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astal improved project

검색결과 9건 처리시간 0.02초

부산 송도해수욕장의 해안선변화 특성 분석 (Characteristic Analysys of Songdo Beach, Busan, Shoreline Changes)

  • 김명규;윤종성
    • 한국해양공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53-59
    • /
    • 2010
  • In this study, an investigation of the shoreline changes at Song-do beach in Busan was carried out for a coastal improvement project to prevent damage from coastal disasters. From the results of the observed data, it is seen that the shoreline moves seaward under extreme wave conditions and moves leeward under normal wave conditions. The reason for this is wave run-up when wave conditions are extreme in summer. In addition, nourishment sand is moved seaward by wave run-up. Thus, the shoreline's slope is gently decreased. Therefore, the shoreline is moved seaward.

해안침식 환경평가 현황 및 개선방안 연구 (A Preliminary Study on the Status and Improvement of the Environmental Assessment of Coastal Erosion in Korea)

  • 조광우;맹준호;신현화;주용준
    • 한국해안·해양공학회논문집
    • /
    • 제21권2호
    • /
    • pp.174-181
    • /
    • 2009
  • 본 연구는 우리나라 환경평가제도에서 해안침식 문제를 합리적으로 다루기 위한 시도의 일환으로 기존 환경평가서를 대상으로 해안침식 환경평가 현황을 조사 분석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기술적 제도적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해안침식 검토가 필요한 개발계획은 전체 검토사업 중 약 20%를 차지하였으며 사업규모가 클수록 그 비율은 증가하였다. 환경평가 대상사업 중 해안침식 검토가 필요한 사업에 대한 재정비와 함께 현재 검토가 이루어지고 있는 사업에 대해서도 항목설정, 영향예측, 및 사후관리 등 전반적인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현황에 대한 개선방안으로 작성규정 재정비, 관련 가이드라인 개발, 누적영향평가 실시 등을 제시하였다. 또한 해안침식 영향평가의 과학적 불확실성을 감안할 때 사후관리가 주요한 과정으로 인식되어야 하며 해안침식과 관련하여 사후관리 기간의 재검토, 과학적 보상방안 도입 및 사후관리 기관의 설치 등의 제도적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더불어 연안토사의 효율적 관리를 위한 국가종합정책의 개발이 필요하며, 전략 환경평가를 통한 이들 정책 및 계획의 합리성을 검토하고 사업환경평가를 통하여 일관성이 유지되는 과정이 구축되어야 한다.

항만시설 프로젝트의 시뮬레이션을 활용한 재설계 VE 적용방안 (The Application Plan for Value Engineering Redesign by Using The Simulation for The Port Facilities Construction Project)

  • 윤무희;안경수
    • 한국해안해양공학회지
    • /
    • 제19권6호
    • /
    • pp.533-546
    • /
    • 2007
  • 본 연구는 턴키 발주공사의 전면적인 재설계 과정에서 원가절감과 사용자 중심의 요구조건을 충족 시킬 수 있는 여러 방법들 중에서 설계 VE(Value Engineering: 가치공학) 프로세스를 적용한 연구이다. 본 연구에서는 설계 VE 프로세스를 사용하여 합리적이고 실용적인 기능분석 프로세스를 단계별로 정립하였다. 설계 VE가 가지고 있는 문제점으로 프로젝트 시행 시기별 적용 프로세스를 계획단계에서 분석할 수 없는 한계점이 있었으며, 또한 대형프로젝트 수행 과정에 초기분석 및 검증을 할 수 없었다. 본 연구에서는 컴퓨터 시뮬레이션 기법을 도입하여 설계 VE가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보완하고, 효율성과 안전성 등을 증명하였다. 기존에 적용해 온 VE기법은 항만시설물 건설에 적용시 시공분야에만 국한하여 적용됨으로써 기능 및 건설비 절감에는 기여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 제안한 VE 대상선정 방법에 의하여 기능분석 프로세스를 합리적이고 실용적으로 개선함으로써 재설계 VE 수행절차를 효율적으로 개선 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최적화시킨 VE 기법을 항만시설공사에 실제 적용시킨 결과 약 46억 원의 공사비를 절감하는 효과를 거두었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를 유사프로젝트에 적용 할 경우 VE를 효과적으로 달성 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전지구 대기질 재분석 자료의 평가와 국지규모 미세먼지 예보모델에 미치는 영향 (Assessment of Global Air Quality Reanalysis and Its Impact as Chemical Boundary Conditions for a Local PM Modeling System)

  • 이강열;이순환;김은지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5권7호
    • /
    • pp.1029-1042
    • /
    • 2016
  • The initial and boundary conditions are important factors in regional chemical transport modeling systems. The method of generating the chemical boundary conditions for regional air quality models tends to be different from the dynamically varying boundary conditions in global chemical transport models. In this study, the impact of real time Copernicus atmosphere monitoring service (CAMS) re-analysis data from the modeling atmospheric composition and climate project interim implementation (MACC) on the regional air quality in the Korean Peninsula was carried out using the community multi-scale air quality modeling system (CMAQ). A comparison between conventional global data and CAMS for numerical assessments was also conducted. Although the horizontal resolution of the CAMS re-analysis data is not higher than the conventionally provided data, the simulated particulate matter (PM) concentrations with boundary conditions for CAMS re-analysis is more reasonable than any other data, and the estimation accuracy over the entire Korean peninsula, including the Seoul and Daegu metropolitan areas, was improved. Although an inland area such as the Daegu metropolitan area often has large uncertainty in PM prediction, the level of improvement in the prediction for the Daegu metropolitan area is higher than in the coastal area of the west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Strengthening Human Immunodeficiency Virus and Tuberculosis Prevention Capacity among South African Healthcare Workers: A Mixed Methods Study of a Collaborative Occupational Health Program

  • Liautaud, Alexandre;Adu, Prince A.;Yassi, Annalee;Zungu, Muzimkhulu;Spiegel, Jerry M.;Rawat, Angeli;Bryce, Elizabeth A.;Engelbrecht, Michelle C.
    • Safety and Health at Work
    • /
    • 제9권2호
    • /
    • pp.172-179
    • /
    • 2018
  • Background: Insufficient training in infection control and occupational health among healthcare workers (HCWs) in countries with high human immunodeficiency virus (HIV) and tuberculosis (TB) burdens requires attention. We examined the effectiveness of a 1-year Certificate Program in Occupational Health and Infection Control conducted in Free State Province, South Africa in an international partnership to empower HCWs to become change agents to promote workplace-based HIV and TB prevention. Methods: Questionnaires assessing reactions to the program and Knowledge, Attitudes, Skills, and Practices were collected pre-, mid-, and postprogram. Individual interviews, group project evaluations, and participant observation were also conducted. Quantitative data were analyzed using Wilcoxon signed-rank test. Qualitative data were thematically coded and analyzed using the Kirkpatrick framework. Results: Participants recruited (n = 32) were mostly female (81%) and nurses (56%). Pre-to-post-program mean scores improved in knowledge (+12%, p = 0.002) and skills/practices (+14%, p = 0.002). Preprogram attitude scores were high but did not change. Participants felt empowered and demonstrated attitudinal improvements regarding HIV, TB, infection control, and occupational health. Successful projects were indeed implemented. However, participants encountered considerable difficulties in trying to sustain improvement, due largely to lack of pre-existing knowledge and experience, combined with inadequate staffing and insufficient management support. Conclusion: Training is essential to strengthen HCWs' occupational health and infection control knowledge, attitudes, skills, and practices, and workplace-based training programs such as this can yield impressive results. However, the considerable mentorship resources required for such programs and the substantial infrastructural supports needed for implementation and sustainability of improvements in settings without pre-existing experience in such endeavors should not be underestimated.

플로팅건축물의 공간디자인마케팅과 공간수요 예측 (Space Design Marketing of Floating Architecture and Its Spatial Demands)

  • 박성신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39권4호
    • /
    • pp.329-334
    • /
    • 2015
  • 최근 국내 대표적인 플로팅건축물인 세빛섬의 운영 정상화로 플로팅건축물에 대한 이미지가 매우 긍정적인 방향으로 개선되었다. 플로팅건축의 특장점은 특별한 공간체험(29.9%) > 랜드마크(27.6%) > 수해양문화 향유(21.5%) > 관광 및 개발의 거점(16.0%) > 지구온난화에 대비하는 친환경성(4.8%) 순으로 나타났다. 플로팅건축물은 일반인들에게 특별한 공간체험을 제공하며 차별화된 이미지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플로팅건축물의 공간디자인마케팅은 특별한 공간을 매개로 지자체나 기업이 주민이나 고객들과 아이덴티티와 이미지를 교환하는 형태로 일어난다. 이때, 건축물이 지닌 기본적인 공간 속성에 방문객들의 공간수요를 반영한 프로그램 선정과 사업주체 및 운영주체의 일원화가 중요하다. 플로팅건축의 프로그램은 상업시설이나 문화시설, 친수공간 확보 조건을 활용한 마리나시설이 적절하며, 향후 플로팅건축 시장도 활성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CMIP5 GCM의 동아시아 해안지역에 대한 공간적 강우특성 재현성 평가 (Assessing the skills of CMIP5 GCMs in reproducing spatial climatology of precipitation over the coastal area in East Asia)

  • 황세운;조재필;윤광식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51권8호
    • /
    • pp.629-642
    • /
    • 2018
  • 기후변화에 따른 강우특성의 변화 등 다양한 기상이변과 극한사상에 관련된 수자원 연구는 일반적으로 전지구 기후 모델(General Circulation Model, GCM) 산출물에 기반하여 생산된 미래 기상정보를 바탕으로 이루어진다. 사회 다양한 분야에서 기후변화 영향평가가 심층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가운데 과거기간에 대한 원시 모의결과 평가를 통한 GCM의 성능과 산출물에 대한 재현성 고찰 연구는 상대적으로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한반도 지역에 대한 전지구 모델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해 동아시아 지역의 격자단위 관측자료를 수집하여 과거기간(1970~2005)에 대한 강우특성 공간분포를 분석하고 이에 대한 GCM 산출물의 재현성을 평가하였다. 위도와 경도에 따른 강우특성의 공간적 변동성에 대한 GCM 결과의 상관성과 평균/절대오차를 산정하여 29개 CMIP5 GCM의 순위를 결정하여 제시하였다. 연구 결과 오차 통계와 대상지역에 따라 GCM 순위가 상이하게 나타났으며 특히 공간분포의 패턴과 절대적 오차를 기준으로 판단한 GCM 순위가 크게 다르게 나타났다. 대체로 Hadley Centre 계열 모델의 동아시아 지역에 대한 강우특성 재현성이 높게 나타났으며 한반도 지역만을 대상으로 평가한 경우 MPI_ESM_MR과 CMCC center 계열 모델의 재현성이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향후 한반도 지역의 기후변화 영향평가에 가중있게 고려되어야 할 GCM의 선정과 GCM 성능고려에 따른 기후변화 예측 불확실성 평가에 적용될 수 있으며 다양한 영향 평가 연구결과의 신뢰도 제고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우리나라 지오이드 모델 구축 및 정밀도 검증 (Development of Korean Geoid Model and Verification of its Precision)

  • 이지선;권재현;백경민;문지영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30권5호
    • /
    • pp.493-500
    • /
    • 2012
  • 2000년대 초반까지 우리나라 지오이드 모델의 정밀도는 지상 중력 자료 및 GPS/Leveling 자료의 낮은 분포 및 정밀도로 인해 약 14cm 수준에 머물렀다. 그러나 2007년 이후 높은 정밀도와 고른 분포를 나타내는 새로운 지상 및 항공 중력 자료, GPS/Leveling 자료가 획득됨에 따라 지오이드 모델의 정밀도를 향상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되었으며, 2011년 초반에 발표된 중력 지오이드 모델의 정밀도는 약 5.29cm로 기존 모델에 비해 약 27% 향상되었다. 2010년 이후에도 많은 중력 자료가 통합기준점, 수준점 및 삼각점에서 획득되었고, 특히 2010년 통합기준점 구축 사업이 완료됨에 따라 우리나라 전역에서 약 10km의 간격을 나타내는 GPS/Leveling 자료가 구축되어 보다 정밀한 지오이드 모델의 구축 및 검증이 가능하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2012년 현재 우리나라에서 가용한 지상, 항공, 위성고도계 중력 자료를 기반으로 하여 중력지오이드 모델을 구축하였다. 그 결과 우리나라 전역에서 중력 지오이드 모델은 18.05m부터 32.70m의 범위의 값을 나타내며, 정밀도는 약 5.76cm로 산출되었다. 또한, 중력 지오이드 모델과 GPS/Leveling 자료를 융합하여 구축한 합성 지오이드 모델의 적합도 및 정밀도는 각각 3.60cm와 4.06cm로 계산되었다. 마지막으로 건설현장 등에서 합성 지오이드 모델을 활용할 수 있는지 검증하기 위하여 15km 기선거리에 대한 상대 정밀도를 계산한 결과 약 3.35cm로 나타났다. 상대 정밀도가 낮게 나타나는 이유는 강원도 및 동해안, 서 남해안 등에서 우리나라 수직기준체계간의 불일치로 인해 지역적인 편이가 존재하며, 일부 내륙에서도 주변 성과와의 일관성 저하문제가 나타나는 점들이 있기 때문으로 향후 통합기준점 성과에 대한 신뢰도 검증이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지하방수로 설계를 위한 적정 위치선정 및 규모 결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termination of Optimal Location and Size for Underground Sluiceway Design)

  • 이종태;임택선;허성철;박상식
    •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 /
    • 제8권5호
    • /
    • pp.137-145
    • /
    • 2008
  • 이 연구는 계획규모를 초과하는 홍수량으로 인하여 예상되는 하천범람피해를 경감하기 위한 지하방수로 계획에서의 적정 위치선정 및 규모를 결정하기 위한 기초분석기술에 대한 것으로서, 1998년과 2001년에 집중호우로 일부제방의 범람 및 붕괴에 의해 막대한 손실이 발생한 중랑천을 대상으로 하였다. 지하방수로의 유입부 위치는 200년 빈도홍수에 취약한 서울시경계, 당현천 합류부, 월계 1교, 묵동천 합류부의 4곳을 후보지로 선정하였고, 유출부는 국공유지로서 사용이 가능한 중랑천하구부와 한강의 반포대교 우안부을 선정하였다. 유입부의 월류고별 횡월류량을 산정하고 홍수저감효과를 분석하였다. 검토결과, 유입부의 위치는 당현천 합류부가 적정한 것으로 판단되었는바, 이곳에 지하방수로 유입부를 설치하였을 때 홍수저감효과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지하방수로의 적정규모검토를 위해 방류구 운영규칙을 단순저류, 일정률, 일정량, 일정률+일정량의 혼합방류의 4가지 방식을 기본으로 하는, 총 8가지 경우를 적용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200년 규모의 홍수에 대응하는 지하방수로의 적정규모를 검토한 결과 방수로의 크기는 단순저류(Rule D)일때 가장 큰 규모인 직경 12 m로 분석되었고, 일정률 방류(Rule E)에서는50%방류에서 직경 9 m, 일정량 방류(Rule F)에서는 직경 8 m, 일정량 + 일정률 방류(Rule G)의 경우는 직경 7 m로 각각 산정하였다. 이 연구에서 제시한 검토과정은 하천제방의 범람으로 연안의 침수피해가 막대할 것으로 예상되는 경우에 EAP 차원에서의 방수로 건설 계획에 유용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중랑천 방수로를 건기시에는 서울시와 의정부지역을 연결하는 지하 도로로 활용하는 방안을 함께 고려함으로써 방수로의 활용성을 크게 증대시킬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