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loud Base Station

검색결과 21건 처리시간 0.029초

클라우드 기지국에서의 조정 다중점 송수신 운용 방법 (The Operation Method of Coordinated Multi-point Transmission/Reception in Cloud Base Station)

  • 박순기;신연승;송평중;김대영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8B권10호
    • /
    • pp.775-784
    • /
    • 2013
  • 이동통신 사업자들은 자신의 망 총소유비용을 줄이면서 데이터 폭증에 대처하기 위한 다양한 기술적인 대책 들을 강구하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그러한 기술적인 대책의 하나로써 클라우드 기지국이란 새로운 기지국 구조에서 조정 다중점 송수신 운용에 따른 시스템 용량 및 이동성 성능에 관련된 모의실험 결과를 도출한다. 그 결과는 조정 다중점 송수신이 적용되는 클라우드 기지국의 규모 및 적용 영역에 따라 시스템 용량 및 이동성 성능도 개선될 수 있다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으며 이러한 상호 인과 관계들은 실제 이동통신 사업자의 망 운용에 있어서 하나의 실용적 지침을 제공할 수 있다.

클라우드 서버 기반 IoT를 이용한 무선기지국 원격 감시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Wireless Base Station Remote Monitoring System Using IoT Based on Cloud Server)

  • 이양원;김철원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2권6호
    • /
    • pp.849-854
    • /
    • 2018
  • 넓은 지역에 광범위하게 분포되어 있는 통신용 무선기지국은 관리에 많은 어려움이 있다. 특히 산간 오지에 있는 무인 통신무선 기지국은 위급한 상황 발생시에 접근에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대형 통신회사들은 송수신 정보만 원격으로 관리하고 있고 실제 시설 유지를 책임지고 있는 지역 중소기업 협력업체들은 이러한 기술을 보유하고 있지 않아서 일일이 현장 방문을 통하여 확인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넓은 범위에 산재해 있는 무선기지국내의 온도, 습도, 화염 발생여부, 전원 동작 여부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하여 클라우드 서버에 보내 사무실에서 실시간 모니터링을 통하여 관리하며 위급시 경고 메시지 전송 등이 수행이 가능한 시스템을 클라우드 서버 구축을 통하여 IoT 센서 기술을 이용하여 구현한 내용을 제시하고자 한다.

Combined Microwave Radiometer and Micro Rain Radar for Analysis of Cloud Liquid Water

  • Yang, Ha-Young;Chang, Ki-Ho;Kang, Seong-Tae
    • 통합자연과학논문집
    • /
    • 제6권1호
    • /
    • pp.12-15
    • /
    • 2013
  • To combine the micro rain radar and microwave radiometer cloud liquid water, we estimate the cloud physical thickness from the difference between the MTSAT-1R cloud top height and cloud base height of visual observation of Daegwallyeong weather station, and the cloud liquid water path of micro rain radar is obtained by multiplying the liquid water content of micro rain radar and the estimated cloud physical thickness. The trend of microwave radiometer liquid water path agrees with that of the micro rain radar during small precipitation. We study these characteristics of micro rain radar and microwave radiometer for small precipitation to obtain the combined cloud water content of micro rain radar and microwave radiometer, constantly operated regardless to the rainfall.

Cloud Radio Access Network: Virtualizing Wireless Access for Dense Heterogeneous Systems

  • Simeone, Osvaldo;Maeder, Andreas;Peng, Mugen;Sahin, Onur;Yu, Wei
    • Journal of Communications and Networks
    • /
    • 제18권2호
    • /
    • pp.135-149
    • /
    • 2016
  • Cloud radio access network (C-RAN) refers to the virtualization of base station functionalities by means of cloud computing. This results in a novel cellular architecture in which low-cost wireless access points, known as radio units or remote radio heads, are centrally managed by a reconfigurable centralized "cloud", or central, unit. C-RAN allows operators to reduce the capital and operating expenses needed to deploy and maintain dense heterogeneous networks. This critical advantage, along with spectral efficiency, statistical multiplexing and load balancing gains, make C-RAN well positioned to be one of the key technologies in the development of 5G systems. In this paper, a succinct overview is presented regarding the state of the art on the research on C-RAN with emphasis on fronthaul compression, baseband processing, medium access control, resource allocation, system-level considerations and standardization efforts.

Massive MIMO를 위한 기지국 가상화기반의 클라우드 구성 방식 (A Base Station Virtualization Based Cloud Approach for Massive MIMO)

  • 진이;조인휘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4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160-162
    • /
    • 2014
  • 네트워크 급속발전 때문에 기지국 용량이 부족하다는 문제가 커지고 있다. 일반 기지국은 기지국에서 신호처리를 하지만 클라우드 기지국은 신호를 전부 클라우드 컴퓨팅 플랫폼(Cloud Computing Platform)에 전송해서 집중처리한다. 이러한 기술을 통해 에너지 절약과 원가 절약하고 컴퓨팅의 효율을 최대화한다.

Before/After Precoding Massive MIMO Systems for Cloud Radio Access Networks

  • Park, Sangkyu;Chae, Chan-Byoung;Bahk, Saewoong
    • Journal of Communications and Networks
    • /
    • 제15권4호
    • /
    • pp.398-406
    • /
    • 2013
  • In this paper, we investigate two types of in-phase and quadrature-phase (IQ) data transfer methods for cloud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MIMO) network operation. They are termed "after-precoding" and "before-precoding". We formulate a cloud massive MIMO operation problem that aims at selecting the best IQ data transfer method and transmission strategy (beamforming technique, the number of concurrently receiving users, the number of used antennas for transmission) to maximize the ergodic sum-rate under a limited capacity of the digital unit-radio unit link. Based on our proposed solution, the optimal numbers of users and antennas are simultaneously chosen. Numerical results confirm that the sum-rate gain is greater when adaptive "after/before-precoding" method is available than when only conventional "after-precoding" IQ-data transfer is available.

클라우드 서버 기반 IoT를 이용한 무선기지국 원격 감시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Wireless Base Station Re4mote Monitoring System Using IoT Based on Cloud Server)

  • 이양원;김철원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8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491-494
    • /
    • 2018
  • 넓은 지역에 광범위하게 분포되어 있는 통신용 무선기지국은 관리에 많은 어려움이 있다. 특히 산간 오지에 있는 무인 통신무선 기지국은 위급한 상황 발생시에 접근에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대형 통신회사들은 송수신 정보만 원격으로 관리하고 있고 실제 시설 유지를 책임지고 있는 지역 중소기업 협력업체들은 이러한 기술을 보유하고 있지 않아서 일일이 현장 방문을 통하여 확인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넓은 범위에 산재해 있는 무선기지국내의 온도, 습도, 화염 발생여부, 전원 동작 여부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여 클라우드 서버에 보내 사무실에서 실시간 모니터링을 통하여 관리 및 위급시 경고 메시지 전송 등이 수행이 가능한 시스템을 클라우스 서버 구축을 통하여 IoT 센서 기술을 이용하여 구현한 내용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지점 호우 모형의 매개상수 동정의 관한 기초 연구 (The Fundamental Study on the Parameter Identification of Station Storm Model)

  • 이재형;전일권;조대현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12권2호
    • /
    • pp.123-130
    • /
    • 1992
  • Geogakakos와 Bras의 일차원 지점 강수량 모형이 전주지점 호우모형으로 적합한지를 검토하였다. 구름 물리학을 토대로 한 이 모형의 기본변수는 운정의 압력, 평균 상승 기류 속도, 운저의 평균 운적직경의 역수값 등인데, 입력변수에 의하여 매개상수화 된다. 매개상수는 Hooke와 Jeeves의 직접 탐색 알고리즘에 의하여 평가되었다. 그 결과 계산 강우량과 실측 강우량과의 평균 자승 오차를 최소화 하는데 평균 상승 기류 속도와 운저 운적직경에 관계된 매개상수가 크게 기여하였다. 이러한 수치실험에서, 계산 총강우량과 실측 총강우량의 편차는 크지 않았으나 시간분포는 상당한 차이를 보였다.

  • PDF

그래픽 처리장치 기반 클라우드 컴퓨팅의 셀룰러 네트워크 응용 (Applying the Graphic Processing Unit Based Cloud Computing in Cellular Network)

  • 김준;최승원
    • 디지털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8권3호
    • /
    • pp.75-85
    • /
    • 2012
  • In general, cellular network is deployed as distributed network architecture, so network equipment is spread out all over the coverage area. This case causes high cost. Recently, centralized network architecture has been deployable at cellular network since base station was able to be virtualized due to advance in computing power. The centralized network architecture in cellular network adjusts its cell radius dynamically and minimizes power consumption of the network. This paper introduces a new centralized deployment way of cellular network using SDR and cloud computing technology. Then, advantage and feasibility of the new network will be reviewed by implementing this novel network.

이종 셀룰러 네트워크 환경에서 사용자 이동성을 고려한 엣지 캐싱 기법 (Edge Caching Strategy with User Mobility in Heterogeneous Cellular Network Environments)

  • 최윤정;임유진
    • 정보처리학회논문지:컴퓨터 및 통신 시스템
    • /
    • 제11권2호
    • /
    • pp.43-50
    • /
    • 2022
  • 모바일 데이터의 사용이 늘어나면서 특히 비디오 콘텐츠가 차지하는 비중이 가파르게 증가하고 있다. 모바일 사용자가 지리적으로 원거리에 위치한 클라우드 서버를 통해 데이터를 전달받으면서 발생하는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사용자와 지리적으로 가까운 엣지 서버에 미리 데이터를 캐싱하는 방법이 많은 주목을 받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셀룰러 네트워크 환경에서 지연 오프로딩 스킴(delayed offloading scheme)을 적용해 모바일 사용자에게 효과적으로 콘텐츠 파일을 제공하기 위한 SBS 캐싱 기법을 제안하였다. 지연 오프로딩 스킴에서 Macro Base Station(MBS)보다 Small Cell Base Station(SBS)으로부터 데이터를 다운받는 경우 더 적은 비용을 요구하기 때문에 MBS로부터 전송받는 데이터 크기를 최소화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모바일 사용자의 이동 경로 확률과 콘텐츠 파일의 인기도를 사용해 SBS에 캐싱할 콘텐츠 파일과 그 크기를 결정하고 SBS의 서비스 범위가 중복되는 것을 고려해 콘텐츠 파일을 재배치하는 캐싱 기법을 제안하였다. 또한 실험을 통해 다른 알고리즘보다 MBS로부터 다운받는 데이터 크기를 줄일 수 있다는 것을 증명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