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al Beds

검색결과 25건 처리시간 0.02초

복잡(複雜)한 탄층구조(炭層構造)에서의 이논전위곡선(理論電位曲線)의 계산(計算) (Theoretical Potential Calculation of Coal Seam in Various Structures)

  • 김웅수;서백수
    • 산업기술연구
    • /
    • 제1권
    • /
    • pp.27-33
    • /
    • 1981
  • Due to intense tectonic activities and volcanic movements, coal mines exploration have been conflicted with problems so far. In this paper, computer calculation was specially applied for various model structures of inclined, anticlined and synclined coal beds. Of all these structures, the gradient of equipotential curves showed great as the dip of coal beds increases. Especially at synclined structure, the concaves appeared sharply in both sides of equipotential curves as the dip of coal beds increases. By above results, interpretation of coal exploration can be done by comparing field data one another.

  • PDF

우전탄좌 지질조사 보고서

  • 이돈영;유양수
    • 기술사
    • /
    • 제5권17호
    • /
    • pp.3-10
    • /
    • 1972
  • This report is the result of the basic geologic investigation for the purpose of preparing the long-term development program of the U-jeon Consolidated Coal kline. The Consolidated Coal Mine is located at Gujeol-ri, Wangsan-myeon, Myeongju-gun, and Yucheon-ri, Bug-myeon, Jeongseon-gun, Gan-gweon Province (128$^{\circ}$ 43′10.4"-128$^{\circ}$ 46′10. 4"of east long-ititude, 37$^{\circ}$ 30′-37$^{\circ}$ 33′ of north latitude). This region, the western part of Taebaek mountain range, shows a ragged mountinous feature. Formations of the Pyeongan System of Paleozoic Era are distribu ted in the region with the surrounding Great Limestone Series of Joseon System which covers the south-eastern part of the region. The Pyeongan System is divided into four formations, namely, the Hongjeom, the Sadong, the Gobang and the Hongam, in ascending order. The sadong Formation intercalates several coal beds, and two coal beds out of them are minable. The coal beds are variable in thickness, having the repeated swelled or poket and the pinched parts, which suggest all intense disturbance caused by folding. The heat value of the coal is 5, 500cal. on the average. The total amount of coal reserves of the U-jeon consolidated Coal Mine is estimated at about thirty million metric tons.

  • PDF

석탄회 조립물을 이용한 잘피군락 조성에 관한 연구 (Creating Eelgrass Beds Using Granulated Coal Ash)

  • 김경회;현예진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2권7호
    • /
    • pp.814-820
    • /
    • 2016
  • 산업부산물인 석탄회을 이용하여 잘피군락의 조성 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한 현장실험을 실시하였다. 오염된 점토질 해저면에 석탄회 조립물을 이용하여 인공지반을 조성하고 잘피를 이식한 후 모니터링을 실시하였다. 이식된 잘피는 조성된 지반에서 성공적으로 정착하였으며, 이식 후 24개월 이후부터는 이식된 잘피의 개체길이의 증가 및 영양번식을 통한 잘피의 밀도의 빠른 증가가 확인 되었다. 또한 조성된 잘피군락 및 그 주변에서 저서생물 및 미세조류의 종수가 증가하여 자연잘피군락과 동일하게 연안역의 생물다양성 향상에 도움이 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석탄회 조립물은 잘피군락 조성에 적합한 재료임을 확인하였다.

장기층군의 함탄층에서 산출되는 흡착기능성 광물 자원의 부존 환경 및 자원잠재성 평가 (Mineralization Environments and Evaluation of Resources Potentials for the Absorbent-functional Mineral Resources Occurred in the Coal-bearing Formation of the Janggi Group)

  • 노진환
    • 한국광물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197-207
    • /
    • 2006
  • 쇄설성 퇴적층 위주의 퇴적상을 갖는 것으로 알려진 영일 지역 장기층군의 함탄층 내에 실제로는 상당한 규모의 화산쇄설성 퇴적암류가 혼재된다. 전체적으로 이 함탄층은 화성쇄설성 암상과 단순 쇄설성 암상이 교호되는 양상을 보인다. 부석편을 함유하는 응회암과 응회질 사암이 함탄층의 특징적인 화산쇄설성 암상을 이룬다. 상 하부 함탄층의 화산쇄설성 암석에서 속성기원으로 산출되는 변질광물로는 몬모릴로나이트와 클리놉틸로라이트가 주된 광물상을 이루고 여기에 단백석과 석영이 수반된다. 광물조성과 양이온 치환능력 면에서 일부 층준에서는 응회질 암석들이 저품 위 제올라이트나 벤토나이트 광층을 이룬다. 또한 대부분 1 m 미만의 박층을 이루기 때문에 전형적인 제올라이트나 벤토나이트 자원으로서의 유용성과 잠재성은 낮은 것으로 판단된다. 그렇지만 인접하는 이들 광층들이 함께 개발될 수 있다면, 광물조성과 CEC 수치 면에서 산성백토와 같은 흡착기능성 광물자원으로서의 활용 가능성은 충분한 것으로 평가된다.

남한지역 탄전별 광산배수의 특성에 관한 연구

  • 지상우;이상훈;이현석;유상희;강희태;김선준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2003년도 총회 및 춘계학술발표회
    • /
    • pp.389-392
    • /
    • 2003
  • Coalfields in Korea have been grouped into thirteen based on mainly geographycal and geological structure, ten out of which have been developed. To classify the phi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mine drainage from each coalfield and, if possible, to clarify the intrinsic reasons of them. Sampling of waters from 59 mines in eight coalfields has been carried out. Higher pH of drainage water from the mines of the Cungchung coalfield belong to the Beading system, Mesozoic era than those belong to the Pyungan system, Proterozoic era is due to the low content of sulfides of neighboring strata. The drainage from coal beds overlying limestone bed mostly show high pH. Waters from the Gangrung and Samchuck coalfields coal beds are located within black shale formation which contains a lot of sulfides showed mostly very high metal and S $O_{4}$$^{2-}$ concentrations.

  • PDF

Guided wave formation in coal mines and associated effects to buildings

  • Uyar, Guzin G.;Babayigit, Ezel
    • Structural Engineering and Mechanics
    • /
    • 제60권6호
    • /
    • pp.923-937
    • /
    • 2016
  • The common prospect in diminishing mine-blast vibration is decreasing vibration with increasing distance. This paper indicates that, contrary to the general expectancy, vibration waves change their forms when they are travelling through the low velocity layer like coal and so-called guided waves moving the vibration waves to longer distances without decreasing their amplitudes. The reason for this unexpected vibration increase is the formation of guided waves in the coal bed which has low density and low seismic velocity with respect to the neighboring layers. The amplitudes of these guided waves, that are capable of traveling long distances depending on the seam thickness, are several times higher than that of the usual vibration waves. This phenomenon can many complaints from the residential areas very far away from the blasting sites. Thus, this unexpected behavior of the coal beds in the surface coal mines should also be considered in vibration minimization studies. This study developed a model to predict the effects of guided waves on the propagation ways of blast-induced vibrations. Therefore, vibration mitigation studies considering the nearby buildings can be focused on these target places.

Evaluation of the Coal-Degrading Ability of Rhizobium and Chelatococcus Strains Isolated from the Formation Water of an Indian Coal Bed

  • Singh, Durgesh Narain;Tripathi, Anil Kumar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1권11호
    • /
    • pp.1101-1108
    • /
    • 2011
  • The rise in global energy demand has prompted researches on developing strategies for transforming coal into a cleaner fuel. This requires isolation of microbes with the capability to degrade complex coal into simpler substrates to support methanogenesis in the coal beds. In this study, aerobic bacteria were isolated from an Indian coal bed that can solubilize and utilize coal as the sole source of carbon. The six bacterial isolates capable of growing on coal agar medium were identified on the basis of their 16S rRNA gene sequences, which clustered into two groups; Group I isolates belonged to the genus Rhizobium, whereas Group II isolates were identified as Chelatococcus species. Out of the 4 methods of whole genome fingerprinting (ERIC-PCR, REP-PCR, BOX-PCR, and RAPD), REP-PCR showed maximum differentiation among strains within each group. Only Chelatococcus strains showed the ability to solubilize and utilize coal as the sole source of carbon. On the basis of 16S rRNA gene sequence and the ability to utilize different carbon sources, the Chelatococcus strains showed maximum similarity to C. daeguensis. This is the first report showing occurrence of Rhizobium and Chelatococcus strains in an Indian coal bed, and the ability of Chelatococcus isolates to solubilize and utilize coal as a sole source of carbon for their growth.

석탄층을 협재한 연암을 대상으로 한 도로터널 시공사례

  • 김주화;김선기;신경진
    • 한국암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암반공학회 2002년도 추계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1-15
    • /
    • 2002
  • 동복터널의 현장지질은 편마암과 석탄층(Coal Beds)이 협재된 암질이 매우 불량한 편암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설계 시에는 석탄층의 발달이 확인되지 않아 그 영향을 충분히 고려되지 않았다. 석탄층(두께 2~8m)은 편암의 Rock Cleavage와 같은 방향과 45~55도의 경사를 가지며 pinch out and swelling 형태로 발달이 불규칙하다. 하행선굴착 중 약 290m구간에 걸쳐 석탄층이 나타났으며, 90m 구간은 천단 및 측벽부에서 집중 발달되어 쳐대일변위가 20mm이상인 지점이 발생하는 등 상반굴착 시 111.2mm의 수평방향 내공변위가, 하반굴착 시에는 최대 127.8mm의 내공변위가 발생하였고 하반관통이후 수렴되었다. 내공변위 과다발생에 대한 대책으로 지보타입을 하향 조정하였고 측벽부는 하향 록볼트를 포함한 추가록볼트 보강을 실시하였다. 한편 터널 바닥부의 석탄층은 도로포장 후 침하문제가 예상되어 인버트를 기존 강지보공과 H-beam으로 연결.폐합한 후 콘크리트로 치환(140m구간)하여 추가변위를 최소화하였으며 무근콘크리트로 설계된 라이닝은 철근콘크리트 라이닝으로 변경 시공하였다.

  • PDF

철산화 박테리아 Thiobacillus ferrooxidans를 이용한 충전탑 반응기에서의 석탄의 생물학적 탈황 (Microbial Desulfurization of Coal by Iron-Oxidizing Bacteria Thiobacillus ferrooxidans in packed beds)

  • 류희욱
    • KSBB Journal
    • /
    • 제14권1호
    • /
    • pp.124-130
    • /
    • 1999
  • 아적장에서의 석탄의 탈황 가능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Thiobacllus ferrooxidans를 이용한 탈황특성을 연구하였다. 배지의 배수를 고려할 때 야적장에서 미생물 탈황공정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석탄입자 크기가 1mm 이상이어야 하고, 균일한 입자분포가 요구됨을 확인하였다. 1~2mm의 입자층과 2~4mm의 입자층에서의 약 70일 동안에 24%와 42%의 pyrite를 제거할 수 있었다. 두 석탄 입자층의 탈황속도는 각락 248mg S/kg coal.day (5,638mg S/kg pyritic-S.day)와 803mg S/kg coal.day(6,805mg S/kg pyritic-S,day)로 현탁배양의 약 15~25%로 낮았다. 석탄층에 액체배지를 순환하지 않고 단지 T.ferrooxidans의 접종만으로도 석탄의 표층부에서는 탈황이 가능하였다. 석탄을 야적장 등에 장기간 보관하는 동안에 고유황 석탄으로부터 미생물 탈황공정을 응용하여 부분적인 pyritic sulfur의 제거가 가능한 것을 알 수 있었다.

  • PDF

페탄광지역의 지반침하발생과 지하 채굴적의 상관관계 연구 (A Study on the Correlation between Coal Mining Subsidence and Underground Goaf)

  • 최종국;김기동;송교영;조민정
    • 자원환경지질
    • /
    • 제41권4호
    • /
    • pp.453-464
    • /
    • 2008
  • 이 연구에서는 폐탄광 지역에서 발생하는 지반침하와 지하 채굴적 사이의 상관성을 지질, 지하구조, 탄층의 심도와 두께, 지하갱도의 분포 측면에서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 지역은 강원도 삼척시 삼척탄전에 속하며, 채굴적 특성을 고려하지 않은 기존의 연구에서 수치지질도, 수치갱내도, 현장조사보고서 자료와 GIS의 공간분석기법을 적용하여 지반침하 취약성이 높게 분석된 지역에 해당된다. 연구지역에 대한 수치지질도 및 지반안정성 조사 보고서를 기반으로 연구지역내에서 지반침하가 관측된 지역의 분포, 지표 및 지하의 지질구조와 탄층의 분포현황을 분석하였고, 수치갱내도 자료를 이용하여 지하 갱도의 심도 및 중첩분포 현황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지표의 암석 강도 저하, 얕은 심도와 두꺼운 층후의 함탄층 존재가 지반침하 발생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다수의 중첩된 갱도의 분포 및 얕은 심도의 지하 갱도 존재, 단층의 존재 역시 지반침하발생에 영향을 주는 주요인으로 확인되었다. 지반침하 위험지역을 정량적으로 예측함에 있어, 연구결과로 나타난 지반침하 관련 요인을 추가로 데이터베이스화하여 폐탄광 지역별로 적합한 지반침하예측 모델을 구축한다면 폐탄광 지역의 지반침하위험 예측 및 예방에 매우 효과적일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