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loud Street

검색결과 11건 처리시간 0.032초

Word Cloud 분석을 이용한 스트리트 패션 연구 (A study on street fashion by word cloud analysis)

  • 이은숙;김새봄
    •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49-62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omen's street fashion based on Instagram by word cloud analysis. This study is divided into items, silhouettes, colors, materials, patterns, and images that appear in women's street fash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women's fashion-oriented Instagram accounts have a maximum of 8.6 million followers, with 16 blogs have more than one million users. As for the fashion-oriented Instagram visitors, many were their 10s-20s and photography was the key issue.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casual image, which is the basis of street fashion, romantic, elegance, active sportive image, and sexy images appeared as unique images, and mixed with each other. Third, we compared the fashion characteristics of the top blogs 'fashionnova', 'fashionclimaxx2', and 'fashion.selection'. The blog 'fashionnova', utilizes sexy images and various dresses, and dresses were the characteristic points. The blog 'fashionclimaxx2' features casual images and modern office looks. The blog 'fashoin.selection' has fashion characteristics of both 'fashionnova' and 'fashionclimaxx2'.

서해상에 발생하는 Cloud Streets에 동반된 2003년 1월 4일 강설의 레이더관측사례 분석 (Characteristics of Snowfall Event with Radar Analyses over Honam District and Gwangju Occurred by Cloud Streets over Yellow Sea for 04 Jan. 2003)

  • 신기창;류찬수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9권10호
    • /
    • pp.1187-1201
    • /
    • 2010
  • The formation and development conditions of the cloud streets over the yellow sea by the Cold Surge of Siberian Anticyclone Expansion which produce the heavy snowfall events over the southwestern coast, Honam District of the Korean peninsula, has been investigated through analyses of the three dimensional snow cloud structures by using the CAPPI, RHI, VAD and VVP data of X-band Radar at Muan Weather Observatory and S-band Radar at Jindo Weather Station. The data to be used are obtained from January 04, 2003, when heavy snow storm hits on Gwangju and Honam District. The PPI Radar images show that the cloud bands distribute in perpendicular to the expansion direction of the high pressure and that the radius of cloud cells is about 5~8 km with 20~30 dBz and distance between each cell is about 10 km. And but the vertical Radar images show that the cloud street is a small scale convective type cloud within height of about 3 km where a stable layer exists. From the VVP images, the time period of the high pressure expansion, the moving direction and development stages of the system are delineated. Finally, the vertical distribution of wind direction is fairly constants, while the wind speed sheer increases with altitude to 3 km.

UAV 영상과 SfM 기술을 이용한 가로수의 탄소저장량 추정 (Estimation Carbon Storage of Urban Street trees Using UAV Imagery and SfM Technique)

  • 김다슬;이동근;허한결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22권6호
    • /
    • pp.1-14
    • /
    • 2019
  • Carbon storage is one of the regulating ecosystem services provided by urban street trees. It is important that evaluating the economic value of ecosystem services accurately. The carbon storage of street trees was calculated by measuring the morphological parameter on the field. As the method is labor-intensive and time-consuming for the macro-scale research, remote sensing has been more widely used. The airborne Light Detection And Ranging (LiDAR) is used in obtaining the point clouds data of a densely planted area and extracting individual trees for the carbon storage estimation. However, the LiDAR has limitations such as high cost and complicated operations. In addition, trees change over time they need to be frequently. Therefore, Structure from Motion (SfM) photogrammetry with unmanned Aerial Vehicle (UAV) is a more suitable method for obtaining point clouds data. In this paper, a UAV loaded with a digital camera was employed to take oblique aerial images for generating point cloud of street trees. We extracted the diameter of breast height (DBH) from generated point cloud data to calculate the carbon storage. We compared DBH calculated from UAV data and measured data from the field in the selected area. The calculated DBH was used to estimate the carbon storage of street trees in the study area using a regression model. The results demonstrate the feasibility and effectiveness of applying UAV imagery and SfM technique to the carbon storage estimation of street trees. The technique can contribute to efficiently building inventories of the carbon storage of street trees in urban areas.

드론 항공사진측량 기반 포인트 클라우드 데이터를 활용한 가로환경 조사 가능성 연구 (Applicability Review of Street Dimensional Data Survey Using Point Clouds Generated from Drone Photogrammetry)

  • 오성훈;김명조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39권6호
    • /
    • pp.401-408
    • /
    • 2021
  • 2021년 보행안전법 개정안이 발의되면서 보행자 안전의 근간이 되는 보행자길에 대한 전수조사의 법제화 및 의무화 가능성이 높아졌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보급형 드론과 상용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사진측량 기법으로 가로공간의 포인트 클라우드 데이터를 생성하고 분석하는 적정비용의 조사방법론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또한 전국 지자체에서 자체적으로 보행안전법상 보행자길에 대한 전수조사를 자체적으로 실시할 수 있는지 여부에 대한 가능성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실험 대상지 내 다양한 가로시설물 실측을 수행하여 드론촬영으로 획득된 포인트 클라우드 데이터를 기반으로 측정된 결과물의 정확도를 비교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측정 오차범위가 공공측량 작업지침을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가의 장비나 소프트웨어를 제외하는 취지에서 무료오픈소스 프로그램으로 촬영결과를 분석하였으며, 실제 보도 관련 설계지침의 기준치들을 고려할 때 활용이 가능한 유의미한 결과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방법론을 활용한다면, 향후 개별 지자체에서 보행환경개선을 위해 필요한 보행자길 전수조사를 용이하게 시행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도심지역 수목 높이값 측정을 위한 무인항공기에서 취득된 스테레오 영상의 활용 가능성 고찰 (A Study on the Possibility of Using UAV Stereo Image for Measuring Tree Height in Urban Area)

  • 이수암;김수현;김태정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3권6_2호
    • /
    • pp.1151-1157
    • /
    • 2017
  • 가로수는 도시 환경 개선을 위한 중요한 개체이다. 특히 도시 협곡에서 가로수 높이는 대기 오염물질의 제거에 큰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써 높이를 정확히 측정해야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수목의 높이 측정을 위해 대상지역의 무인항공기 영상을 정밀하게 보정하여 스테레오 영상 기반으로 수목의 높이를 추출하는 방식을 시도해보았다. 무인항공기의 영상 정렬은 공선방정식 기반의 SfM(Structure from motion) 방식을 적용하였으며 보정된 영상을 수치도화기에 적용하여 도시 협곡지역의 가로수 높이를 측정하였다. 가로수와 인접 건물의 높이를 함께 취득하였으며 정확한 지물의 높이 계산을 위해 도로면의 평균높이를 함께 산출하여 처리하였다. 그 결과로 수목의 높이 측정 및 건물과의 상대적인 높이값 차이 산출을 수치도화기를 이용한 육안 분석을 통해서 빠르게 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는 무인항공기를 이용하여 별도의 3차원 포인트 클라우드를 제작하지 않고도 건물과 수목의 상대적인 높이 차이를 산출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비전문가도 활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향후 사용자가 영상 내 수목이나 건물의 한 지점을 선택하면 자동으로 해당 개체의 높이값을 추출하는 연구 및 영상에서 자동으로 수목을 추출한 뒤 수고가 함께 취득되는 연구가 수행되어야 하며, 이러한 기술의 개발 및 연구는 이후 도심지내 환경 정책 및 가로수 등의 현황파악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Updating Smartphone's Exterior Orientation Parameters by Image-based Localization Method Using Geo-tagged Image Datasets and 3D Point Cloud as References

  • Wang, Ying Hsuan;Hong, Seunghwan;Bae, Junsu;Choi, Yoonjo;Sohn, Hong-Gyoo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37권5호
    • /
    • pp.331-341
    • /
    • 2019
  • With the popularity of sensor-rich environments, smartphones have become one of the major platforms for obtaining and sharing information. Since it is difficult to utilize GNSS (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inside the area with many buildings, the localization of smartphone in this case is considered as a challenging task. To resolve problem of localization using smartphone a four step image-based localization method and procedure is proposed. To improve the localization accuracy of smartphone datasets, MMS (Mobile Mapping System) and Google Street View were utilized. In our approach first, the searching for candidate matching image is performed by the query image of smartphone's using GNSS observation. Second, the SURF (Speed-Up Robust Features) image matching between the smartphone image and reference dataset is done and the wrong matching points are eliminated. Third, the geometric transformation is performed using the matching points with 2D affine transformation. Finally, the smartphone location and attitude estimation are done by PnP (Perspective-n-Point) algorithm. The location of smartphone GNSS observation is improved from the original 10.204m to a mean error of 3.575m. The attitude estimation is lower than 25 degrees from the 92.4% of the adjsuted images with an average of 5.1973 degrees.

멀티 브랜치 네트워크 구조 탐색을 사용한 구름 영역 분할 (Semantic Segmentation of Clouds Using Multi-Branch Neural Architecture Search)

  • 정치윤;문경덕;김무섭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143-156
    • /
    • 2023
  • 인공위성이 촬영한 영상의 내용을 정확하게 분석하기 위해서는 영상에 존재하는 구름 영역을 정확하게 인지하는 것이 필요하다. 최근 다양한 분야에서 딥러닝(deep learning) 모델이 뛰어난 성능을 보여줌에 따라 구름 영역 검출을 위해 딥러닝 모델을 적용한 방법들이 많이 제안되고 있다. 하지만 현재 구름 영역 검출 방법들은 의미 영역 분할 방법의 네트워크 구조를 그대로 사용하여 구름 검출 성능을 향상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구름 검출 데이터 세트에 다중 브랜치 네트워크 구조 탐색을 적용하여 구름 영역 검출에 최적화된 네트워크 모델을 생성함으로써 구름 검출 성능을 향상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또한 구름 검출 성능을 향상하기 위하여 의미 영역 분할 모델의 학습 단계와 평가 단계의 평가 기준 불일치를 해소하기 위해 제안된 soft intersection over union (IoU) 손실 함수를 사용하고, 다양한 데이터 증강 방법을 적용하여 학습 데이터를 증가시켰다. 본 논문에서 제안된 방법의 성능을 검증하기 위하여 아리랑위성 3/3A호에서 촬영한 영상으로 구성된 구름 검출 데이터 세트를 사용하였다. 먼저 제안 방법과 의미 영역 분할 데이터 세트에서 탐색된 기존 네트워크 모델의 성능을 비교하였다. 실험 결과, 제안 방법의 mean IoU는 68.5%이며, 기존 모델보다 mIoU 측면에서 4%의 높은 성능을 보여주었다. 또한 soft IoU 손실 함수를 포함한 다섯 개의 손실 함수를 적용하여 손실 함수에 따른 구름 검출 성능을 분석하였으며, 실험 결과 본 연구에서 사용한 soft IoU 함수가 가장 좋은 성능을 보여주었다. 마지막으로 의미 영역 분할 분야에서 활용되는 최신 네트워크 모델과 제안 방법의 구름 검출 성능을 비교하였다. 실험 결과, 제안 모델이 의미 영역 분할 분야의 최신 모델들보다 mIoU와 정확도 측면에서 더 나은 성능을 보여주는 것을 확인하였다.

포항시의 집합 주거공간에 있어서 외장재 및 도로 구성재료가 인체 온열 쾌적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the Materials of an Outer Wall and the Paved Street on Human Thermal Comfort in a Housing Complex in Pohang City)

  • 정창원;김경대;최영식
    • 한국산업융합학회 논문집
    • /
    • 제4권3호
    • /
    • pp.319-327
    • /
    • 2001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effect of thermal radiation environments on human thermal comfort, depending on different canyon types and surface materials on the human thermal comfort in a housing complex in Pohang city, Korea. For this purpose, the operative temperature and new effective temperature were calculated based on the modified mean radiant temperature of canyon models variated by the existence of direct radiation existence, surface materials, and the width and length of the street spaces in a housing complex. These indices for the canyon have been calculated from the meteorological data of Pohang city, which include air temperature, relative humidity, air velocity, global solar radiation and cloud. And the monthly averages of these climate factors measured at noon have been us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It is revealed that the short-wave radiosity reached the human body is affected by direct solar radiation and surface materials, and the long-wave radiosity by canyon types. (2) The existence of direct solar radiation, the kinds of surface materials and canyon types affect operative temperature($OT_n$) and new effective temperature($ET^*{_n}$). (3) The analysis of the human heat balance in the canyon indicates that the influence of radiation on human body is marc likely to be affected by the existence of direct solar radiation on human model.

  • PDF

머신러닝을 이용한 3차원 도로객체의 분류 (Classification of 3D Road Objects Using Machine Learning)

  • 홍송표;김의명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36권6호
    • /
    • pp.535-544
    • /
    • 2018
  • 급변하는 주변상황이나 대형차량과 같은 큰 지형지물에 센서가 가려질 경우에는 센서만을 이용한 완전 자율주행에는 한계가 따른다. 이에 자율주행을 위해서 센서를 이용한 한계점을 극복할 수 있도록 정밀한 도로지도를 부가적으로 이용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는 국토지리정보원에서 제공하는 지상 MMS(Mobile Mapping System)로 취득된 3차원 점군자료를 이용하여 도로 객체를 분류하는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서 원본 3차원 점군자료를 전처리 하고, 지면과 비지면점을 분리하기 위한 필터링 기법을 선정하였다. 또한 차선, 가로등, 안전펜스 등에 해당하는 도로객체를 초기 분할한 후 분할된 객체를 머신러닝의 종류인 서포트 벡터 머신을 이용하여 학습시킨 후 분류하였다. 학습데이터는 분할된 도로객체에서 추출한 고유값을 이용한 기하학적 요소와 높이정보만을 사용하였으며 분류결과 전체정확도는 87%, 카파계수는 0.795로 나타났다. 향후 도로객체의 분류를 위하여 기하학적인 요소 뿐만 아니라 다양한 항목을 추가한다면 분류정확도가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빅데이터 텍스트 마이닝 분석을 활용한 아메카지 패션 트렌드 특징 고찰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Amekaji Fashion Trends Using Big Data Text Mining Analysis)

  • 김지형
    • 패션비즈니스
    • /
    • 제26권3호
    • /
    • pp.138-154
    • /
    • 202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domestic American casual fashion trends using big data text mining analysis. 108,524 posts and 2,038,999 extracted keywords from Naver and Daum related to American casual fashion in the past 5 years were collected and refined by the Textom program, and frequency analysis, word cloud, N-gram, centrality analysis, and CONCOR analysis were performed. The frequency analysis, 'vintage', 'style', 'daily look', 'coordination', 'workwear', 'men's wear' appeared as the main keywords. The main nationality of the representative brands was Japanese, followed by American, Korean, and others. As a result of the CONCOR analysis, four clusters were derived: "general American casual trend", "vintage taste", "direct sales mania", and "American styling". This study results showed that Japanese American casual clothes are influenced by American casual clothes, and American casual fashion in Korea, which has been reinterpreted, is completed with various coordination and creative styles such as workwear, street, military, classic, etc., focusing on items and brands. Looks were worn and shared on social networks, and the existence of an active consumer group and market potential to obtain genuine products, ranging from second-hand transactions for limited edition vintages to individual transactions were also confirmed.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it presented the characteristics of American casual fashion trends academically based on online text data that the public actually uses because it has been spread by the publi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