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lear zone

검색결과 468건 처리시간 0.03초

Herb식물로부터 Helicobacter pylori에 대한 항균효과 탐색 (Screening of the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Helicobacter pylori from Herb Plants)

  • 조영제;천성숙;윤소정;김정환;김태완;최웅규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8권2호
    • /
    • pp.161-165
    • /
    • 2005
  • 다양한 기능성을 갖는 herb 40종을 대상으로 Helicobacter pylori에 대한 항균물질 개발의 일환으로 에탄올 추출물의 항균 효과를 검색한 결과, herb 추출물의 Helicobacter pylori에 대한 항균효과는 24종의 herb 추출물에서 clear zone이 형성이 되었고, 액체배양에 의한 생육저해실험에서도 26종의 herb에서 억제효과가 관찰되었으며, 이들 중 저해 활성이 강한 것으로는 가든세이지, 예루살렘세이지, 크리핑로즈마리, 라벤더, 레몬그라스, 로즈마리, 체리세이지, 세인트존스워트, 루, 타임, 오레가노 및 세이지 등 약 12종의 herb가 H. pylori에 대한 억제효과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Herb 추출물의 phenol 함량은 $134.13-533.33\;{\mu}g/ml$로 다양하게 나타났으며, 비교적 phenol성 물질의 함량이 높게 함유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뱀무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및 항균 효과 (Effects of Antioxidant and Antimicrobial of Geum japonicum Thunb)

  • 이정호;임용광;김윤경;임진아;이기남
    • 대한예방한의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131-138
    • /
    • 2007
  • Herbal medicine has been traditional used for prevention and treatment of treatment of disease, because herbal medicine has few side effects in the human body. Anti-medicines such as antimicrobial medicine and anti-cancer medicine, which contains herbal medicine, are being studied vigorously by researchers. The effects of Geum Japonicum Thumb are restorative, blood circulation and detoxification. It also treats hematemesis, menstruation and furunculus. The ingredients of Geum Japonicum Thumb include geoside and tannin. The study measured antioxidative activation and antifungal activation by using Geum Japonicum Thumb water and methanol extract. The crude extract, which was used for this study, was Korean herbal medicine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As Geum Japonicum Thumb extracts get stronger, the antioxidative activation tended to increase. The antioxidative activation hit its peak when the density of methanol extract was 120ug/ml. The experiment showed that a 1.0mm clear zone appeared when the density of the Geum Japonicum Thumb methanol extracts were 1000ug/ml in the Staphylococcus epidermidis and 1.1mm clear zone at Pseudomonas aeruginosa. The results of this study concludes that the antioxidative activation is lubricated in the Geum Japonicum Thumb extracts. In addition, the antifungal activation occurred in the fungus of the Staphylococcus epidermidis and the Pseudomonas aeruginosa.

  • PDF

Chitinase를 생성하는 Serratia sp. JM의 분리 및 특성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Serratia sp. JM Producing Chitinase)

  • 차진명;진상기고한철이인화
    • KSBB Journal
    • /
    • 제11권1호
    • /
    • pp.92-98
    • /
    • 1996
  • 전남 법성포 해안의 갯벌 시료로부터 chitinase 생 생 균주를 분리하였으며, 분리된 균주 중에서 chiti­n nase 생성능이 우수한 JM을 선발 동정하여 Serranasetia sp. JM으로 명명하였다. Serratia sp. JM은 nu­trient 배지냐 MacConkey 배지에서 prodigiosin 색소를 생성하며, 정제 chitin이 포함된 한천 배지에서 는 chitinase 생성에 따른 clear zone 형성이 확인되 었다 Serratia sp. JM은 형태적, 생리.생화학적 특 성과 유기물 동화는 SUCCIniC, urea 및 pyruvic 산 을 제외하고는 공시 균주인 Serratia marcescens ATCC 27117과 유사하였으며, tetracyclin에 대해 서는 항생제에 대한 내성을 가지고 있었으나, kanamycin과 chloramphenicol에 대해서는 내성을 가지지 않았다. Serratia sp. JM의 chitinase 생성에 따른 최적온도와 pH는 $30^{\circ}C$ 와 7.5로 냐타났다. Serratia sp. JM은 120시간까지는 배양 시간이 증가 함에 따라 chiti-nase 생성과 pH는 점차 증가하였으 나, 배양 120시간 이후에는 chitin 분해에 따른 acetic acid의 축적에 따라 chitinase 생성과 pH는 감소 하였다.

  • PDF

목단피로부터 식품부패 미생물에 대한 항균성 물질의 분리 및 동정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Antimicrobial Compound from Mokdan Bark (Paeonia suffruticosa ANDR))

  • 황재선;한영실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2권7호
    • /
    • pp.1059-1065
    • /
    • 2003
  • 우리나라 야산에서 손쉽게 구할 수 있는 구황식물인 목단피를 건조시켜 분쇄한 후 methanol과 여러 용매로 추출하여 식품 부패 미생물의 증식 억제 효과를 검색하고 그 항균물질을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목단피의 methanol 추출물은 1500$\mu\textrm{g}$/mL 농도에서 B. subtilis, L. monocytogenes, V parahaemolyticus의 증식을 100% 억제하였으며 S. aureus, E. coli도 같은 농도에서 각각 36.31%와 67.81%의 억제 효과를 보였다. 목단피의 ethylacetate 분획 추출물은 낮은 농도인 500$\mu\textrm{g}$/disc의 농도에서 식품 부패 미생물 5종 모두에 대하여 clear zone을 형성하여 항균력을 나타내었다. 특히 L. monocytogenes, E. coli균에 대해서는 낮은 농도인 500$\mu\textrm{g}$/disc에서 각각 12mm, 11mm의 clear zone을 형성하였다. 목단피의 ethylacetate추출물을 silica gel colum chromatography(7cm${\times}$1.2 cm)한 후 thin layer chromatography(TLC)를 실시하여 항균 실험을 한 결과 B. subtilis의 경우 500 $\mu\textrm{g}$/disc 농도에서 2nd fra. 1이 21mm, V. parahaemolyticus는 250$\mu\textrm{g}$/disc 농도에서 14mm를 형성하여 목단피의 methanol 추출물로부터 각 용매별로 계통 분획하여 분리한 ethylacetate 분획으로부터 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y와 TLC를 하여 항균성을 보인 2nd fra. 1의 성분을 알아보기 위하여 HPLC로 단일분리하여 얻은 peak Ⅸ에 대한 compound를 GC-MS로 분석한 결과 peak Ⅸ에서는 isobutyl isopentanoate가 있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Antifibrinolytic effect of oral prescription of lumbrokinase in Mice

  • Shim, Jae-Hee;Ryu, Eun-Sook;Kim, Jong-Won;Park, Seon-Yang;Min, Byoung-Goo
    • 대한의용생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의용생체공학회 1997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482-483
    • /
    • 1997
  • Antifibrinolytic effect of lumbrokinase in mice, in vivo, was studied. Liquid phase lumbrokinse from Lumbricus rubellus was purified by column chromatography method. Lumbrokinase was orally inserted to mice. Although oral dosage of lumbrokinase, to investigate whether lumbrokinase in mice causes antifibrinolytic effect, we have concentration of lumbrokinase varied, and detection of antifibrinolytic effect was carried out using a FDP (fibrin degradation product) test and euglobulin fibrinolytic activity test. FDP test and euglobulin fibrinolytic activity test were compared the data of PBS ingestion. control with lumbrokinase ingestion. As a result, FDP was increased in 7.8mg, 26mg lumbrokinase concentrations after 25 hours succeeding oral prescription of lumbrokinase, and decreased after 49 hours, but 7.8mg lumbrokinase ingestion more increased than 26mg. Also, FDP of PBS ingestion control and 1.3mg lumbrokinase ingestion were not been observed nothing. Euglobulin fibrinolytic activity of PBS ingestion control and 1.3mg lumbrokinase ingestion were not been observed any clear zone after 8, 25, 48 hours, and 7.8mg and 26mg were observed the most largest clear zone after 25 hours and decreased after 48 hours. However, antifibrinolytic effect of oral prescription of lumbrokinase in mice was observed. Now we need to determine an efficient amount of lumbrokinase for antifibrinolytic effect.

  • PDF

민들레 (Traxancum platycarpum D.) 추출물이 젖산균의 생육과 김치의 가스발생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andelion (Traxancum platycarpum D.) Extracts on the Growth of Lactic Acid Bacteria and Gas Formation from Kimchi)

  • 김순동;김미향;김덕희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7권3호
    • /
    • pp.321-325
    • /
    • 2000
  • 민들레 추출물의 4 종의 젖산균 즉, Leuconostoc mesenteroides, Lactobacillus brevis, Lactobacillus plantarum 및 Lactobacillus acidophilus에 대한 항균력과 김치의 가스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pH, 산도, 탁도 및 clear zone으로 평가한 결과, 민들레 물추출물과 70% methanol 추출물 (0.5%)은 4종 젖산균의 생육을 저해시키지 않았으나 ethyl acetate 추출물은 L. acidophilus와 Leuc. mesenteroides의 생육은 1/2로 L.brevis의 탁도는 1/3로 감소시켰다. 그러나 L. plantarum에 대하여는 큰 영향을 주지 못했다. 민들레 잎과 뿌리추출물의 차이는 뚜렷하지 않았다. 김치의 가스발생은 담금후 1일째부터 5-6일 사이에 발생하였으며 추출물의 경우 첨가물이 높아짐에 따라 가스 발생량은 무첨가 경우 80 ml/100 g, 0.5% 첨가시는 30 ml/100 g, 1.0% 첨가시는 8 ml/100 g를 나타내었다.

  • PDF

진달래꽃(Rhododendron mucronulatum Flos.) 추출물로부터 Helicobacter pylori 억제 효과를 가지는 phenol성 물질의 정제 및 동정 (Purification and Identification of Phenol Compounds with Inhibitory Activity on Helicobacter pylori from Rhododendron mucronulatum Flos. Extracts)

  • 주인식;조영제
    • 생명과학회지
    • /
    • 제19권8호
    • /
    • pp.1125-1131
    • /
    • 2009
  • 진달래꽃을 60% ethanol로 추출하여 추출물의 H. pylori에 대한 저해활성의 측정과 저해물질의 분리 및 동정을 시행하였다. 또한 H. pylori균에 대한 항균활성은 60% ethanol 추출물에서 phenol 화합물을 200${\mu}g/ml$ 이상 주입하였을 때부터 22 mm이상의 clear zone이 관찰되어 H. pylori균에 대한 높은 항균력을 나타내었다. 저해물질의 분리는 Sephadex LH-20 column을 이용하여 분리한 결과 6개의 fraction으로 분리되었으며, H. pylori 저해활성을 나타낸 fraction D를 MCI-gel CHP-20 column을 이용하여 normal phase type인 ethanol 100%에서 0%로 농도를 감소시키며 용출한 결과 5개의 단일 물질 분획을 얻을 수 있었다. 그 중 세 가지의 물질에 대해 H. pylori저해활성이 나타나 FAB-MS, $^1H$$^{13}C$ NMR 및 IR spectrum을 사용하여 구조 동정한 결과 quercitrin (quercetin-3-O-rhamnopyranoside), myricitrin (myricetin-3-O-rhamnopyranoside) 및 quercetin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백련초 추출물의 김치발효 젖산균과 식중독균에 대한 항균효과 (The Antibacterial Effects of Backryeoncho(Opuntia ficus-indica var. saboten) Extracts as Applied to Kimchi Fermentation with Lactic Acid Bacteria and Food Poisoning Bacteria)

  • 이영숙;손희숙;노정옥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20권6호
    • /
    • pp.1213-1222
    • /
    • 2011
  • This research evaluated antibacterial and growth inhibition effects on three kinds of lactic acid bacteria and five kinds of food poisoning bacteria using Backryencho powder, hot water, 70% ethanol, and 95% ethanol extracts. Antibacterial activity was shown against Leu. mensenteroides for 8 and 10 mg/disc of the 95% ethanol extract solution and strong proliferation inhibition effects were displayed against B. subtilis, Stap. aureus, E. coli, and S. typhimurium. High antibacterial activity according to certain clear zone formations was shown especially for the 10 mg/disc. A 3% concentration of the 95% ethanol extract showed high growth inhibition effects against lactic acid bacteria, L. brevis, L. plantarum, and Leu. mesenteroids. The measurement of viable cell counts of S. aureus, E. coli, B. subtilis, and S. typhimurium indicated suppression effects by the 3% concentration of the 95% ethanol extract, at 49.60%, 41.54%, 35.95%, 28.82%, and 26.60% respectively. The antibacterial activities of the hot water, 70% ethanol, 95% ethanol extract of Backryencho against food poisoning bacteria and Kimchi fermentation lactic acid bacteria were confirmed through various methods of antibiotic measurement. Based on these results, Backryencho extract is considered a good source for a range of applications as a natural anti-bacterial agent for the storage ability of Kimchi and as a possible food preservative.

민들레로부터 항균성 화합물의 분리 및 동정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Antimicrobial Compound from Dandelion(Taraxacum platycarpum D.))

  • 한영실;김건희;민경찬;이선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822-829
    • /
    • 1999
  • 최근 식품 산업의 발달로 장기간 식품 보존을 위하여 합성 보존제의 사용이 크게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인체에 대한 유해성이 문제로 대두되면서 이를 대체할 천연 보존제의 개발이 절실히 요고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우리나라 야산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구황 식물인 민들레를 메탄올과 여러 용매로 추출하여 식품부패 미생물에 대한 항균력을 실험하고 그 항균 활성 물질을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민들레의 메탄올 추출물은 $2000\mu\textrm{g}/ml$ 농도에서 s. aureus를 완전히 억제하였고, L. monocytogenes는 98.43% 억제하였다. 그리고 민들레의 ethylacetate 분획물은 $1000\mu\textrm{g}/disc$ 농도에서 5종의 모든 시험균주에 대하여 clear zone을 형성하여 가장 높은 항균력을 보였다. 민들레의 ethyl­-acetate 분획물을 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와 TLC를 통해 분리하여 얻은 fraction을 5가지 시험균주에 대한 항균 실험 결과 3번째 3rd fraction의 항균력이 가장 높아 $250\mu\textrm{g}/disc$ 농도에서 E. coli를 제외한 모든 균주에 대하여 14mm 이상의 clear zone을 나타내었다. 항균력을 보인 민들레의 ethylacetate 분획의 3번째 3rd fraction을 먼저 HPLC로 분리하여 얻은 peak II로부터 $^{l}H-NMR$ 및 GC-MS로 분석한 결과 benzoic acid로 동정 되었다.

  • PDF

황련해독탕(黃連解毒湯)·편백(扁柏) 정유 복합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균활성에 관한 연구 (Antioxidative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Herbal Complex Extract from Hwangryunhaedok-tang and Essential Oil of Chamaecyparis obtusa)

  • 김보애;박신호;양재찬
    • 대한본초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75-81
    • /
    • 2017
  • Objectives : The present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effects of mixed extracts (9:1, v/v) of Hwangryunhaedoktang, Chamaecyparis obtusa essential oil. We evaluated the antimicrobial and antioxidant activity by manufacturing mixed extracts as the materials for functional medicinal herb cosmetics. Methods : We performed antimicrobial were tested microbes (Staphylococcus aureus, Staphylococcus epidermidis, Escherichia coli, Candida albicans, Propionibacterium acnes) by disc diffusion method and measure clear zone. Antioxidant activities were measured by DPPH (1,1-diphenyl-2-picrylhydrazyl) radical scavenging activity. Results : Antimicrobial activities of mixed extracts against S. epidermideis, P. acnes, S. aureus, E. coli, and Candida. A were $10.9{\pm}3.0mm$, $16.9{\pm}2.0mm$, $9.2{\pm}2.0mm$, $10.3{\pm}1.0mm$, $11.8{\pm}3.0mm$ respectively. The Chamaecyparis obtusa essential oil had the highest antimicrobial activities against S. epidermideis, P. acnes, S. aureus, E. coli, and Candia. A and clear zone of microbes ware $16.7{\pm}3.0mm$, $28.8{\pm}0.2mm$, $15.9{\pm}2.0mm$, $11.5{\pm}1.0mm$, $16.3{\pm}3.0mm$. Hwangryunhaedoktang extract showed antimicrobial activity but only P. acnes and S. aureus The antioxidant activities of the mixed extracts were tested through the evaluation of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The 100 % mixed extracts were found to have 90 %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The mixed extracts was presented similar antioxidant activities compared with that of ascorbic acid. As a result, A mixture extract is expected to have antimicrobial effects and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as found. Conclusions : Accordingly, It can be concluded that mixed extracts has the potential to cosmetic materi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