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limatic factors

검색결과 426건 처리시간 0.026초

환경부하 저감을 위한 기후순응주거 사례연구 (A Case Study on the Acclimatization's Housing for Environmental Load Reduction)

  • 조성우;오세규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24권6호
    • /
    • pp.69-79
    • /
    • 2013
  • The concept of sustainable development to preserve natural environment through economy in resources and energy is gradually distinguished since environmental problems as a series of air pollution and global warming take place now. Building occupies more than 1/3 of energy consumption in the whole world. Energy consumption of buildings caused a quick increase in the amount of energy use by air conditioning, which has a lot of effects on exhaustion of fossil energy as well as an increase in environmental load. Therefore, this research intends to suggest characteristics and direction for the designing of acclimatization's housing through the case study on acclimatization's housing. Acclimatization's housing is designed to reduce building load from the designing stage unlike green home or low-energy apartment. Also, factors which are commonly applied to acclimatization's housing are applied complexly by design strategic factors of Heating, Cooling and Lighting. The applied design factors make effects mutually and complexly. In addition, design strategy showed different priority by designing direction.

Oxalate Accumulation in Forage Plants: Some Agronomic, Climatic and Genetic Aspects

  • Rahman, M.M.;Kawamura, O.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4권3호
    • /
    • pp.439-448
    • /
    • 2011
  • Oxalic acid is synthesized by a wide range of plants. A few of them are forage plants that can cause oxalate poisoning in ruminants under certain conditions. In this paper, the role of some agronomic, climatic and genetic factors in minimizing oxalate accumulation in forage plants has been discussed. Research indicates that the content of oxalate in forage can be controlled by fertilizer application. For example, nitrate application resulted in higher contents of soluble and insoluble oxalates than ammonium application. With an increased rate of potassium application, soluble oxalate content showed an increasing trend and insoluble oxalate content showed a decreasing trend. With an increased rate of calcium application, soluble oxalate content showed a decreasing trend and insoluble oxalate content showed a reverse trend. Other agronomic factors such as growing season, harvesting practices, plant maturity, plant species, plant variety and plant parts can also have a large effect on oxalate accumulation. However, the potential benefits of the above approaches for improving forage quality have not been fully exploited. In addition, there is still insufficient information to fully utilize means (e.g. plant nutrients, season and soil moisture) to minimize oxalate accumulation in forage plants. Therefore, more research is required for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interactions between oxalate and the above-mentioned factors in forage plants.

지형적 특성을 고려한 우리나라의 농업기후지대 구분 (Classification of Agroclimatic Zones Considering the Topography Characteristics in South Korea)

  • 김용석;심교문;정명표;최인태;강기경
    • 한국기후변화학회지
    • /
    • 제7권4호
    • /
    • pp.507-512
    • /
    • 2016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lassify agroclimatic zones in South Korea. To classify the agroclimatic zones, such climatic factors as amount of rainfall from April to May, amount of rainfall in October, monthly average air temperature in January, monthly average air temperature from April to May, monthly average air temperature from April to September, monthly average air temperature from December to March, monthly minimum air temperature in January, monthly minimum air temperature from April to May, Warmth Index were considered as major influencing factors on the crop growth. Climatic factors were computed from monthly air temperature and precipitation of climatological normal year (1981~2010) at 1 km grid cell estimated from a geospatial climate interpolation method. The agroclimatic zones using k-means cluster analysis method were classified into 6 zones.

Human Mastadenovirus Infections and Meteorological Factors in Cheonan, Korea

  • Oh, Eun Ju;Park, Joowon;Kim, Jae Kyung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9권2호
    • /
    • pp.249-254
    • /
    • 2021
  • The study of the impact of weather on viral respiratory infections enables the assignment of causality to disease outbreaks caused by climatic factors.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seasonal distribution of viruses may facilitate the development of potential treatment approaches and effective preventive strategies for respiratory viral infections. We analyzed the incidence of human mastadenovirus infection using real-time reverse transcription polymerase chain reaction in 9,010 test samples obtained from Cheonan, South Korea, and simultaneously collected the weather data from January 1, 2012, to December 31, 2018. We used the data collected on the infection frequency to detect seasonal patterns of human mastadenovirus prevalence, which were directly compared with local weather data obtained over the same period.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frequency analysis, t-test, and binomi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weather, particulate matter, and human mastadenovirus infections. Patients under 10 years of age showed the highest mastadenovirus infection rates (89.78%) at an average monthly temperature of 18.2℃. Moreover, we observed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human mastadenovirus infection and temperature, wind chill, and air pressure. The obtained results indicate that climatic factors affect the rate of human mastadenovirus infection. Therefore, it may be possible to predict the instance when preventive strategies would yield the most effective results.

29개(個) 지역(地域)의 10년간(年間) 송이발생림(發生林)의 기상인자(氣象因子)와 송이발생량(發生量)과의 상관관계(相關關係) (A Relationship between Climatic Factors and Matsutake Productions in 29 Sites During a 10-Year Period in Korea)

  • 조덕현;이경준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4권3호
    • /
    • pp.277-285
    • /
    • 1995
  • 본(本) 연구(硏究)는 송이 산지(産地) 기상인자(氣象因子)와 송이 생산량(生産量)과의 상관관계(相關關係)를 구명(究明)하기 위하여 실시(實施)하였다. 전국(全國) 47개(個) 임업협동조합(林業協同組合)을 통(通)하여 1984년(年)부터 1993년(年)까지 지역별(地域別) 송이 생산량(生産量)을 조사(調査)하였다. 그 중에서 자료(資料)가 충실(充實)한 29개(個) 지역(地域)을 대상(對象)으로 하여, 월별(月別) 최고기온(最高氣溫), 최저기온(最低氣溫), 평균기온(平均氣溫), 토양온도(土壤溫度), 상대습도(相對濕度), 강수량(降水量), 강수일수(降水日數)의 7가지 월별(月別) 기상조건(氣象條件)과 연간(年間) 송이 생산량(生産量)과의 관계(關係)를 stepwise regression과 다중회귀분석(多重回歸分析)을 통하여 구명(究明)하였다. 월별(月別) 기상인자(氣象因子) 지역별(地域別) 송이 생산량(生産量)과의 상관계수(相關係數)는 i)10년간(年間)의 관측치(觀測値)를 가지고 지역별(地域別)로 구하는 경우, ii)29개(個) 지역(地域)의 관측치(觀測値)를 가지고 연도별(年度別)로 구하는 경우, iii)10년간(年間) 27개(個) 지역에서 270개(個) 관측치(觀測値)를 가지고 월별(月別)로 구하는 경우는 세 가지로 나누에 추정(推定)하였다. i)의 지역별(地域別) 분석(分析)에서는 9월(月)의 강수일수(降水日數)와 9월(月) 최저기온(最低氣溫)이 송이 생산량(生産量)과 정(正)의 상관(相關)을 나타냈다. ii)의 연도별(年度別) 분석(分析)에서는 6월(月)의 최고(最高), 최저(最低), 평균기온(平均氣溫)이 송이 생산(生産)과 부(負)의 상관관계(相關關係)를 보였다. iii)의 월별(月別) 분석(分析)에서는 9월(月)과 10월(月)의 강수량(降水量), 9월(月)의 강수일수(降水日數), 9월(月)과 10월(月)의 최저기온(最低氣溫)이 정(正)의 상관(相關)을 나태낸 반면, 6월(月)의 평균기온(平均氣溫)과는 부(負)의 상관(相關)을 보여주었다. 결과적(結果的)으로 볼 때, 송이 생산량(生産量)은 9월(月)중에 강수일수(降水日數)가 증가(增加)할수록, 그리고 9월(月)과 10월(月)에 강수량(降水量)이 증가(增加)할수록 늘어나며, 6월(月)과 7월(月) 최고(最高), 최저기온(最低氣溫)이 낮을 경우에 송이 생산(生産)에 유리(有利)하다고 할 수 있다.

  • PDF

주요기상인자(主要氣象因子)가 벼의 질소시비량(窒素施肥量)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 of Major Climatic Factors on Optimum Level of N-Fertilizer in Paddy Rice Soil)

  • 이춘수;곽한강;황기성;박준규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17-22
    • /
    • 1987
  • 1971~'79년(年) 사이 7개년간(個年間) 다수계(多收系)와 일반계(一般系) 벼품종(品種)을 공시(供試)하여 실시(實施)한 질소(窒素) 시비량성적(施肥量成績)과 벼생육기간(生育期間)의 주요기상요인(主要氣象要因)인 일조시간(日照時間), 강수량(降水量), 평균기온(平均氣溫) 및 상대(相對) 습도(濕度)와의 관계(關係)를 검토(檢討)한 결과(結果), 이를 요약(要約) 하면 다음과 같다. 1. 년차간(年次間) 질소시비량(窒素施肥量)의 변이계수(變異係數)는 다수계(多收系) 품종(品種) 19.1%, 일반계품종(一般系品種) 21.9% 이었으며 질소적량구(窒素適量區) 수량(收量)의 변이계수(變異係數)는 다수계품종(多收系品種) 7.0%, 일반계품종(一般系品種) 9.9% 이었다. 2. 질소(窒素)는 기상호적년도(氣象好適年度)의 경우 평균시비량(平均施肥量)(다수계품종(多收系品種)) 18.8kg/10a, 일반계품종(一般系品種) 15.6kg/10a)에 비(比)하여 17~23% 증비(增肥)하고, 기상불량(氣象不良)인 년도(年度)는 14~17% 감량시용(減量施用)이 합리적(合理的) 이었다. 3. 질소시비량(窒素施肥量)과 주요기상요인(主要氣象要因)과의 관계(關係)에서 일조시간(日照時間)(7~9월(月))과는 유의(有意)한 정상관(正相關), 강수량(降水量)(7~9(月)) 및 상대습도(相對濕度)(8~9월(月))와는 유의(有意)한 부(負)의 상관(相關)을 보였으나 평균온도(平均溫度)와는 뚜렷한 관계(關係)가 없었다.

  • PDF

브라질 마토그로소 지역의 농업기후지대 구분 (Classification of Agro-Climatic Zones of the State of Mato Grosso in Brazil)

  • 정명표;박혜진;허지나;심교문;김용석;강기경;안중배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34-37
    • /
    • 2019
  • BACKGROUND: A region can be divided into agroclimatic zones based on homogeneity in weather variables that have greatest influence on crop growth and yield. The agro-climatic zone has been used to identify yield variability and limiting factors for crop growth.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lassify agro-climatic zones in the state of Mato Grosso in Brazil for predicting crop productivity and assessing crop suitability etc. METHODS AND RESULTS: For agro-climatic zonation, monthly mean temperature, precipitation, and solar radiation data from Global Modeling and Assimilation Office (GMAO) of National Aeronautics and Space Administration (NASA, USA) between 1980 and 2010 were collected. Altitude and vegetation fraction of Brazil from Weather Research and Forecasting (WRF) were also used to classify them. The criteria of agro-climatic classification were temperature in the hottest month ($30^{\circ}C$), annual precipitation (600 mm and 1000 mm), and altitude (200 m and 500 m). The state of Mato Gross in Brazil was divided into 9 agro-climatic zones according to these criteria by using matrix classification method. CONCLUSION: The results could be useful as information for estimating agro-meteorological characteristics and predicting crop development and crop yield in the state of Mato Grosso in Brazil.

국지기후가 잣나무 성숙임분의 생식생장에 미치는 영향분석 (Evaluation of Reproductive Growth in a Mature Stand of Korean Pine under Simulated Climatic Condition)

  • 김일현;신만용;김영채;전상근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3권4호
    • /
    • pp.185-198
    • /
    • 2001
  • 본 연구는 잣나무 성숙임분을 대상으로 임령별 국지 기후 조건을 지형기후학적 방법과 공간통계 기법에 의하여 추정하여 잣나무 임분의 연도별 생식생장에 미치는 국지기후의 영향을 구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지형-기후 관계식을 이용하여 연구 대상지의 평균기온, 최고기온, 최저기온, 상대습도, 강수량, 일조시수, 맑은 날수, 흐린 날수에 대하여 월별ㆍ기후치별 평년 값을 도출하고, 공간통계기법에 의하여 연도별ㆍ월별 기후치를 산출하였다. 또한 연구 대상지의 잣나무 임분에 대한 연도별 구과 및 종자 결실량, 낙과량, 형질 등 생식생장의 특성을 파악하였다. 이상의 자료에 근거하여 잣나무 성숙임분의 생식생장에 미치는 국지기후의 영향을 상관분석 및 회귀분석을 통하여 구명한 격과는 다음과 같다. 1년생 구과의 착과수는, 화아분화 연도의 6월과 7월의 평균 일 최저기온, 화아분화 연도의 6월과 7월의 총 강수량, 화아분화 연도 11월 부터 개화수분당년도 4월까지의 흐린 날수 합계와 높은 부의 상관이 인정되어, 화아분화 연도의 강수량이 적고 일조시간이 많으면 착과수도 많아지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2년생 구과의 결실량과 유의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낸 기후지수가 없었다. 다만 가장 상관계수가 높은 지수로는 결실전년(개화수분당년) 12월부터 결실년도 2월까지 3개월간의 겨울철 강수량이 정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낙과량에 영향을 미친 기후요소는 개화수분당년 6월부터 익년 8월까지 15개월 간의 흐린 날수 합계와 개화수분당년 11월부터 익년 3월까지 동계 5개월 간의 강수량이 상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낙과율에 있어서는 개화수분당년 6월부터 익년 8월까지 15개월간의 흐린날수 합계가 가장 영향을 많이 미치는 기후지수로 판명되었다. 구과의 쭉정이량은 구과 성숙 이전의 동계 3개월 간의 강수량과 가장 높은 상관을 보이고 있었으며, 쭉정이율의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많은 5개의 기후 지수와 10% 이내의 높은 상관관계를 인정할 수 있었는데, 특히 구과 성숙 이전의 동계 3∼5개월 간의 강수량과 높은 정의 상관관계를 보여 동계기간동안 강수량이 많으면 광합성량이 감소하여 임목의 영양상태가 불건전하게 됨으로써 수정에 방해가 되고 종국적으로는 불량한 종자의 비율이 높아지는 결과를 초래하는 것으로 보인다. 구과무게는 개화수분당년 6월 부터 익년(결실년도) 8월까지 15개월 간의 강수량과 부의 상관을 보여, 수분이후 결실과정까지 강수량이 많으면 광합성에 장애를 주어 구과 1개의 무게가 상대적으로 적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종자 1개의 평균무게는 결실전 동계기간동안의 강수량 높은부의 상관을 보여 겨울철 강수량이 많으면 광합성율이 저하되고 이는 다시 종자 때의 무게가 적어지는 결과를 보이는 것으로 판단된다. 구과피무게는 결실 전년 11월부터 익년 3월까지 5개월 간의 맑은 날수와 겨울철인 12월부터 2월까지 3개월 간의 맑은 날수와 부의 상관을 보인 반면에, 결실 전년도 5월의 평균기온과는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구과피율의 경우에도 구과피 무게와 동일한 경향을 보여, 결실전 동계기간동안의 맑은 날수는 종자생산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반면, 결실 전년도 5월의 평균기온이 높으면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 PDF

소나무 산지의 개엽시기에 영향을 미치는 기후인자 (Climatic Factors Affecting Bud Flush Timing of Pinus densiflora Provenances)

  • 김인식;유근옥;이주환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229-235
    • /
    • 2012
  • 본 연구는 소나무 산지의 개엽시기에 영향을 미치는 기후인자를 구명하기 위해 수행되었는데 1996년 국립산림과학원에서 조성한 정선, 충주, 제주의 소나무 산지시험림에서 조사가 이루어졌다. 휴면 중이던 동아가 부풀어 오르는 시점을 생장개시기로, 신초가 포린을 뚫고 나와 0.5mm 정도 자란 시점을 개엽시기로 정해 2004년 3월말부터 5월 중순까지 2일 간격으로 조사를했다. 개엽시기에 대한 산지 기후인자의 영향을 구명하기 위해 조림지와 산지의 기후인자를 구했으며, 각 기후인자의 생태적거리를 구해 공준상관 분석을 실시했다. 조림지별 생장개시기와 개엽시기는 제주, 충주, 정선 조림지 순으로 빨라 조림지의 평균 기온 차이에 따른 구배를 보여주었다. 종자산지의 기후인자 차이가 조림지에서의 생장개시기 및 개엽시기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해 생태적거리 자료를 이용하여 공준상관 분석을 실시한 결과, 조림지와 산지 간 위도, 경도, 12~2월 최저기온, 11~2월 최고기온 그리고 생육기간 차이가 주요 인자인 것으로 추정되었다. 결론적으로 조림지보다 겨울철 기온이 낮은 곳에서 온 산지가 생장개시 및 개엽시기가 빠른 전형적인 북-남 또는 저온-고온 경사변이를 나타내 소나무 산지에 따른 지리적 유전적 변이가 존재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최근 60년간 도시 및 농촌 지역의 국지적 기후변화 비교 분석 (A Comparison of the Impact of Regional Anthropogenic Climatic Change in Urban and Rural Areas in South Korea (1955-2016))

  • 윤동현;남원호;홍은미;김태곤;허창회
    •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
    • 제60권3호
    • /
    • pp.37-50
    • /
    • 2018
  • Local climate characteristics for both urban and rural areas can be attributed to multiple factors. Two factors affecting these characteristics include: 1) greenhouse gases related to global warming, and 2) urban heat island (UHI) effects caused by changes in surface land use and energy balances related to rapid urbanization. Because of the unique hydrological and climatological characteristics of cities compared with rural and forested areas, distinguishing the impacts of global warming urbanization is important. In this study, we analyzed anthropogenic climatic changes caused by rapid urbanization. Weather elements (maximum temperature, minimum temperature, and precipitation) over the last 60 years (1955-2016) are compared in urban areas (Seoul, Incheon, Pohang, Daegu, Jeonju, Ulsan, Gwangju, Busan) and rural/forested areas (Gangneung, Chupungnyeong, Mokpo, and Yeosu). Temperature differences between these areas reveal the effects of urbanization and global warming. The findings of this study can be used to analyze and forecast the impacts of climate change and urbanization in other urban and non-urban area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