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word Analysis

검색결과 195건 처리시간 0.02초

Scientific Data 학술지 분석을 통한 데이터 논문 현황에 관한 연구 (An Investigation on Scientific Data for Data Journal and Data Paper)

  • 정은경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117-135
    • /
    • 2019
  • 데이터 학술지와 데이터 논문이 오픈과학 패러다임에서 데이터 공유와 재이용이라는 학술활동이 등장하여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다. 본 논문은 영향력있는 다학제적 분야의 데이터 학술지인 Scientific Data에 게제된 총 713건의 논문을 대상으로 저자, 인용, 주제분야 측면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저자의 주된 주제 영역은 생명공학, 물리학 등으로 나타났으며, 공저자 수는 평균 12명이다. 공저 형태를 네트워크로 살펴보면, 특정 연구자 그룹이 패쇄적으로 공저활동을 수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용의 주제영역을 살펴보면, 데이터 논문 저자의 주제영역과 크게 다르지 않게 나타났으나, 방법론을 주로 다루는 학술지의 인용 비중이 높은 것은 데이터 논문의 특징으로 볼 수 있다. 데이터 논문 저자의 키워드를 사용하여 동시출현단어분석 네트워크로 살펴본 데이터 논문의 주제영역은 생물학이 중심이며, 구체적으로 해양생태, 암, 게놈, 데이터베이스, 기온 등의 세부 주제 영역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다학제학문 분야를 다루는 데이터 학술지이지만, 데이터 학술지 출간에 관한 논의를 일찍부터 시작해온 생명공학 분야에 집중된 현상을 보여준다.

스펙트로그램을 이용한 근위축성측삭경화증 여성 화자의 모음 포먼트, 음성강도, 기본주파수의 변화 (Characteristics of Vowel Formants, Voice Intensity, and Fundamental Frequency of Female with 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using Spectrograms)

  • 변해원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9호
    • /
    • pp.193-198
    • /
    • 2019
  • 본 연구는 근위축성측삭경화증(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ALS)으로 진단된 여성을 대상으로 음향음성학적 스펙트로그램 분석을 이용하여 11개월 동안 모음과 이중모음의 포먼트 변화(vowel formant variation)를 분석하였다. 검사어는 단모음 /a, i, u/와 이중모음 /h + ja + da/, /h + wi + da/, /h +ɰi+ da/를 이용하였다. 발화자료는 'Alvin'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모니터에 제시된 단어읽기과제를 통해 수집되었고, 녹음환경은 nyquist frequency는 5,500Hz, sampling rate는 11,000Hz으로 설정하였다. 녹음자료는 스펙트로그램을 이용하여 강도, 음도와 이중모음의 포먼트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ALS의 진행과정에서 기본주파수와 강도가 저하되었고, 단모음에서의 포먼트 변화보다는 이중모음의 포먼트 기울기의 감소가 특징으로 확인되었다. 이 결과는 병의 진행에 따른 ALS의 모음왜곡이 혀와 턱의 협응력 감소에 기인함을 시사한다.

Examining Public Responses to Transgressions of CEOs on YouTube: Social and Semantic Network Analysis

  • Jin-A Choi;Sejung Park
    • Journal of Contemporary Eastern Asia
    • /
    • 제23권1호
    • /
    • pp.18-34
    • /
    • 2024
  • In what was labeled the "nut rage" incident, the vice president of Korean Air, Hyun-Ah Cho (Heather Cho), demonstrated behavior that exemplifies corporate transgression and deviation from societal moral standards toward a flight attendant aboard a flight. Such behavior instigated the public to express negative sentiment on various social media platforms. This study investigates word-of-mouth network on YouTube in response to the crisis, patterns of co-commenting activities across selected YouTube videos, as well as public responses to the incident by employing social and semantic network analysis. A total of 512 YouTube videos featuring the crisis from December 8, 2014 through November 11, 2018, and 52,772 public comments to the videos were collected. The central videos in the network successfully attracted the public's attention and engagements.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video network was decentralized, with multiple videos acting as hubs in the network. The public commented on various videos instead of focusing on a few. The contents of influential videos uploaded by popular news organizations revealed not only Cho's behaviors related to the nut rage crisis but also unrelated illegal behaviors and the moral violations committed by the family members of Korean Air. The public attached derogatory remarks to Cho and her family, and the comments also addressed ethical concerns, management issues of the company, and boycott intentions. The results imply that adverse public reaction was related to the long-standing problem caused by family ownership and governance in large Korean corporations. This Korean Air scandal illustrates backlash toward a leadership breakdown by the family business conglomerate prevalent in the Korean society. This study provides insights for effective handling of similar crises.

민원 분석을 위한 텍스트 마이닝 기법 연구: 계층적 연관성 분석 (A Study on Text Mining Methods to Analyze Civil Complaints: Structured Association Analysis)

  • 김현종;이태헌;유승의;김나랑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23권3호
    • /
    • pp.13-24
    • /
    • 2018
  • 정부 및 공공기관에 있어 시민의 직접적인 요구사항이 담겨 있는 민원은 정책 개발을 위한 중요한 데이터로 활용이 가능하다. 그러나 민원 데이터는 비정형 텍스트로 작성되어 있는 특성으로 인해 일반적인 텍스트 마이닝 기법으로는 시민의 요구사항을 정확히 도출하기 어려웠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민원 데이터 분석을 위한 텍스트 마이닝 기법을 개선하여, 시민의 요구사항을 도출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새로운 텍스트 마이닝 기법은 공기어구조맵의 원리에 착안하여 연관성 분석을 2단계로 실시하여 핵심주제어를 기반으로 1차 연관 단어 와 2차 연관 단어로 구조화하였다. 분석을 위해 2016년 1년간 부산시 민원게시판에 올라온 3004건을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는 빈도수와 핵심주제어를 가지고 연관성 분석만으로는 찾을 수 없었던 민원 상의 문제를 본연구에서 제시한 계층적 연관성 분석을 이용하여 시민의 요구사항을 더욱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민원 데이터에서 시민의 요구사항을 도출하기 용이한 방법을 제안하였다는 학문적 기여점이 있으며, 행정기관에서 민원 데이터를 통해 정책 개발에 활용할 수 있다는 실무적 기여점이 있다.

언어 네트워크 분석을 이용한 과학의 본성에 관한 국내연구 동향 (Research Trends of Studies Related to the Nature of Science in Korea Using Semantic Network Analysis)

  • 이상균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65-87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Korean journals related to science education in order to analyze research trends into Nature of science in Korea. The subject of the study is the level of Korean Citation Index (KCI-listed, KCI listing candidates), that can be searched by the key phrase, "Nature of science" in Korean language through the RISS service. In this study, the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Method is utilized to discover the number of research articles, classifying them by year and by journal. Also, the Sementic Network Analysis was conducted to Word Cloud Analysis the frequency of key words, Centrality Analysis, co-occurrence and Cluster Dendrogram Analysis throughout a variety of research articles. The results show that 91 research papers were published in 25 journals from 1991 to 2015. Specifically, the 2 major journals published more than 50% of the total papers. In relation to research fields., In addition, key phrases, such as 'Analysis', 'recognition', 'lessons', 'science textbook', 'History of Science' and 'influence' are the most frequently used among the research studies. Finally, there are small language networks that appear concurrently as below: [Nature of science - high school student - recognize], [Explicit - lesson - effect], [elementary school - science textbook - analysis]. Research topic have been gradually diversified. However, many studies still put their focus on analysis and research aspects, and there have been little research on th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국내 정보학분야 연구동향 분석, 2000-2011 (Detecting Research Trends in Korean Information Science Research, 2000-2011)

  • 서은경;유소영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215-239
    • /
    • 2013
  • 21세기에 들어서서 디지털 정보환경이 발빠르게 변화함에 따라 국내 정보학 연구 역시 많은 발전과 변화를 겪고 있는 것을 산학계 모두 인지하고 있지만 실제 2000년부터 현재까지 어느 정도로 변화되었는지를 분석한 논문은 많지 않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2000년에서부터 2011기간동안 연구재단에 등재된 문헌정보학 관련 학회지에 수록된 정보학분야 논문 1,007편의 논문을 대상으로 정보학분야의 연구동향을 분석하였다. 먼저 시간에 따른 연구주제의 변화를 살펴보기 위하여 논문 데이터를 주제 범주화 한 후, 각 주제 범주 내에서의 논문 및 주요 키워드의 성장률을 시계열적으로 분석하였다. 그리고 단어 동시출현 네트워크를 2000-2011년뿐 아니라 2000-2005년과 2006-2011년의 두 시기로 나누어 시각화하고 분석함으로써, 한국의 정보학 분야의 연구경향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지난 12년간의 한국의 정보학 연구는 정보시스템중심적 연구에서 이를 도서관에 적용하는 도서관응용적 연구로 나아가고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특히 지식관리, 웹기반 시스템 평가, 정보검색 분야에서 두드러지게 변화가 나타났다. 다른 연구의 결과와 비교해 볼 때, 이 연구는 정보학 연구분야의 한국 로컬화의 변화를 찾아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토픽 모델링과 동시출현 단어 분석을 활용한 환자안전 관련 사회적 이슈의 변화 (An Analysis of Changes in Social Issues Related to Patient Safety Using Topic Modeling and Word Co-occurrence Analysis)

  • 김나리;이남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1호
    • /
    • pp.92-104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온라인 뉴스 기사를 분석하여 환자안전에 대한 사회적 이슈를 확인하고, 환자안전법 시행 이전과 시행 이후 사회적 이슈의 변화를 확인하기 위함이다. R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2010년 1월 1일부터 2020년 3월 5일까지 총 7600건의 온라인 뉴스 기사를 수집하였으며, 키워드 분석, 토픽 모델링, 동시출현 네트워크 분석을 시행하였다. 2609개의 키워드는 다음의 8가지 주제로 범주화되었다 : "의료행위", "의료인력", "감염 및 시설", "간호·간병통합서비스", "의약품", "개선을 위한 시스템 개발 및 구축", "환자안전법", "의료기관 인증". 그리고 환자안전법 시행 이전에는 환자안전 인식, 감염관리, 의료기관 인증 등의 키워드가 등장하였으나 시행 이후에는 환자안전 문화, 투약 등의 키워드가 등장하였으며 간호의 중요도 순위가 상승하였다. 의료계뿐 아니라 대중에게도 환자안전에 관한 관심은 높아지고 있으며, 환자안전 향상에 간호의 역할은 중요하다. 따라서 환자안전을 간호의 핵심 역량으로 삼고 지속적인 교육을 해나가야 할 것이다.

Analysis of University Unification Education Research Trends Using Text Network Analysis and Topic Modeling

  • Do-Young LEE
    • 웰빙융합연구
    • /
    • 제6권4호
    • /
    • pp.27-31
    • /
    • 2023
  • Purpose: This study analyzed papers identified by entering the two keywords 'unification education' and 'university' during research from 2013 to 2022 in order to identify trends and key concepts in unification education research at domestic universities.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The study analyzed 224 papers, excluding those on primary, middle, and high school unification education, as well as unrelated and duplicate papers. The analysis included developing a co-occurrence network of keywords, utilizing topic modeling to categorize research types, and confirming visualizations such as word clouds and sociograms. Results: In the final analysis, the research identified 1,500 keywords, with notable ones like 'Korea,' 'education,' 'unification.' Centrality analysis, measuring influence through connected keywords, revealed that 'Korea,' 'education,' 'north,' and 'unification' held significant positions. Keywords with high centrality compared to their frequency included 'learning,' 'development,' 'training,' 'peace,' and 'language,' in that order. Conclusions: This study investigated trends and structures in university-level unification education by analyzing papers identified with the keywords 'unification education' and 'university.' The use of keyword network analysis aimed to elucidate patterns and structures in university-level unification education. The significance of the study lies in offering foundational data for future research directions in the field of unification education at universities.

목록 분야 연구동향 및 지적구조 분석 (A Study on Analysis of Research Trends and Intellectual Structure of Cataloging Field)

  • 이지원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279-300
    • /
    • 2019
  • 본 연구는 동시출현단어 분석을 사용하여 2000년대와 2010년대 목록 분야 연구동향 및 지적구조 분석을 수행하고, 두 시기의 차이점을 비교하였다. 목록 분야는 독자적인 연구 영역을 확고히 구축하고 있었으며, 2000년대와 2010년대 연구동향 및 지적구조에 많은 차이점이 발견되었다. 첫째, 논문 수에 있어서는 2000년대에 비해 2010년대에는 연간 평균 4.2편이 감소하였으나, 저자키워드 수는 큰 차이는 나지 않았다. 연대별 키워드 출현빈도는 22.2%의 키워드만이 두 시기에 모두 3회 이상 나타났으며, 77.8%의 키워드들은 한 시기에만 3회 이상 나타났다. 둘째, 지적구조에 있어서 살펴보면, 2000년대에는 3단계 군집을 보여주어 2단계 군집으로 표현된 2010년대에 비해 보다 복잡한 형태의 네트워크를 형성하였다. 셋째, 각 군집의 특성 변화를 살펴본 결과, 일부 변화가 적은 연구주제들이 있기는 하지만, 많은 연구주제들이 더욱 활발히 진행되거나 세분되었으며, 감소하기도 하는 변화가 있었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는 목록 분야의 시대적 흐름과 함께 지적구조를 시각적으로 파악할 수 있게 하며, 미래의 모습을 예측하여 관련 교육과 연구를 준비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Impact of Importance of Online Platform Food Delivery Selection Attributes on Satisfaction and Repurchase Intention

  • Bo-Kyung SEO;Seunghyeon LEE;Seong Soo CHA
    • 식품보건융합연구
    • /
    • 제10권4호
    • /
    • pp.9-19
    • /
    • 2024
  • This qualitative study explores the impact of online food delivery platform attributes on customer satisfaction and repurchase intentions. Employing a phenomenological approach, we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and focus group discussions with 15 participants to gain rich insights into user experiences. Thematic analysis revealed key factors influencing satisfaction and loyalty: service quality dimensions (efficiency, reliability, fulfillment, privacy), expectation disconfirmation, perceived usefulness and ease of use, multi-level customer value, relationship quality, electronic word-of-mouth, value co-creation, and phased loyalty formation. Our findings extend customer behavior theory in digital platforms, offering a comprehensive framework for understanding the complex mechanisms underlying user satisfaction and repurchase decisions. The study provides valuable implications for platform operators, highlighting the importance of exceeding customer expectations, enhancing user experience, building trust, leveraging user-generated content, and fostering co-creation processes. Methodologically, we demonstrate the efficacy of qualitative approaches in uncovering nuanced insights in digital service contexts. While acknowledging limitations in generalizability, this research establishes a solid foundation for future investigations into the rapidly evolving domain of online food delivery services. The integrated theoretical approach offers a robust model for analyzing customer behavior in emerging digital service environments, contributing significantly to both academic understanding and practical application in the field of digital service provision and platform manag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