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linical Document Architecture

검색결과 16건 처리시간 0.054초

HL7 임상문서구조의 기반 한 간호과정을 위한 간호기록지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Nursing Records for the Nursing Process for Use Within the Health Level 7 Clinical Document Architecture)

  • 김화선;트란퉁;김형회;이은주;조훈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9권8호
    • /
    • pp.1054-1066
    • /
    • 2006
  • 본 연구는 의료기관 간 정보공유를 위해 간호분류체계를 기반으로 임상문서구조(Clinical Document Architecture, CDA)의 생성과 새로운 패러다임의 병원정보시스템을 제안하였다. 간호정보 CDA는 간호진단, 간호중재 및 수행과 관련된 코딩시스템을 포함하였고 표준문서의 생성을 위해 CDA생성도구를 개발하였다. 본 연구의 목표는 개인의 필요한 간호정보를 간호전문가에게 실시간으로 제공하여 적정 간호를 제공하며 건강 증진을 도와 생산적인 삶의 질을 향상하는 것이다. 본 연구가 가지는 의의는 첫째, 국제 표준인 HL7 임상문서구조를 사용하기 위한 확장과 정제과정의 연구를 했으며, 둘째, 임상문서구조를 사용할 수 있는 웹 기반의 차세대 병원정보시스템의 구조를 제안하였다. 결론적으로, 임상문서구조에 대한 본 연구로 말미암아 평생전자의무기록(Electronic Health Record)과 임상데이터저장소(Clinical Data Repository)를 포함하여 다양한 보건의료기관 간 간호정보 공유의 기반이 될 것이다.

  • PDF

HL7 표준임상문서구조를 사용한 전자퇴원요약의 생성, 저장, 관리 시스템 (Generation, Storing and Management System for Electronic Discharge Summaries Using HL7 Clinical Document Architecture)

  • 김화선;김일곤;조훈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데이타베이스
    • /
    • 제33권2호
    • /
    • pp.239-249
    • /
    • 2006
  • 병원정보시스템(Hospital Information System)은 다른 병원정보시스템과 서로 독립적으로 운영되므로 상호운영성(Interoperability)이 배제되어 왔다. 이 연구는 HL7 표준임상문서구조(Health Level 7, Clinical Document Architecture)와 XML 스키마의 분석과 설계를 통하여 새로운 패러다임의 병원정보시스템을 제안한다. 퇴원요약지로부터 필수 항목을 규정하여 템플릿을 정의한 후 임상문서구조를 설계하여 자동적으로 임상문서를 생성되도록 하였다. XML 스키마는 HL7에서 정의한 참조정보모델(Reference Information Model)을 기반으로 분석하였고, 전송 프로토콜은 HL7 V2.4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가 가지는 의의는 첫째, 국제 표준인 HL7 표준임상문서구조를 사용하기 위한 확장과 정제과정의 연구를 했으며, 둘째, 표준임상문서구조를 사용할 수 있는 웹 기반의 차세대 병원정보시스템의 구조를 제안하였다. 결론적으로, 한국의 퇴원요약 표준임상문서구조에 대한 본 연구로 말미암아 평생전자의무기록(Electronic Health Record)과 임상데이타저장소(Clinical Data Repository)를 포함하여 다양한 보건의료기관 간 의료정보 공유의 기반이 될 것이다.

HL7 버전 3 기반의 투약관리시스템을 위한 임상문서구조의 생성 (Health Level 7 Version 3 based Generating Clinical Document Architecture for Medication Administration System)

  • 김근희;조수미;이은주;김화선;조훈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1권3호
    • /
    • pp.386-397
    • /
    • 2008
  • 본 연구는 HL7 버전 3의 객체지향 분석 및 개발 방법론인 HL7 개발 프레임워크(HDF)를 이용하여 투약관리의 임상문서구조의 개발을 통해 임상활동의 표준화 데이터 모델을 구현하는 것을 제안한다. 투약관리는 의료현장에서 임상전문가가 행하는 가장 중요한 업무이다. 표준화 된 데이터 모델 및 구조화된 병원정보시스템은 근거기반 임상 활동을 이루기 위해 상당히 중요한 과제이다. 임상문서구조를 생성하기 위해서 HDF와 제공된 도구들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자들은 투약관리활동에서 HDF의 각 단계의 다이어그램을 생성할 수 있었다. 그 결과, 임상 활동 중 하나인 투약관리에 대한 표준화 정보모델을 생성하였다. 이 모델은 보건의료정보시스템을 모델링하기 위한 정보통신개발자들에게 국제 표준방법론을 이해하기 위한 기본적 개념모델이 될 것이다.

  • PDF

익명화 방법을 적용한 임상진료문서 등록 기법 연구 (A New Method of Registering the XML-based Clinical Document Architecture Supporting Pseudonymization in Clinical Document Registry Framework)

  • 김일광;이재영;김일곤;곽연식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및응용
    • /
    • 제34권10호
    • /
    • pp.918-928
    • /
    • 2007
  • 진료기관 사이뿐 아니라 국가 경계를 넘어선 환자진료 정보 교류에 대한 요구사항이 세계적으로 증가되고 있으며 이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임상진료문서 등록 저장소에서의 임상진료문서 등록, 조회 방법에 관한 두 가지 기법을 제안한다. 그 첫 번째는, 임상진료문서 관련부속파일에 대한 참조와 처리를 위해 적하목록(Manifest)을 구성하고 사용을 제안하는 것이다. 두 번째는 한층 강화된 임상진료문서 보안전략을 통해 환자 익명성을 제공할 수 있는 방법이다. 전자는 네트워크 장애와 같은 외부요인에도 임상진료문서 관련 부속자료에 대한 로컬 참조를 가능케 하여 끊김 없는 뷰(view)를 구성할 수 있게 한다. 후자는 환자의 신상정보를 담은 임상진료문서 헤더와 진단과 처치 정보를 담은 임상진료문서 바디가 지리적으로 분산된 하나 이상의 저장소에 분리 저장되기 때문에 어느 하나의 저장소가 공격 당하더라도 공격자는 환자의 단편적인 정보만 획득하게 된다. 이는, 결국 환자의 신상정보와 병력정보를 단절시킴으로써 사생활침해의 소지를 줄이고 개인정보보호 효과를 가져올 수 있게 한다.

임상 정보교환을 위한 HL7-CDA 기반의 전자의무기록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Electronic Medical Record System Based on HL7-CDA for the Exchange of Clinical Information)

  • 조익성;권혁숭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3권5B호
    • /
    • pp.379-385
    • /
    • 2008
  • 임상문서는 의료기관간의 정보의 공유 및 교환을 위해 HL7-CDA와 같은 표준 프로토콜로 구축되어야 한다. 하지만 전자의무기록과 같이 텍스트와 이미지 정보를 포함한 임상문서는 의료기관마다 그 구조 및 표현 형태가 상이하여 정보를 교환하고자 할 때에 상당한 어려움이 초래된다. 따라서 의료기관간 효율적인 임상정보 교환을 위해 전자의무기록은 생성 및 관리가 쉽고 통일된 형태의 문서구조를 가져야 할 뿐 아니라 문서의 참조 및 교환 시간을 최소화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의료기관간의 임상정보 교환을 위해 경과기록지의 필수 항목을 규정하여 템플릿을 정의한 후 스키마를 설계함으로써, 정보를 공유하고자 하는 외부기관과의 자료 교환 및 관리가 가능한 HL7-CDA 기반 전자의무기록 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안된 시스템은 다양한 혼합요소를 가진 전자의무기록 서식을 base64 인코딩으로 변환, XML 문서 안에 통합함으로써 의료기관간 문서의 참조나 교환시 통합과정이나 파싱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

임상문서표준규격내 검사실 용어의 LOINC 매핑을 위한 LMOF 전처리 도구 (The LMOF Preprocessing Tool for Mapping Laboratory Vocabulary to LOINC in Clinical Document Architecture)

  • 도형호;김일곤;이성기;곽연식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시스템및이론
    • /
    • 제35권4호
    • /
    • pp.158-165
    • /
    • 2008
  • LOINC(Logical Observation Identifiers Names and Codes)는 Regenstrief Institute에서 제공하는 병원 검사 명칭 및 임상용어를 위한 표준체계이다. 평생전자건강진료정보에서 검사결과의 교류는 매우 중요한 영역 중 하나이며, 이를 위해서는 현재 각 병원의 표준화되지 않은 검사 명칭을 표준화하는 일이 시급하다. 본 논문에서는 병원의 로컬데이타베이스를 Regenstrief에서 제공하는 LOINC 검색 매핑도구인 RELMA(Regenstrief LOINC Mapping Assistant)가 요구하는 LMOF(Local Master Observation File) 포맷으로 미리 전처리 해주는 도구를 개발함으로써, LOINC 매핑작업을 보다 효율적으로 할 수 있는 해결책을 제시한다. 제안한 도구를 이용하여 로컬데이타베이스를 전처리 한 후 RELMA로 검색하였을 때, 인터페이스 측면에서 기존 전처리하지 않고 RELMA를 사용한 방법에 비해서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되었고 검색되는 키워드가 15% 감소하는 검색의 효율성을 가져올 수 있었다.

FHIR 기반 개인건강기록 프로파일링 시스템 개발방법 (PHR Profiling System Based on FHIR)

  • 김영식;김일곤
    • 정보처리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 및 데이터공학
    • /
    • 제4권7호
    • /
    • pp.277-282
    • /
    • 2015
  • 건강정보의 교환, 통합, 공유, 검색의 표준을 개발하는 Health Level Seven(HL7)에서 발표된 표준들은 글로벌한 의료정보 서비스에 성공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V2.x Message와 V3 Clinical Document Architecture(CDA)는 습득하고 개발하는 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개선된 Fast Healthcare Interoperability Resources(FHIR)를 사용함으로써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인지 모색한다. 개인건강기록이 사회적인 관심을 끌고 있고, 스마트폰 보급률이 급격히 증가하는 점을 반영하여 스마트폰으로 접속 가능한 개인건강기록 프로파일링 시스템을 개발한다. Furore에서 개발한 FHIR Profile editor tools을 통해 profile의 생성, 변경의 개선점을 찾아본다. 이와 같은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서 Electronic Medical Record(EMR) 시스템과 Personal Healthcare Record(PHR) 시스템 간의 정보교류를 FHIR Open API로 구성한다. PHR 프로파일링 시스템에서는 이들 트랜잭션을 RESTful 서비스로 제공한다. 본 연구에서는 FHIR를 통해 PHR 프로파일링 시스템 개발의 효율성을 검증한다.

Key Image를 포함한 방사선과 판독결과지 표준전송시스템 개발 (Developing Standard Transmission System for Radiology Reporting Including Key Images)

  • 김선칠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30권1호
    • /
    • pp.47-51
    • /
    • 2007
  • 의료정보의 전달과정과 저장은 공유를 목적으로 함으로써 기본적인 표준안을 지니고 있어야 한다. 현재 방사선과 판독결과와 관련하여 DICOM SR이 제시되고 있으나, 이를 현실적으로 적용하기가 어려운 것이 사실이다. 무엇보다도 현재 개인평생전자의무기록 관리체계를 구축하려는 시스템에서 표준으로 내세우는 CDA형태의 판독결과지를 필요로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방사선과 판독결과지를 PACS내에서 자동으로 CDA로 생성하는 Module을 개발하고 이를 적용시켰으며, 이 결과지 안에는 검사결과뿐만 아니라, 판독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Key Image를 내포하여 파일형태로 전송 저장하게 하였다. 상호 이질적인 시스템이라 할지라도 정보의 분석과 저장이 용이하게 구현하여 적용시켰으며, 고가의 의료장비가 부족한 지역과 대형, 3차 진료기관과의 방사선과 결과 정보의 공유를 통해 의료서비스를 개선시키는데 역할을 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FIPA-OS를 사용한 지능형 CCOW 서비스 (Agent based CCOW Service Using FIPA-OS)

  • 송준현;김일곤;조훈;곽연식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3년도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Vol.30 No.2 (2)
    • /
    • pp.760-762
    • /
    • 2003
  • HL7(Health Level 7)은 보건의료 분야에서 ANSI에서 승인한 SDO(Standards Developing Organization)들 중의 하나이다. 대부분의 SDO들은 약제. 의료 장비 이미지, 보험 처리 등과 같은 보건의료 분야에서의 표준을 만든다. HL7의 영역은 진료와 병원 행정적인 부분이다. HL7에서는 Version2.3, Version2.4, Version3.0 등을 포함해 Data Model. Arden Syntax, CCOW(Common Context Object Workgroup) CDA(Clinical Document Architecture) 등의 표준을 만들어 나간다. 본 논문에서는 이 표준들 중 CCOW에 대해 알아보고. 기존 Agent System에 좀 더 지능적이고 자율적인 CCOW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안을 알아본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