회 2002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163-166
    • /
    • 2002
  • For the development of an all composite unmanned aerial vehicle (UAV), manufacturing consideration in design phase, works for composite parts fabrication, subassembly and final assembly are summarized. In design phase, to maximize the advantage of composite material, manufacturing processes such as cocuring, cobonding and secondary bonding are introduced. For the curing of designed parts, composite tools are designed and manufactured. Assembly jigs are designed to satisfy dimensional tolerance of the structure. Inspection criteria are established and applied to the manufacturing. Technical data about inspection items and methods are summarized as manufacturing specifications for the mass production of the UAV structure.

  • PDF

보강된 복합적층 판넬의 좌굴 및 좌굴후 거동 연구 (Buckling and Postbuckling Behavior of Stiffened Laminated Composite Panels)

  • 이인철;경우민;공철원;홍창선;김천곤
    • 대한기계학회논문집A
    • /
    • 제20권10호
    • /
    • pp.3199-3210
    • /
    • 1996
  • The buckling and postbuckling behaviors were sutdied analytically and experimentally for stiffened laminated composite panels under compression loading. The panels with I-, blade, -and hat-shapeed stiffeners were investigated. In the analysis, the stiffened panels were anlyzed using the nonlinear finite element method combined with an improved arc-length method. The progressive failure analysis was done by adopting the maximum stress criterion and complete unloading failure model. The effects of the fiber angles were investigated on the buckling and postbuckling behaviors. In the experiment, the web and the lower cap of each stiffener were formed by the continuous lay-up of the skin for cocuring the stiffened panels. Therefore, the separation between stiffener and skin was not found in the junction part even after postbuckling ultimate load and the stiffened panels had excellent postbuckling load carrying capacity. A shadow moire thchnique was used to monitor the out-of-plane deformations of the panels. The piezoelectric films were attached to the panels to get the failure characteristics of the panel. The analytical results on the buckling load, postbuckling ultimate load, and failure pattern showed good agreement with the experimental results.

전기체 복합재 무인항공기 제작 (Manufacturing of All Composite Unmanned Aerial Vehicle)

  • 김동민;허명규
    • Composites Research
    • /
    • 제15권6호
    • /
    • pp.24-29
    • /
    • 2002
  • 전기체 복합재 무인항공기 개발을 위해 기체구조 제작과 관련만 설계시의 고려사항, 복합재 부품제작, 기체조립 업무를 요약하였다. 설계시에 제작요소를 고려하여, 일체성형, 일체접착 및 이차접착 등 복합재의 장점을 지대한 활용하기 위한 구조개념을 반영하였다. 설계된 부품을 성형하기 위만 복합재 부품 제작용 치공구를 설계 제작하였다. 비행체에 요구되는 외형 및 조립 치수 요구조건으로부터 조립치구를 설계하고 검사요구조건을 설정하여 제작에 적용하였다. 이와 같은 일련의 제작과정에 필요한 검사 항목 및 방법을 전용 규격화하여 양산품 품질보증활동에 활용할 수 있도록 기술자료화하였다.

주파수 선택적 투과막이 결합된 복합재료의 잔류응력평가 및 선택적 투과막 설계 (Thermal Residual Stresses in the Frequency Selective Surface Embedded Composite Structures and Design of Frequency Selective Surface)

  • 김가연;전흥재;강경탁;이경원;홍익표;이명건
    • Composites Research
    • /
    • 제24권1호
    • /
    • pp.37-44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최적화 알고리즘 중 하나인 PSO기법을 이용하여 주파수 선택적 표면을 설계하였으며, 설계된 주파수 선택구조를 적용한 하이브리드 레이돔의 잔류응력을 예측하였다. 주파수 선택 구조로서 Square Loop의 등가회로모델에 PSO를 적용하여, K-band(23GHz)에서 차단특성을 갖는 최적의 설계값을 구하였다. 또한 FSS와 복합재료의 하이브리드 레이돔을 제작할 때 발생하는 잔류응력의 효과가 클 경우 구조적 안정성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층간분리가 발생하여 FSS의 전파투과특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하이브리드 레이돔의 제작 시에 동시경화 후 상온으로 냉각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잔류 열응력에 대하여 예측하였으며, FSS패턴과 복합재료의 적층각 변화에 따른 영향을 비교하였다.

항공용 복합재 단일겹침 접착 체결부의 제작공정에 따른 강도 연구 (Strength of Composite Single-Lap Bonded Joints with Various Manufacturing Processes for Aircraft Application)

  • 송민규;권진회;최진호;김효진;송민환;신상준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37권8호
    • /
    • pp.751-758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항공기 구조용 탄소 복합재 단일겹침 접착 체결부에서, 파손하중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인자들의 효과를 실험으로 연구하였다. 실험을 위해 제작공정 4가지, 겹침 길이 5가지, 모재 두께 4가지에 대한 시편 총 335개를 제작하였다. 예상대로 겹침길이가 감소할수록, 모재두께가 증가할수록 파손강도가 높아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제작공정의 측면에서는, 접착제가 없는 일체성형 시편과 이차접착 시편의 강도가 동시접착이나 접착제를 사용한 일체성형 시편에서보다 높은 파손강도를 보이는 흥미로운 사실을 발견하였다. 특히 이차접착 시편의 강도가 일체성형 시편의 강도와 유사하거나 더 높은 현상을 발견하였는데, 이는 접착제의 강도가 모재의 층간강도보다 높거나 최소한 비슷한 수준임을 의미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복합재 -하니콤 샌드위치 구조물의 인써트 조인트 강도 특성 연구 (An Investigation on the Strength of Insert Joints of Composite-Honeycomb Sandwich Structures)

  • 최지영;송근일;최진호;김광수;장영순;권진회
    • Composites Research
    • /
    • 제20권5호
    • /
    • pp.26-33
    • /
    • 2007
  • 본 논문에서는 풀아웃 하중과 전단하중을 받는 복합재 샌드위치 인써트 조인트의 강도 특성을 실험으로 연구하였다. 샌드위치의 면재는 탄소 평직, 심재는 노멕스 하니콤, 접착제는 FM73을 사용하여 동시성형으로 제작하였다. 코어의 높이와 밀도, 면재의 두께, 하중의 형태를 달리하여 10종류, 총 75개의 인써트 조인트에 대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 결과, 풀아웃 하중에서는 코어의 높이와 밀도가 모두 파손하중에 영향을 미치지만 밀도의 영향이 상대적으로 더 크게 나타났다. 전단하중의 경우 면재의 두께가 파손하중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반면, 코어의 높이는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동일한 치수의 조인트에서도, 포팅된 쎌의 수에 따라 파손하중은 달라지며, 특히 풀아웃 하중에서 그러한 특성이 현저하게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