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lithon retropictus (Martens, 1879)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5초

The Occurrence of Clithon retropictus (von Martens in Kobelt, 1879, Gastropoda: Neritidae) in Jeju Island, Republic of Korea

  • Noseworthy, Ronald G.;Mondol, Mostafizur Rahman;Ju, Se-Jong;Choi, Kwang-Sik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81-90
    • /
    • 2012
  • The neritid species Clithon retropictus inhabits rivers and estuaries along the southern coast of the Korean mainland but has not been previously reported from Jeju Island. In 2007 and 2011 specimens of this species were obtained from two separate localities on the south coast of the island. Comparisons were made with von Martens' original description, specimens from the Korean mainland, and illustrations and descriptions in the literature. Although there were some differences in color and markings, and slight differences in morphology, the specimens from Jeju Island compare well with those from the mainland and in the literature. The shells of this species become more ovate and more eroded with age. In one locality, a small river, specimens of the pleurocerid Semisulcospira libertina (Gould, 1859), were found adjacent to, and coexisting with, a population of C. retropictus, an association that often occurs. The occurrence of Clithon retropictus represents a range extension to Jeju Island.

한국산 기수갈고둥의 분포 및 생태에 관한 연구 (Studies on Distribution and Ecology of Clithon retropictus (Martens, 1879) in South Korea)

  • 한승필;황인철;권순직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317-326
    • /
    • 2021
  • 본 연구는 환경부에서 지정하여 보호받고 있는 멸종위기야생생물 II급인 기수갈고둥(Clihton retropictus (Martens, 1879))의 분포 및 생태를 파악하고, 종과 서식지에 대하여 효과적인 보전과 관리방안을 제시하고자 진행하였다. 먼저 기수갈고둥의 분포를 전국적으로 조사하였고, 본 종의 생태적 특성을 고려하여 염분도 및 하상재료 등 환경요인을 분석하였다. 또한, 조사구별 기수갈고둥의 개체크기, 밀도, 이동을 분석하였다. 기수역 일대에서 서식하는 본 종의 특성상 염분도 분석 결과, 간조 시 0.7 ~ 16.6‰, 만조 시 1.0 ~ 17.3‰로 분석되었다. 하상재료 분석결과, 조사대상 하천별 하상재료의 구성에는 다소 차이가 존재하나 대부분 자갈(Pebble, 16 ~ 64 mm) 이상의 구성비가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한편, 개체크기는 각경의 길이를 측정하였고, 기수갈고둥이 서식하는 범위가 짧은 경우, 개체크기는 거의 변화가 없었으나, 서식범위가 길수록 개체크기가 켜지는 경향을 보였다. 개체밀도는 계절별로 측정하였으며, 하계(7월~8월) 및 추계조사(9월~10월) 시 상대적으로 높은 밀도로 확인되었고, 수온이 저하되는 동계(11월~12월)로 갈수록 개체수는 현저히 감소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보전 및 관리방안을 효과적으로 수립하기 위하여 이동거리를 측정하였고, 활동기인 하계 및 추계조사 시 동계조사 시보다 많은 거리를 이동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활용하여 기수갈고둥의 서식지 조성, 불가피한 개발행위에 의한 이주사업 및 이주대상지 선정 등 효과적인 관리방안을 수립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되길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