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astal Debris

검색결과 37건 처리시간 0.023초

YOLOv8과 무인항공기를 활용한 고해상도 해안쓰레기 매핑 (High-Resolution Mapping Techniques for Coastal Debris Using YOLOv8 and Unmanned Aerial Vehicle)

  • 박수호;김흥민;김영민;이인지;박미소;김탁영;장선웅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151-166
    • /
    • 2024
  • 해안쓰레기 문제는 전 세계적으로 환경에 대한 심각한 위협이 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딥러닝과 원격탐사 기술을 활용하여 해안쓰레기의 모니터링 방법을 개선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You Only Look Once (YOLO)v8 모델을 이용한 객체 탐지 기법을 적용하여 우리나라 주요 해안쓰레기 11종에 대한 대규모 이미지 데이터셋을 구축하고, 실시간으로 쓰레기를 탐지 및 분석할 수 있는 프로토콜(Protocol)을 제안한다. 낙동강 하구에 위치한 신자도를 대상으로 드론 이미지 촬영 및 자체 개발한 YOLOv8 기반의 분석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해안쓰레기 성상별 핫스팟을 식별하였다. 이러한 매핑(Mapping) 및 분석 기법의 적용은 해안쓰레기 관리에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자연 해안표착물과 배후 식생대 전선의 상호 작용에 관한 연구 (Interaction between Coastal Debris and Vegetation Zone Line at a Natural Beach)

  • 윤한삼;유창일
    • 한국해양환경ㆍ에너지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224-235
    • /
    • 2014
  • 본 연구는 낙동강 진우도 자연 해빈에 내습하는 해양파랑, 해안표착물(해양쓰레기), 배후 식생대 전선의 변화 과정에 대한 상호작용에 대해서 고찰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해빈단면 측량, 입사파랑 수치모의실험, 해안표착물 분포 현장 조사, 자연해빈 식생대선 현장 조사 등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진우도 자연해빈의 지반고는 상승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서 해안사구 식생대 전선도 전진하는 경향을 나타내고 있다. 지반고가 표고 1.5 m이상이 되는 상황에서 대체적으로 식생대의 전선이 외해방향으로 발달하는 경향이 강하게 나타났다. (2) 진우도 전면 수심에 의해 파랑변형된 입사파랑이 공간상으로 상이하고 소상대에서의 처오름 현상도 공간상으로 복잡한 변화를 야기할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해양쓰레기는 파의 처오름이 큰 경우 배후 식생대 전선에 표착물이 도달하고 그렇지 못한 경우에는 해빈상에 독립적인 섬의 형태로 표착물을 침적/퇴적시킬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이렇게 침적된 표착물은 배후 식생대전선의 전진과 후퇴를 결정짓게 하는 요인이라 할 수 있다. 최종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해안표착물과 식생대 전선의 상호작용에 대한 개념적 모식도를 제시하였다.

비관리 해변의 해안 쓰레기 모니터링을 위한 RT-DETR 적용 방안 연구 (Study on the Application of RT-DETR to Monitoring of Coastal Debris on Unmanaged Coasts)

  • 도예빈;윤홍주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9권2호
    • /
    • pp.453-466
    • /
    • 2024
  • 한정된 정점과 인력 기반의 조사로 실제 국내 표착되는 해안 쓰레기의 총용량 추정이 어려운 우리나라의 해안 쓰레기 모니터링 방식 개선을 위해 비관리 해변에서 UAV(: Unmanned Aerial Vehicle) 이미지와 RT-DETR 모델을 기반으로 해안 쓰레기 탐지하고 현장 조사와의 비교 연구로 해안 쓰레기의 정량적 탐지 및 자연 해안선 기준 우리나라에 표착되는 전체 쓰레기 총용량 추정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RT-DETR(: Realtime DEtection TRansformer) 모델 학습 결과 mAP@0.5는 0.894, mAP@0.5:0.95는 0.693의 정확도를 보였다. 모델을 비관리 해변에 적용한 전체 해안 쓰레기 개수에 대한 정확도는 72.9%로 나타났다. 본 연구와 비관리 해변에 대한 모니터링을 정의하는 관리지침 마련 연구가 동반된다면 우리나라에 표착되는 전체 해안 쓰레기의 총 용량 추정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Roof tile frangibility and puncture of metal window shutters

  • Laboy-Rodriguez, Sylvia T.;Smith, Daniel;Gurley, Kurtis R.;Masters, Forrest J.
    • Wind and Structures
    • /
    • 제17권2호
    • /
    • pp.185-202
    • /
    • 2013
  • The goal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vulnerability of roof tile systems and metal shutters to roof tile debris. Three phases addressed the performance of tile roof systems and metal shutters impacted by roof tile debris. The first phase experimentally evaluated the tile fragment size and quantity generated by a tile striking a tile roof system. The second phase experimentally quantified the puncture vulnerability of common metal panel shutter systems as a function of tile fragment impact speed. The third phase provided context for interpretation of the experimental results through the use of a tile trajectory model. The results provide supporting evidence that while metal panel window shutters provide significant protection against a prevalent form of windborne debris, these systems are vulnerable to tile fragment puncture in design level tropical cyclones. These findings correlate with field observations made after Hurricane Charley (2004).

메타분석을 적용한 드론 기반 해안 쓰레기 모니터링 기준 마련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stablishment of Drone-Based Coastal Debris Monitoring Standards Using Meta-Analysis)

  • 김보람;최현우;이철용;김태훈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99-114
    • /
    • 2024
  • 국내 해안 쓰레기 모니터링은 노동 집약적 방식과 한정적인 조사 범위로 세밀한 분포 확인이 어렵다. 따라서 해안 쓰레기 자료수집의 효율성 증대를 위해 원격탐사 기법을 이용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국내 원격탐사 기반 해안 쓰레기 모니터링 방안에 대한 기준이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연구 결과를 기초로 메타분석 방법을 적용하여 원격탐사체 중 드론을 이용한 해안 쓰레기 모니터링 연구 19건에 대해 모니터링 방법과 결과에 대해 분석하였다. 모니터링 방법을 대상으로 데이터 수집 방법, 수집 데이터 정보, 모니터링 대상지 정보에 대해 분석하였으며, 모니터링 결과를 대상으로 모니터링 실태, 탐지대상 및 활용모델에 대해 분석하였다. 또한, 메타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드론을 이용한 해안 쓰레기 모니터링 수행 시 고려 항목과 권장 항목, 수행 기준에 대한 모니터링 기준 항목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드론을 이용한 해안 쓰레기 모니터링 운용 기준 마련에 필요한 조건 및 기준을 정의하였으며, 추후 외국 사례 분석 및 현장 적용 결과를 추가하여 국가 차원의 원격탐사체를 이용한 해안 쓰레기 모니터링 지침 마련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해변 표착 플라스틱 쓰레기 서식 중형저서부착생물 조성과 서식밀도 (Composition and Abundance of Meiofaunal biofouling on the Surface of Plastic Debris Washed Ashore)

  • 백은란;김민주;김현;강정훈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45권3호
    • /
    • pp.125-140
    • /
    • 2023
  • We investigated meiofaunal biofouling (40-1,000 ㎛) on stranded marine plastic debris (hereafter MPD) collected from 8 coastal areas highly affected by plastic pollution located in the southern part of Korea during June, 2021, in order to analyze the abundance and composition of MPD associated organisms. A total of eight shapes of MPD was collected and classified into four types of plastics (LDPE, PET, PP and EPS) based on Resin Identification Coding System. Meiofounal biofouling was identified into 35 taxa belonging to 11 phylum, 10 classes and 12 order, and were numerically dominated by harpacticoids (EPS: 21.6%, PP: 27.1%), nematodes (LDPE: 23.2%) and foraminiferans (PET: 29.6%). Surface area of MPD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abundances of organisms on the plastic debris (r = -0.487, p < 0.05, n = 24), indicating that abundances (avg. 3,225 inds. 0.1 m-2) on the smallest area of PP debris (avg. 0.0208 m2 ) were higher than those (avg. 50 inds. 0.1 m-2) on the largest area of LDPE debris (avg. 0.4029 m-2). Whereas, there was no correlation between surface area of MPD and the number of taxa on the debris (r = 0.147, p = 0.49, n = 24). These results showed that higher abundances of meiofaunal biofouling were observed on the PP material debris than those on the other debris collected from eight hot spots of the southern coastal waters in Korea, associated with not only polymer type and surface area of the PP debris, but also possibly surface microstructure of the PP debris.

식생 및 해안표착물에 의한 비사 퇴적 풍동실험 연구 (A Study on Wind-drift Sand Deposition by Vegetation and Coastal Debris using a Wind Tunnel Test)

  • 제영준;전용호;윤한삼
    • 한국해양환경ㆍ에너지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163-170
    • /
    • 2013
  • 본 논문에서는 낙동강 하구역 진우도 자연해빈을 대상으로 해안표착물과 식생대 전선의 상관성 및 상호거동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해안표착물과 식생대 주변의 비사에 의한 퇴적 특성을 고찰하기 위해 현장 바람과 바닥조건을 고려하여 실내 풍동실험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고려하는 주요 영향은 해안표착물과 식생대 주변의 바람에 의한 모래의 퇴적현상이다. 해안표착물에 대한 실험결과로서, 모형 전면부터 퇴적되고 퇴적된 높이가 모형의 70% 정도 퇴적되었을 때 모형 후면이 퇴적되는 양상이 나타났다. 이에 반해, 식생을 대상으로 한 실험에서는 모형 전면보다 후면이 먼저 퇴적되고, 후면이 전면보다 60%정도 더 높게 쌓이는 양상이 나타났다.

해안쓰레기 탐지 및 모니터링에 대한 딥러닝 기반 객체 탐지 기술의 적용성 평가: YOLOv8과 RT-DETR을 중심으로 (Applicability Evaluation of Deep Learning-Based Object Detection for Coastal Debris Monitoring: A Comparative Study of YOLOv8 and RT-DETR)

  • 박수호;김흥민;김영민;이인지;박미소;오승열;김탁영;장선웅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9권6_1호
    • /
    • pp.1195-1210
    • /
    • 2023
  • 해안쓰레기는 미관 훼손 및 생태와 보건에 미치는 영향으로 인해 큰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본 연구는 해안쓰레기 탐지와 모니터링을 위한 이미지 데이터셋 구축과 실시간 객체 탐지 분야의 대표적인 모델인 YOLOv8과 RT-DETR의 성능을 비교하였다. 특히 다양한 환경 하에서의 강건성을 평가하기 위해 여러 왜곡 조건에서 성능 변화 실험을 수행하였다. YOLOv8은 mean Average Precision (mAP) 0.927~0.945의 정확도와 65~135 Frames Per Second (FPS)의 탐지 속도를 보인 반면, RT-DETR은 mAP 0.917~0.918의 정확도와 40~53 FPS의 탐지 속도를 보였다. 색상 왜곡에 대해서는 RT-DETR이 더 강건한 성능을 보였으나, 그 외의 조건에서는 YOLOv8이 더 높은 강건성을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실제 해안쓰레기 모니터링 시스템의 모델 선택에 있어 중요한 지침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영일만 주변 해수욕장의 미소 플라스틱 분포와 조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istribution and Composition of Plastic Debris in the Coastal Beaches of Young-Il Bay)

  • 김삼곤;김종화;김민석;정순범;이정태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12권2호
    • /
    • pp.152-163
    • /
    • 2000
  • Floating resin pellets including plastics were surveyed from 7 coastal beaches near Young-il Bay during summer and winter season on 1998 ~ 2000 year. Plastic fabrication materials in the survey were founded with 6 items using the following; resin pellets, plastic debris, styrofoams, cigar filters, wood pieces and charcoals. The results deduced in the areas are as follows: 1. The seasonal variability of the all debris is revealed that summer season were remarkably larger than those of winter. This is deduced it is attributed to meteorological effects, e.g, the seasonal wind strength, current vectors and resorts of crowded people for beach enjoy. And the distribution of plastic debris is Pohang Songdo $12.9ea/m^2$, Pohang Bookbu $8.8ea/m^2$, Togoo $4.9ea/m^2$, Chilpo $3.2ea/m^2$, Hwajin $1.4ea/m^2$, Wolpo and Guryongpo $0.8ea/m^2$ respectively. 2. Compared with each beaches, Songdo beach, northern part beach of Pohang city and Togoo beach have higher densities than those of the others. Especially, the highest densities of all debris were discovered in the Songdo beach of Pohang city. 3. The change of density over the whole year was similarly distributed in quantities and fabrication materials. 4. These surveys were founded that the most parts of plastic debris materials were made up with PE and PP.

  • PDF

서해안 일대 외국기인 해양쓰레기의 유입과 계절적 특성 연구 (A Study on the Inflow and Seasonal Characteristics of Foreign Marine Debris in the Coastal Area of the West Sea)

  • 장선웅;박재문;정용현;김대현;윤홍주
    • 한국해양환경ㆍ에너지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89-100
    • /
    • 2012
  • 본 연구는 서해안 일대의 국가 해양쓰레기 모니터링 구역을 대상으로 외국기인 해양쓰레기의 발생 특성과 해양 환경의 변화에 따른 시기별 변화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서해안으로 유입되는 외국 기인 해양쓰레기는 제주 차귀도(5,112개)가 가장 많았으며, 다음은 진도 하조도(1,967개), 신안 임자도(507개) 순으로 조사되었다. 대부분 부유성이 높은 플라스틱 제품으로 플라스틱 음료수병(2,925개)이 가장 많은 양을 차지하였다. 시기별 발생량은 주로 7월, 9월에 집중되었으며, 이 시기의 해양 환경을 분석한 결과, 해상풍의 주풍향은 남풍 또는 남동풍 계열이 지배적이었다. 해수 표층 흐름의 경우 중국 연안을 따라 남하하는 해수의 흐름과 동중국해로부터 북상하는 해수 흐름의 유입이 우세하게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