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lupea nasus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15초

Genetic Distances and Variations of Three Clupeid Species Determined by PCR Technique

  • Choi, Sang-Hoon;Yoon, Jong-Man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18권4호
    • /
    • pp.287-292
    • /
    • 2014
  • In this study, seven oligonucleotides primers were shown to generate the shared loci, specific loci, unique shared loci to each species and shared loci by the three species which could be obviously calculated. Euclidean genetic distances within- and between-species were also calculated by complete linkage method with the sustenance of the hierarchical dendrogram program Systat version 13. The genomic DNA isolated from herring (Clupea pallasii), Korean anchovy (Coilia nasus) and large-eyed herring (Harengula zunashi), respectively, in the Yellow Sea, were amplified several times by PCR reaction. The hierarchical dendrogram shows three chief branches: cluster 1 (PALLASII 01, 02, 03, 04, 06 and 07), cluster 2 (NASUS 08, 09, 10, 11, 12, 13 and 14), and cluster 3 (ZUNASHI 15, 16, 17, 18, 19, 20, 21 and PALLASII 05). In three clupeid species, the shortest genetic distance displaying significant molecular difference was between individual PALLASII no. 03 and PALLASII no. 02 (0.018). Individual no. 06 of PALLASII was most distantly related to NASUS no. 11 (genetic distance = 0.318). Individuals from herring (C. pallasii) species (0.920) exhibited higher bandsharing values than did individuals from Korean anchovy (C. nasus) species (0.872) (P<0.05). As a result, this PCR analysis generated on the genetic data displayed that the herring (C. pallasii) species was widely separated from Korean anchovy (C. nasus) species. Reversely, individuals of Korean anchovy (C. nasus) species were a little closely related to those of large-eyed herring (H. zunashi) species.

낙동강 하구역 부유성 자치어 종조성의 시·공간 변동 (Spatio-temporal Variations in Species Composition and Abundance of Larval Fish Assemblages in the Nakdong River Estuary, Korea)

  • 최희찬;박주면;허성회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04-115
    • /
    • 2015
  • 2010년 9월부터 2011년 8월까지 매월 소조기에 낙동강 하구역의 안쪽과 바깥쪽 두 개 정점에서 자치어를 채집하여 종조성의 시공간 분포를 밝혔다. 연구기간 동안 출현한 자치어는 총 7목 26과에 속하는 43개 분류군이 출현하였으며, 망둑어과 자치어가 전체 개체수의 63.1%를 차지하여 가장 우점하였다. 그중 하계 출현 망둑어과 자치어가 개체수비 55.5%로 가장 많이 채집되었다. 그 다음으로 청어 (13.2%), 멸치 (13.0%), 그리고 춘계 출현 망둑어과 자치어 (4.6%), 전어 (3.8%), 동계 출현 망둑어과 자치어 (3.1%), 정어리 (1.2%), 웅어 (0.7%) 순으로 채집되었고, 이들 8개 분류군이 전체 자치어 출현량의 95.0%를 차지하였다. 본 연구에서 출현한 자치어 군집은 총 5개의 그룹으로 구분되었으며, 시기적으로 봄, 여름 및 가을, 그리고 겨울 그룹으로 분리되었다. 특히 여름 및 가을에 자치어 군집의 공간적 분리가 나타났다. 하구역의 안쪽 정점에서는 하계 출현 망둑어과 자치어가 우점하였으며, 바깥 정점에서는 망둑어류 외에 멸치가 우점하였고, 기타 다양한 해수어종의 자치어가 출현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