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incubated

검색결과 354건 처리시간 0.03초

가축의 개량 및 번식효율 증진에 관한 연구 I. 토끼에 있어서 체외수정능획득 정자에 의한 체외수정 및 수정란 번식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Improvement of Performance and Reproductive Efficiency in Farm Animals I. In vitro fertilization by in vitro capacitated sperm and transfer of in vitro fertilized embryos in rabbits)

  • 정영채;김창근;주일영;정길생;이규승
    • 한국가축번식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192-203
    • /
    • 1986
  • Two experiments in this study were designed to compare the potential for in vitro capacitation and in vitro fertilization of ejaculated sperm among individual rabbit bucks. In experiment 1, for in vitro capacitation, the ejaculated sperm were preincubated in DM for 12 hr or 18 hr after HIS treatment, then 12 hr -or 18 hr- preincubated sperm were incubated with superovulated rabbit ova in a 5% CO2 incubator for 36 hr at 38$^{\circ}C$, and a part of cleaved ova was transferred to the recipient does for implantation of embryo. In experiment 2, effect of lysolecithin addition to preincubation medium on induction of accelerated in vitro capacitation and in vitro fertilization of individual rabbit sperm was studied. Experiment 1; 1. Percent acrosome reaction of sperm, noted after staining, after 12 hr or 18 hr preincubation ranged from 52.5 to 76.0% and from 67.5 to 90.0%, respectively and sperm motility index of these sperm ranged from 20.0 to 47.5 for 12 hr-preincubated sperm and from 15.0 to 37.5 for 18 hr- preincubated sperm. There was no a certain relation between percent acrosome reaction and sperm motility index. 2. In vitro fertilization rate (cleavage rate) of in vitro capacitated sperm varied widely among individual bucks, ranging from 0 to 47.8% for 12 hr - preincubated sperm and from 0 to 60.9% for 18 hr -prein- cubated sperm. Cleavage rate of 18 hr - preincubated sperm was higher and faster than that of 12 hr - preincubated sperm. 3. Eight of 44 in vitro fertilized embryos transferred into 6 recipients were implanted in 4 recipients (66.7%) up to day 15 and implnatation rate was 18.2%. Experiment 2; 1. The percent acrosome reaction of sperm before and after 4 hr preincubation in DM without lysolecithin varied significantly among individual bucks, ranging from 0.4 to 18.4% and from 1.7 to 37.4%, respectively and percent acrosome reaction of sperm at 30 min after addition of 60${\mu}$g/ml lysolecithin also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bucks, ranging from 19.2 to 67.1%. 2. Effect of accelerated acrosome reaction following lysolecithin addition was more considerable in the individuals showed less percent acrosome reaction before and after 4 hr preincubation. Percentage of motile sperm and motility score showed a trendency towards a decrease with increase of preincubation time and time after lysolecithin addition. 3. In vitro fertilization rate (cleavage rate) at 24 hr postinesmination with pooled sperm were treated to 60 $\mu\textrm{g}$/ml lysolecithin for 30 min after 4 hr preincubation was 24.6%, a higher rate than 13.2% for control. While 80 $\mu\textrm{g}$/ml lysolecithin-added sperm showed a lower cleavage than control and 60$\mu\textrm{g}$/ml-added sperm at both 24 hr and 48 hr postinsemination. These results from 2 experiments suggest that more useful preincubation time for the in vitro capacitation of ejaculated rabbit sperm is 18 hr in DM after HIS treatment, although there is wide variation in vitro capacitation and in vitro fertilization rate among individual bucks, and lysolecithin addition to at least 4 hr - preincubated sperm in DM can result in almost same in vitro fertilization rate as that of 18 hr - preincubated sperm in the experiment 1.

  • PDF

수종의 저장용액에서 치주인대세포의 생존율 비교 (A COMPARATIVE STUDY OF PRESERVING ABILITY OF HUMAN PERIODONTAL LIGAMENT CELLS STORED IN DIFFERENT STORAGE MEDIA)

  • 최원경;최형준;최병재;이종갑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427-436
    • /
    • 1999
  • 치아탈구 발생시 사고 현장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저장용액을 이용하여 치주인대세포의 생존율을 비교해보고자 치주인대세포를 10% FBS함유 ${\alpha}-MEM$에서 배양한 후 ${\alpha}-MEM$에서 저장한 군을 대조군으로 하고 동일한 조건하에서 저온살균된 우유군, 멸균된 생리적 식염수군, 비자극성 타액군, 건조된 상태로 방치한 군을 실험군으로 하여 $25^{\circ}C$ 실온에서 세포 배양 30, 60, 90, 120, 180분 후에 각 군에 대해 MTT assay를 시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각 조사시점에서 실험군간의 비교에서는 모두 유의성있는 차이를 보였으며 저온살균된 우유군에서 치주인대세포의 생존율이 가장 높았고, 멸균된 생리적 식염수군, 비자극성 타액군, 건조된 상태로 방치한 군 순으로 점차 감소하였다(P<0.05). 2. 각 실험군내에서 조사시점간의 비교에서는 치주인대세포의 생존율이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유의성있게 감소하였으나(p<0.05), 저온살균된 우유군에서 90-120분 경과 사이, 멸균된 생리적 식염수군에서 60-90분과 120-180분 경과 사이에서는 유의성있는 차이는 없었다(P>0.05). 이상의 결론을 종합해볼 때 외상으로 인한 치아탈구 발생시 저장용액으로 HBSS가 추천되고 있으나 사고 현장에서 쉽게 구할 수 있고 치주인대세포의 생활력 보존에도 유리한 저온살균된 우유에 탈구된 치아를 담가오도록 추천할 수 있겠다.

  • PDF

중합효소연쇄반응을 이용한 돼지 체외수정란의 성감별 (Sex Determination of Porcine IVF Embryos by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 강미선;김용준;이해이;유일정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203-211
    • /
    • 2001
  • 성간별에 이용할 돼지 수정란을 체외수정 방법으로 생산하기 위하여 돼지 난소에서 채취한 난자를 NCSU 23 배지에서 eCG, hCG를 첨가한 상태에서 22시간, 첨가하지 않은 상태에서 22시간 체외성숙을 시킨 후 mTBM을 이용하여 여러가지 정자농도(5$\times$$10^4$, 2.5$\times$$10^{5}$ , 6.0$\times$$10^{5}$ 그리고 10.0$\times$$10^{5}$ )에 따라 6시간 수정시켰고, NCSU 23 배지에서 배양시켰다. 배양 후 44시간에 수정란의 분할률을 관찰하였고, 144시간에 배반포 형성율을 확인하였다. 성감별 방법은 체외수정으로 생산된 배반포를 돼지 Y-specific DNA primer를 이용하여 PCR 처리를 한 후 전기영동으로 491 bp에서 증폭된 band의 유무에 따라 암컷과 수컷의 성을 판정하였다. 1. 돼지 체외수정에서 정자농도 5$\times$$10^4$, 2.5$\times$$10^{5}$ , 6.0$\times$$10^{5}$ 및 10.0$\times$$10^{5}$ 에 따른 수정란 분할률은 각각 55.95, 67.88, 60.18, 47,60%이었다. 2. 정자농도 5$\times$$10^4$, 2.5$\times$$10^{5}$ , 6.0$\times$$10^{5}$ 에 따른 배반포 형성율은 각각 16.03, 22.40, 21.41, 12.37%이었다. 3. 31개의 체외수정으로 생산된 배반포에 대한 PCR을 이용한 성감별 결과는 18개가 수컷, 13개가 암컷으로서 각각 58.1%과 41.9%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돼지의 체외수정으로 생산된 배반포에 대한 성감별시 PCR 기법이 신속하고 정확하게 성감별을 실시할 수 있는 방법으로 판단되었다.

  • PDF

LAL Test에서 위양성을 나타내는 원인들에 대한 고찰 (Consideration About the Bacterial Endotoxin Test Showing False Positive Test Result When Performing LAL Test)

  • 황기영;조용현;이용석;김형우;이홍재;김현주
    • 핵의학기술
    • /
    • 제13권3호
    • /
    • pp.156-158
    • /
    • 2009
  • 환자 몸에 투여되는 주사용제재으로서 약품 내 무균성이 요구되어진다. 현재 대부분의 방사성약품합성 실에서는 사용하기가 비교적 간편하고 민감도가 우수한 Bacterial Endotoxin Test로 방사성약품 내 발열성물질이 존재하는지의 유무를 실험한다. 그렇지만 테스트결과를 해석할 때 가끔씩 위 양성의 결과를 나타내서 결과를 해석 시 혼란을 줄 때도 있다. 이 위 양성의 원인을 알아보기 위해 pH영역이 다른 buffer와 Ethanol sample을 사용해서 실험을 해보았다. 그 결과 pH영역이 너무 산성이나 염기성인 1.0~5.0 그리고 11.2~12.6에서 위 양성의 결과를 나타냈고 Ethanol sample에 있어서는 20~50%에서는 위 양성의 결과를 100%에서는 완전한 양성의 결과를 나타내었다. Pyrogen은 면역력이 약한 환자들에게 있어서 두통이나 발열, 백혈구감소증 등의 증상을 일으키고 심지어 합병증으로 인해 환자들에게 치명적인 반응을 일으키기도 한다. 그러므로 우리는 위양성의 결과에 영향 미치는 이런 요인들을 최대한 배제함으로써 객관적이고 신뢰할만한 Pyrogen test결과를 도출하는게 필요하다.

  • PDF

아위느타리 신품종 GW10-45 클로로포름 추출물의 항염증 효과 (Anti-inflammatory properties of chloroform extracts from GW10-45, a new cultivar derived from Pleurotus ferulae, in RAW264.7 murine macrophages.)

  • 최형욱;김은주;김근기;신평균;김군도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220-224
    • /
    • 2016
  • 만성적 염증 반응은 지속적인 항원에 대한 노출에 의해 발생할 수 있으며 관절염이나 2형 당뇨와 같은 여러 염증성 질환의 가장 큰 발병 원인이 된다. 본 연구에서는 아위 느타리 버섯 (Pleurotus ferulae)의 새로운 육종 균주인 GW10-45의 추출물(헥산, 클로로포름, 메탄올, 메탄올/물, 물)이 가지는 RAW264.7 대식세포에 대한 항염증 활성을 연구하였다. 먼저, 각각의 추출물은 RAW264.7 세포주에 대하여 세포독성을 가지지 않았으며, 헥산 및 클로로포름, 물 추출물이 산화질소의 생성을 억제하였다. 그 중, 클로로포름 추출물(CG45)을 처리한 실험군에서 가장 높은 산화질소 생성 억제효과가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또한 주요한 염증성 인자들의 단백질 발현 및 인산화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Western blot 분석을 시행하였다. 그 결과, LPS로 유도된 염증 모델에 CG45를 처리하였을 때 iNOS 및 COX-2 단백질의 발현이 급격히 감소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NF-{\kappa}B$ 신호전달에서 $NF-{\kappa}B$와 이의 억제 단백질인 $I{\kappa}B{\alpha}$의 인산화가 LPS만을 처리한 군과 비교하여 CG45를 함께 처리한 실험군에서 크게 감소함을 확인하였다. 실험을 통하여 아위느타리 버섯의 새로운 육종균주 GW10-45의 추출물 CG45는 $NF-{\kappa}B$ 신호전달 과정에서 인산화 정도를 억제함으로써 iNOS 및 COX-2 단백질의 발현을 억제하여 LPS로 유도된 RAW264.7 세포주의 염증 모델에서 그 염증 반응을 억제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Bacterial Community Dynamics during Swine In vitro Fermentation Using Starch as a Substrate with Different Feed Additives for Odor Reduction

  • Alam, Md.J.;Jeong, C.D.;Mamuad, L.L.;Sung, H.G.;Kim, D.W.;Cho, S.B.;Lee, K.;Jeon, C.O.;Lee, Sang-S.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5권5호
    • /
    • pp.690-700
    • /
    • 2012
  •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by in vitro fermentation and bacterial community analysis to investigate the reduction of odorous compounds in response to the use of feed additives (FA) during carbohydrate overload in growing pigs. Soluble starch at 1% (control) and various FA at 0.1% Ginseng meal (FA1); Persimmon leaf (FA2); Gingko nut (FA3) and Oregano lippia (FA4) were added to fecal slurry and incubated anaerobically for 12 and 24 h. In vitro parameters and microbial diversity of the dominant bacteria following fermentation were analyzed using Denaturing Gradient Gel Electrophoresis (DGGE), band cloning and sequencing of the V3 region. Results showed that total gas production increased with the advancement of incubation (p<0.05). pH values of FAs and control groups were decreased except the FA4 group which increased somewhat from 12 to 24 h (p<0.05). Ammonia nitrogen ($NH_3$-N) and $H_2S$ gas concentrations were comparatively lower in both stages in FA4 treatment than in the other groups (p<0.05). Hence, $NH_3$-N concentrations in liquid phases were increased (p<0.05) from 12 to 24 h, but the trend was lowest in FA4 than in the other groups at both stages. The total VFA production was comparatively lower and butyrate levels were moderate in FA4 group than in the the other groups during both stages (p<0.05). Indirect odor-reducing compounds such as $NO_2$, $NO_3$ and $SO_4$ concentrations were higher in the FA4 and FA3 than in the other groups at 24 h (p<0.05). After fermentation, ten dominant bands appeared, six of which appeared in all samples and four in only the FA4 treated group. The total number of DGGE bands and diversity was higher in the FA4-group compared to other groups. Additionally, similarity indices were lowest (71%) in the FA4, which represented a different bacterial community compared with the other groups.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NH_3$-N, $H_2S$ and VFA production was minimal, and pH was also better in the FA4 group than in the other groups. Furthermore, the conversion of odor-reducing indirect compounds or their intermediates was higher in the FA4 group in compared to the other groups. FA4 group generated less odorous products and more indirect products by in vitro fermentation at 24 h, and their microbial pattern appeared to differ from that of the other group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is particular FA could change the microbial population, which may have a beneficial effect on odor reduction. It is recommended that the oregano lippia may be supplied to growing pigs as FA along with excess carbohydrate sources to reduce the production of odorous compounds.

Vitamin $D_3$$TGF-{\beta}$가 치주인대세포 활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THE EFFECT OF VITAMIN $D_3$ AND $TGF-{\beta}$ ON THE VIABILITY OF HUMAN PERIODONTAL LIGAMENT CELLS)

  • 송현섭;김상철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627-640
    • /
    • 1998
  • 골 성장 및 개조에 관여하는 전신적 조절인자인 $1,25-(OH)_2D_3$와 국소적 조절인자인 $TGF-{\beta}$가 사람의 치주인대세포 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고자 그 인자들을 단독 혹은 복합적으로 치주인대세포에 가하여 그 활성 변화를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10ng/m1 농도의 vitamin $D_3$를 치주인대세포에 가한 후 배양 1, 2, 3일째의 활성은 대조군과 차이가 없었으나, 50ng/ml 농도로 가한 후 배양 3째일에는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100ng/m1 농도에서는 배양 1, 2, 3일째에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2. 0.1ng/ml 농도의 $TGF-{\beta}$를 치주인대세포에 가한 후 배양 1, 2, 3일째의 활성은 대조군과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1ng/ml나 5ng/ml농도의 $TGF-{\beta}$를 가한 경우 배양 3일째에 유의하게 증가되었으며 10ng/ml농도의 경우에는 배양 2, 3일째에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3. 1ng/ml 농도의 $TGF-{\beta}$와 다양한 농도의 vitamin $D_3$를 혼합투여한 경우, 100ng/m1 농도의 vitamin $D_3$로 배양 3일째에 유의한 활성 증가를 볼 수 있었다. 4. 5ng/ml 농도의 $TGF-{\beta}$와 다양한 농도의 vitamin $D_3$를 혼합투여한 경우, 10, 50, 100ng/m1의 vitamin $D_3$에서 공히 배양 2일째부터 유의한 활성 증가를 보였으나 10ng/ml에서는 배양 3일째에 그 활성이 유지되지 못하였다. 5. 10ng/ml농도의 $TGF-{\beta}$와 다양한 농도의 vitamin $D_3$를 혼합투여한 경우, 50ng/ml의 vitamin $D_3$에서는 배양 2일째부터 100ng/m1의 vitamin $D_3$에서는 1일째부터 유의한 활성 증가를 보였다.

  • PDF

HaCaT 피부각질세포에서 들깻잎 추출물의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한 항산화 효과 (Protective Effects of Perilla frutescens Britt var. japonica Extracts from Oxidative Stress in Human HaCaT Keratinocytes)

  • 지나;송가락;길정하;박건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2권2호
    • /
    • pp.161-167
    • /
    • 2013
  • 들깻잎 메탄올추출물(PLME)이 가지는 산화적 스트레스 개선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H_2O_2$으로 유도된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한 HaCaT 피부 각질세포의 보호효과를 조사하였다. 또한 PLME의 항산화 능력을 확인하기 위하여 DPPH, hydroxyl free radical 소거능 및 총 항산화물질(페놀류, 플라보노이드류 및 아스코르브산) 함량을 조사하였다. $H_2O_2$(500 ${\mu}M$)에 의한 산화적 스트레스가 유발된 HaCaT세포에 PLME를 처리한 결과, 농도 의존적으로 세포의 생존율이 증가하였고, 세포 지질과산화물질 MDA의 생성효과는 PLME 처리에 의해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것을 관찰하였다. 또한 $H_2O_2$로 인하여 세포내 항산화효소인 SOD, GSH-px와 CAT 등의 활성이 감소된 HaCaT세포에 PLME를 처리했을 때, 이들 효소의 활성이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되었다. PLME의 DPPH와 hydroxyl radical 소거능을 측정한 결과, 농도 의존적으로 radical 소거능이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50 ${\mu}g/mL$ 이상 농도의 PLME의 DPPH 소거능은 60%의 저해율을 나타낸 천연항산화제인 아스코르브산(50 ${\mu}g/mL$)과 유사한 효과를 보였고, ${\cdot}OH$ radical 소거능은 아스코르브산(50 ${\mu}g/mL$)보다 높은 결과를 나타냈다. 또한 PLME가 함유하고 있는 항산화물질인 폴리페놀류, 플라보노이드류, 아스코르브산의 함량을 측정한 결과 총 페놀류화합물은 $52.2{\pm}1.1$ mg GAE/g, 총 플라보노이드화합물은 $33.7{\pm}4.7$ mg RUE/g, 아스코르브산의 함량은 $17.0{\pm}0.5$ mg AA/g으로 나타났다. HaCaT 세포에서 $H_2O_2$에 의해 발생하는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한 보호 효과를 측정한 결과 PLME는 세포 사멸을 방지하고, 세포 지질과산화물질(MDA)의 생성을 억제하여 세포내 항산화효소의 활성을 증가시키는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보인다. 이상의 결과로 들깻잎 메탄올추출물은 인체 피부각질 세포에 대한 보호 작용과 in vitro에서의 항산화 능력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사상자세방(蛇床子洗方)의 Gardnerella vaginalis에 대한 시험관 내 항균력 및 Metronidazole과 병용효과 (Antibacterial Effects of Sasangjasaebang Aqueous Extracts Against Gardnerella Vaginalis ATCC14018, and Combination Effects with Metronidazole)

  • 성현아;박영선;김동철
    •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20-37
    • /
    • 2010
  • Purpos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observe the antibacterial effects of Sasangjasaebang (SSJSB) aqueous extracts, traditionally used for treating various gynecological diseases including vaginitis in Korea and their individual components - Cnidi Fructus(CF), Zanthoxyli Fructus(ZF) and Alumen(AL) against Gardnerella vaginalis ATCC14018, and combination effects of SSJSB extracts and Metronidazole were also monitored in this study. Methods: Antibacterial activities against Gardnerella vaginalis ATCC14018 of SSJSB (CF : ZF : AL = 10 : 3 : 3) aqueous extracts and their individual components were detected using standard agar microdilution methods. In addition, the effects on the bacterial growth curve were also monitored at MIC and $MIC{\times}2$ levels. The combination effects of SSJSB aqueous extracts and Metronidazole were observed by Checkboard Microtiter Assay and effects on bacterial growth curve treated with SSJSB aqueous extracts MIC + Metronidazole MIC, 1/2MIC and 1/4MIC, respectively. In the present study, Gardnerella vaginalis ATCC14018 were incubated under $37^{\circ}C$, 10% CO2 and bacterial growth curves were calculated at 24, 48, 72, 96 and 120 hrs after incubations. Results: MIC of CF aqueous extracts, ZF aqueous extracts, AL powders and SSJSB aqueous extracts against Gardnerella vaginalis ATCC14018 were detected as $27.5\;{\pm}\;13.693$(12.5~50), $6.875\;{\pm}\;3.423$(3.125~12.5), $4.375\;{\pm}\;1.713$(3.125~6.25) and $2.188\;{\pm}\;0.856(1.563{\sim}3.125)mg/m{\ell}$, respectively. MIC of Metronidazole was detected as $7.6\;{\pm}\;5.367(2{\sim}16){\mu}g/m{\ell}$ at same conditions. In addition, Metronidazole, CF aqueous extracts, ZF aqueous extracts, AL powders, and SSJSB aqueous extracts showed marked dosage-dependent inhibition of bacterial growth, and more dramatical inhibitions were detected in Metronidazole 1/2 MIC + SSJSB aqueous extracts MIC treatment as compared with each of single Metronidazole MIC and SSJSB aqueous extracts MIC treatments, respectively. Especially, quite similar inhibitory effects on bacterial growth were detected in Metronidazole 1/4 MIC + SSJSB aqueous extracts MIC treatment as compared with single Metronidazole MIC treatment in the present study. FIC index were detected as $0.475\;{\pm}\;0.137$(0.375~0.625) at Checkboard Microtiter Assay. Conclusion: The results obtained in this study suggest that CF aqueous extracts, ZF aqueous extracts, AL powders, and SSJSB aqueous extracts showed antibacterial effects against Gardnerella vaginalis ATCC14018, and they also showed dosage-dependent inhibitory effects on the bacterial growth. More potent antibacterial effects were detected in SSJSB aqueous extract as compared with individual components, respectively. In addition, combination treatment of SSJSB aqueous extract and Metronidazole showed more potent inhibitory effects on the growth of Gardnerella vaginalis with FIC index $0.475\;{\pm}\;0.137$(0.375~0.625). According to these results, the combination of SSJSB aqueous extract and Metronidazole is synergistic, and it is expected that effective dosages of Metronidazole could be reduced to 1/4 levels in combination with SSJSB extracts. And it might be needed to make further studies to seek the herbs which have antibacterial effects on the Gardnerella vaginalis ATCC14018.

배양액, 섬유아세포, 배양시간, 산소 농도 및 활성화 처리가 돼지 핵이식 배의 체외발달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Media, Synchronization of Fibroblast Cells, Culture Time, $\textrm{O}_2$ Concentration and Activation on Developmental Rate of Nuclear Transferred Porcine Oocytes)

  • 전연화;이만휘;김상근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191-199
    • /
    • 2004
  • 본 연구는 돼지 태아 섬유아세포유래 공여세포를 미세주입에 의해 주입 후 재 조합한 핵 이식 배에 대한 배양액, 세포주기의 동기화, 배양시간 및 난자의 활성화에 따른 융합율과 체외발생율에 대해 조사하였다. 핵 이식 배를 NCSU-23, TL Hepes 및 TZM-3 배양액으로 1시간 및 8시간 배양하였을 때 배반포로의 분할율은 각각 15.6%, 14.0%, 15.0% 및 13.9%, 10.5%, 13.3%로서 배양액 및 시간에 따른 분할율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공여핵원용 세포를 0, 8, 15시간 배양했을 때 G2/M기로의 체외발달율은 12.0%, 18.0%, 48.0%였다(p<0.01). 공여핵원용 세포를 12-24시간 배양했을 때 G2/M기로의 체외발달율은 유의한 증가를 나타내지 않았다. 공여핵원용 세포를 10% FBS + NCSU-23 배양액으로 1-2, 6-8, 12-14일간 배양 후 핵 이식한 배의 융합율은 각각 60.0%, 73.3%, 62.5%였으며, 분할율은 각각 36.0%, 56.7%, 50.0%였다. 0.5% FBS + NCSU-23, 0.5% + TL-Heaps 및 0.5% + TZM-3 배양액으로 5% $O_2$조건 하에서 배양하였을 때 핵 이식배의 $\geq$2 cell 및 배반포로의 발생율은 각각 12.5$\pm$1.6%, 11.1$\pm$1.8%, 11.7$\pm$1.0%였으며, 10% $O_2$조건 하에서 배양하였을 때 핵 이식배의 $\geq$2 cell 및 배반포로의 발생율은 각각 10.5$\pm$1.5%, 9.8$\pm$1.4%, 10.0$\pm$0.8%였다 배양액과 $O_2$ 조건에 따른 유의한 발생율에 차이는 인정되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