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fermented

검색결과 660건 처리시간 0.026초

저생 미생물 연료전지(BMFC)의 성능에 미치는 발효 유기물 첨가 효과 (Effect of Adding Fermented Organic Matter on the Performance of Benthic Microbial Fuel Cell (BMFC))

  • 이미화;양설화;김영숙;추천호;박권필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60권4호
    • /
    • pp.486-491
    • /
    • 2022
  • 저생 미생물 연료전지(BMFC)는 바다나 호수의 뻘 속에서 저생 미생물이 유기물을 분해하면서 발생시키는 전기를 이용하는 친환경적인 에너지 변환장치다. 본 연구에서는 갯벌에 유입되는 생활 폐수가 저생 미생물 연료전지 성능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파악하고자, 음식물에 들어가는 유기물들을 발효시켜 갯벌과 혼합해서 BMFC 성능을 비교검토 하였다. 박력분과 비타민(B2, B6, B12, C, D, E)이 많이 함유된 음식물을 발효시켜 첨가함으로써 BMFC 성능을 49% 향상시켰다. 발효 유기물의 양이 증가할수록 최고 출력밀도가 증가하였고, 25~29일 발효시킨 발효 유기물이 BMFC에 최적임을 보였다.

Productivity increase and odor reduction effect of fermented barley sprout extract in broiler farms

  • Gyurae, Kim;Ho-Seong, Cho;Sang-Joon, Lee;Hyunsook, Min;Gyeongchan, Go;Dongseob, Tark;Yeonsu, Oh
    • 한국동물위생학회지
    • /
    • 제45권4호
    • /
    • pp.263-268
    • /
    • 2022
  • The current study examined the impact of fermented barley sprout extract prepared using lactic acid bacteria (Lactobacillus sp.) in decreasing odor and increasing livestock productivity and measured the difference in the polyphenol and flavonoid contents of the extract after fermentation. Furthermore, the effectiveness of fermented barley sprout extract was evaluated through order level and production index of livestock by supplying it to a broiler house. The results showed that with fermented barley sprout extract, the polyphenol and flavonoid contents were increased significantly by 174% and 562%, respectively. When the extract was applied as an additive to drinking water in the test farm, the productivity improved by about 10%, the mortality rate was reduced by about 66%, and there was a significant decrease in odor by about 80%.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the production index increased by about 21%, the feed requirement decreased by about 8%, the odor showed a decrease in the NH3 level, and no other gas was detected. It was observed that lactic acid bacteria settle in the intestine, suppress the proliferation of bacteria that cause diarrhea and enteritis, and help digestion. The lactic acid bacteria effectively remove bad odor gases such as NH3, Amines, H2S and CH4S. Such odor reduction improves productivity. Our findings provide valuable information for quality water supply, production optimization and livestock management.

주정박을 이용한 고체발효 조건의 최적화 (Optimization of Solid-State Fermentation Condition Using Distiller's Dried Grain)

  • 최기욱;문세권;김율;장병욱;김영란;정봉우
    • KSBB Journal
    • /
    • 제23권4호
    • /
    • pp.345-349
    • /
    • 2008
  • 본 연구는 에탄올 생산 부산물인 주정박의 사료로서의 가치를 향상시키고 효소 활성을 유지하면서 아미노산이 다량 함유된 발효 사료를 개발하기 위한 고체 발효 조건을 최적화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사용된 균주의 pH에 대한 영향을 살펴본 결과, pH 4에서 효소 활성이 우수하였으며 또한 이 조건은 낮은 pH 조건이므로 잡균에 대한 오염도 예방 할 수 있어 본 실험의 최적 액체배양 조건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고체 배양을 위한 배양 조건 탐색에서는 60%의 수분을 함유한 고체 배양에서 가장 좋은 효소 활성의 결과를 나타내었으며 적정 배지 조성을 위한 혼합 비율 탐색의 경우 밀기울 함량이 높고 DDG 함량이 낮을수록 효소 활성은 좋았으나 아미노산 함량은 낮은 반면, DDG 함량이 높고 밀기울 함량이 낮을수록 효소 활성은 낮았지만 아미노산 함량은 높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효소활성 ($\geqq$ 1,000 U/g) 및 아미노산 함량 ($\geqq$ 28%)이 적당한 고체 발효 배지 조성의 비율은 DDG와 밀기울이 1 : 4였다. 이렇게 해서 얻어진 결과로 약 1 ton 정도의 발효 사료 시제품을 생산하였으며 시제품의 효소활성과 조단백질 함량은 각각 1,024 U/g과 33.6%였다.

항생제 대체제로서 Clostridium butyricum IDCC 9207 백미 발효물의 항균작용과 장관 면역증진효과 (White Rice Fermented by Clostridium butyricum IDCC 9207 as an Alternative to Antibiotic having Antibacterial and Immunostimulatory Activity)

  • 이승훈;김성범;강재훈;강대중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3권4호
    • /
    • pp.341-348
    • /
    • 2011
  • 이 연구는 천연소재 probiotics 발효물을 대상으로 가축의 장내 유해세균으로 알려진 S. typhimurium KCTC 2054와 E. coli O157:H7의 생장을 억제시키는 유효 발효물을 선발하여 특성을 연구하는 데 있다. 실험 샘플 444개 중 유해 세균에 대한 항균력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C. butyricum IDCC 9207 백미 발효물(FWR)을 최종 선발하였다. C. butyricum IDCC 9207이 함유된 백미 발효물 (FWRCb9207)을 S. typhimurium KCTC 2054로 감염시킨 ICR-mice에 일정기간 투여하였을 때, salmonella의 생육이 억제됨을 확인하였으며, 장관에서 분비되는 secretory immunoglobulin A (sIgA)의 양이 증가됨을 확인하였다. FWRCb9207은 기존의 생균제 보다 빠른 정장효과를 나타낼 수 있으며, 발효물보다 생균보강을 통해 정장작용의 기간을 늘릴 수 있는 것이 장점이다. 또한 FWRCb9207의 급여를 통해 사료로부터 쉽게 감염되는 S. typhimurium, S. gallinarum, S. pullorum, S. choleraesuis ssp. choleraesuis 등의 유해세균 증식을 효과적으로 억제시키고 면역력을 증진시킴으로써 가축의 증체율을 높였다. 이러한 FWRCb9207의 synbiotic effects는 궁극적으로 기존 항생제를 대체함으로써 항생제 오남용으로 발생되는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Effect of Rice Bran and Wheat Fibers on Microbiological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Fermented Sausages during Ripening and Storage

  • Jung, Ji-Taek;Lee, Jin-kyu;Choi, Yeong-Seok;Lee, Ju-Ho;Choi, Jung-Seok;Choi, Yang-Il;Chung, Yoon-Kyung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302-314
    • /
    • 2018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rice bran fiber (RBF) and wheat fibers (WF) on microbiological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fermented sausages during ripening and storage. The experimental design included three treatments: Control, no addition; RBF, 1.5%; and WF, 1.5%. During the ripening periods, the addition of dietary fibers rapidly decreased pH and maintained high water activity values of fermented sausages (p<0.05). Lactic acid bacteria were more prevalent in fermented sausages with rice bran fiber than control and sausages with added wheat fiber. During cold storage, lower pH was observed in sausages with dietary fibers (p<0.05), and the water activity and color values were reduced as the storage period lengthened. Fermented sausages containing dietary fibers were higher in lactic acid bacteria counts, volatile basic nitrogen and 2-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 values compared to the control (p<0.05).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addition of dietary fibers in the fermented sausages promotes the growth of lactic bacteria and fermentation, and suggests that development of functional fermented sausages is possible.

함초 추출물 발효액의 기능성 (The Functionality of the Saltwort (Salicornia herbacea L.) Extract Fermented Juice)

  • 송태철;이창호;김영언;김인호;한대석;양동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395-399
    • /
    • 2007
  • 각종 미네랄과 무기염류의 함량이 풍부한 것으로 알려진 함초를 이용하여 발효 후 그에 따른 기능성을 검토해 보고자 하였다. 유산균 접종 후 pH는 초기 4.50에서 발효 후 2.84로 변했으며, 산도는 초기 0.29에서 발효 후 0.55로 증가하였다. 한편 생균수를 측정한 결과 초기 $1.2{\times}10^{11}CFU/mL$이었던 생균수는 발효 72시간 후 $1.4{\times}10^{13}CFU/mL$를 보였다. 함초 추출물 발효액을 동결건조시킨 후 그에 따른 기능성을 검토하였으며 SOD-유사활성과 DPPH-라디칼 소거능 측정결과, 농도 의존적인 경향을 보였으며 혈전분해능 측정결과 발효 전의 함초 추출물에서는 나타나지 않았던 혈전분해능을 발효 후 동결건조분말 25%의 시료 농도에서 plasmin $3.84{\mu}g/mL$의 농도와 동일한 수준의 혈전용해능을 보였다.

발효 전복 추출물의 피부자극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Skin 1st Patch Test of Fermented Hydrolysate from Abalone(Haliotis discus hannai Ino))

  • 이충우;홍경희;전용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1호
    • /
    • pp.421-424
    • /
    • 2016
  • 본 연구에서 남해안산 전복으로 부터 얻어진 일반 열수 전복 추출물과 발효추출물의 화장품 원료로서의 사용가능성을 평가하고자 기본적인 피부 안전성 시험으로 추물물과 이를 이용한 액정크림 제형에서의 피부 일차 첩포 테스트를 수행하였다. 비교군으로 정제수, 1,3-부틸렌글리콜, 액정크림으로 하였고 시료군은 전복추출물과 전복추출물을 함유한 액정크림 제형이었다. 피부 일차 첩포 테스트 결과, 비교군과 시료군 모두 피부의 자극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전복 추출물이 화장품 원료로서 피부 안전성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