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leaning method

검색결과 698건 처리시간 0.032초

초임계 이산화탄소를 이용한 초순수 건식 세정기술 (Ultra Dry-Cleaning Technology Using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 정승남;김선영;유기풍
    • 청정기술
    • /
    • 제7권1호
    • /
    • pp.13-25
    • /
    • 2001
  • 정밀 기계산업과 반도체 산업의 진보와 더불어 대상물의 초순도 세정이 하이테크 산업발전에 가장 중요한 핵심기술로 부각되고 있다. 현재 초순수 세정은 크게 습식세정과 건식세정으로 분류하고 있다. 습식세정의 경우 오랜 경험과 높은 세정효율을 보이고 있지만, 다량의 탈이온수에 과산화수소, 황산, 불산 또는 수산화 암모늄 등의 독성첨가제를 반복적으로 사용하고 있어 독성 폐수발생등 심각한 환경오염을 유발하고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습식 세정에 따른 환경오염의 문제를 개선하기 위한 노력으로 몇 가지 건식 세정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최근 들어 건식세정 방법 중에 소위 초임계상태의 환경 용매를 사용하는 기술이 개발되고 있으며, 높은 세정효율과 더불어 환경친화성이 높은 유망한 기술로 받아들여지고 있어 국제적인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초임계 이산화탄소 세정에 관심을 두어, 초임계 용매의 물리화학적 특성과 환경친화측면, 세정공정의 엔지니어링, 그리고 국내외 기술 현황을 종합적으로 분석 평가하였다.

  • PDF

세라믹필터 집진장치의 역세정 시스템 설계를 위한 유동해석 (A Numerical Analysis of Pulse-Jet Cleaning Characteristics for Ceramic Filter System Design)

  • 정재화;서석빈;김시문;안달홍;김종진
    • 에너지공학
    • /
    • 제12권3호
    • /
    • pp.197-206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다공성 세라믹 필터를 사용하는 집진장치에서 역세정 과정의 유동특성을 규명하고, 역세정 시스템 설계에 적용하기 위한 전산해석을 수행하였다. 주요 연구내용으로는 역세정 과정에서 중요한 변수인 노즐 직경, 노즐 팁의 위치, 다공성 세라믹 캔들필터의 투과율, 디퓨저 형상, 역세정 압력 등이 집진장치 내부에서의 속도분포, 압력분포 등 역세정 유동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상세히 계산하여 역세정 시스템의 사양 설계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전산해석에는 상용의 FLUENT code를 사용하여 에너지 보존식을 포함한 압축성 축대칭 Navier-Stokes 방정식을 유한체적법 (Finite volume method)으로 해석하였다.

철강용 알칼리세정제의 제조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reparation of Alkaline Cleaning Agents for Steel)

  • 근장현;함현식;박홍수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35-40
    • /
    • 1993
  • Alkaline cleaning agent(ACA) was prepared by blending of POE(4)octadecylmine(S-204), $Na_2CO_3$, sodium orthosilicate(Na-OSi). Tetronix T-701(T-701), and MJU-100A. The physical properties of ACA tested with steel specimen showed the following results. The cleaning powers of ACA-6(S-204 80g/$Na_2CO_3$, 160g/Na-OSi, 80g/T-701, 60g/MJU-100A, 20g mixture) for press-rust preventing oil was 98% and 99% degreasing at 2wt%, $70^{\circ}C$ and $90^{\circ}C$, respectively : for quenching oil, the cleaning power of ACA-6 was 95% degreasing at 2wt% and $70^{\circ}C$. From these results, it was ascertained that ACA-6 exhibited a good cleaning power. Foam heights measured immediately after foaming by Ross & Miles method and Ross & Clark method at 3wt%. $60^{\circ}C$ were 17mm and 40mm, respectively. As the result, ACA-6 was proved a good low foaming cleaning agent.

CFC 113과 대체세정제의 세정성능 비교 (Comparison of Cleaning Performance of CFC 113 and the Alternatives)

  • 노경호;최대기;이윤용
    • 분석과학
    • /
    • 제6권5호
    • /
    • pp.521-530
    • /
    • 1993
  • 몬트리올의정서에 의하여 오존층 파괴물질로 규정된 전자산업의 필수불가결한 세정제인 CFC 113(1,1,2-trichloro 1,2,2,-trifluoroethane)의 사용이 앞으로 규제가 됨에 따라서 대체세정제의 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따라서 현재 시판중인 세정제의 종류는 상당히 많다. 이 중에서 Axarel 32(DuPont), Cleanthru 750H(KAO Chemical), EC-Ultra(Petroferm)를 선정하여 CFC 113과 세정성능을 비교하였다. CFC 113과 대체세정제의 세정성능 검사방법은 기본적은 물성측정, 재질호환성에 대한 실험, 증발속도의 측정, 오염물질의 제거효율에 관한 실험으로 구성되어 있다. CFC 113과 대체세정제들의 기본적인 물성들은 서로 상이하였다. 대체세정제는 비점이 높고 표면장력과 점도가 CFC 113보다 큰 값을 가지고 있다. 전자산업에서의 로진계 flux를 오염물질로 하고 각기의 세정제와의 용해도를 비교한 결과 비극성 유기물질은 abietic acid에 대한 용해도는 서로 유사하였으나 대체세정제의 경우 극성 유기물질에 대한 용해도는 CFC 113에 비해서 월등히 좋았다. 또한 비점이 낮은 CFC 113의 건조성은 대체세정제와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우수하였고 특히 대체세정제 중에서 EC-Ultra는 건조성이 매우 낮았다. CFC 113과 대체세정제에서의 PCB의 구성 재질인 FR4와 Cu-coated FR4에 대한 재질호환성은 거의 비슷하였다. Abietic acid의 제거효율에 관한 실험에서는 초음파 세정에 의해서 우수한 세정효과를 보여 주었으며 침적에 의해 세정에서는 건조성이 좋은 세정제가 유리하지만 초음파 세정에 의해서 대체세정제간의 제거효율의 차이는 거의 없었다. CFC 113의 대체세정제로서 로진계 flux를 제거하는 대체세정제간의 세정성능은 큰 차이는 없으나 최종 세정제로 선정하기 위해서는 세정장치의 적용, 환경문제 및 경제성의 고려가 병행되어야 한다.

  • PDF

로그 구조 파일 시스템의 파일 단편화 해소를 위한 클리닝 기법 (An Efficient Cleaning Scheme for File Defragmentation on Log-Structured File System)

  • 박종규;강동현;서의성;엄영익
    • 정보과학회 논문지
    • /
    • 제43권6호
    • /
    • pp.627-635
    • /
    • 2016
  • 로그 구조 파일 시스템에서는 쓰기 작업을 처리할 때 새로운 블록들이 순차적으로 할당된다. 그러나, 다수의 프로세스가 번갈아가며 동기적 쓰기 작업을 요청할 경우, 파일 시스템 상에서는 각 프로세스가 생성한 파일이 단편화될 수 있다. 이 파일 단편화는 읽기 요청을 처리할 때 다수의 블록 I/O를 발생시키기 때문에 읽기 성능을 저하시킨다. 게다가, 미리 읽기 기능은 한 번에 요청되는 데이터의 양을 증가시킴으로써 성능 저하를 더욱 심화시킨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파일 단편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로그구조 파일 시스템의 새로운 클리닝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 기법은 로그 구조 파일 시스템의 클리닝 과정 중 유효 데이터 블록을 아이노드 번호 순으로 정렬함으로써 한 파일의 데이터 블록들을 인접하게 재배치한다. 실험 결과, 제안한 클리닝 기법이 클리닝 전에 비해 약 60%의 파일 단편화를 제거하였고, 그 결과로 미리 읽기 기능을 적용했을 때 읽기 성능을 최고 21%까지 향상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지하역사 덕트 청소로봇 기술동향 및 개발 (Development of a Duct Cleaning Robot and Technology Trends for Subway Stations)

  • 정우태;박덕신
    • 한국철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철도학회 2011년도 정기총회 및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335-1341
    • /
    • 2011
  • Conserving clean air and removing contaminants and particular matters accumulated in the ventilation system of the subway stations are key issue for green railway environment. There is no national guideline or industrial regulations to sustain clean duct and ventilation system, which requires rapid reformation of cleaning procedure and system. In fact, accumulated various particular matters and dusts can occur secondary air contamination and become a primary health harm factor for subway passengers. This study investigates various duct cleaning technologies and trends. In additon, effective cleaning method with an automated robot device is proposed. In particular, current dust cleaning technologies and duct cleaning robots are analyzed based on their functions and feasibilities. The proposed design of automated device is expected to save the operating cost of subway HVAC system and sustain clean air environment.

  • PDF

현장조사를 통한 인력의존형 유리창 청소 작업분석 (Analysis of manpower-dependent window cleaning work through on-site investigation)

  • 김균태;전영훈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18년도 추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138-139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work of the existing manpower dependent cleaning method by investigating the window cleaning site. In this study, detailed work contents were confirmed by on-site investigation and interview with experts, and the relationship, procedure, repetition work, and time required for each work were analyzed. The future analysis results will be used as a basic data for comparative analysis of productivity and economical efficiency with the window cleaning device to be developed.

  • PDF

철강용 고성능 알칼리세정제의 제조 및 세정거동 (Preparation and Behavior of High Performance Alkaline Cleaning Agents for Steel)

  • 박홍수;조혜진;심일우;유혁재;김명수;함현식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15-20
    • /
    • 2005
  • $Na_2CO_3$. Sodium orthosilicate (Na-OSi), Tetronix T-701 (T-701), Na-dioctyl sulfosuccinate (303C), Newpol PE-68 (PE-68), MJU-100A, and tetrasodium pyrophosphate were blended to prepare high performance alkaline cleaning agents (ACASs). The results of cleaning test with steel specimen showed that ACAS-6 ($Na_2CO_3$ 50g/Na-OSi 35g/T-701 20g/303C 18g/PE-68 17g/MJU-100A 10g/TSPP 20g/ water 180g mixture) had a good cleaning power. The cleaning power for press-rust preventing oil was 98% and 99% degreasing at 4wt%, $70^{\circ}C$ and $90^{\circ}C$, respectively ; for quenching oil, the cleaning power of ACAS-6 was 91% degreasing at 4wt% and $70^{\circ}C$. The foam heights measured immediately after foaming by Ross & Miles method and Ross & Clark method at 6wt%, $60^{\circ}C$ were 18mm and 65mm, respectively. It was concluded that ACAS-6 had a good low foaming cleaning agent.

갯닦기 전후의 해중림초의 해조상과 시험 부착판에서의 해조류 초기 천이 (Changes in Marine Algal Flora settled on the Artificial Seaweed Reefs Before and After Rocky Cleaning and the Early Succession of the Seaweeds attached to the Test Panels)

  • 김태연;곽철우;정의영;김영식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5권6호
    • /
    • pp.1336-1347
    • /
    • 2013
  • The marine algal flora assemblages settled on the artificial seaweed reefs in Jeju-do before and after rocky cleaning were investigated during summer and the early succession of seaweeds attached to the test panels on the structures of the artificial reef after rocky cleaning were observed by visual observations and under the dissecting microscope in order to evaluate the effects of this rocky cleaning operation. Species composition and algal biomass on the Bboolsamgak-typed seaweed artificial reefs before and after rocky cleaning were measured and compared before and after rocky cleaning. Before rocky cleaning in July 2012, only nine algal species had existed on the Bboolsamgak-typed seaweed artificial reefs, however, twenty algal species occurred on the seaweed artificial reefs after rocky cleaning in July 2013. Particularly, 15 species among them in July 2013 were not found in July 2012 and they seemed to occur newly on the artificial reefs. A large quantity of algal biomass increased in July 2013 after rocky cleaning. Based on the importance value, there was a drastic change in the dominant species between July 2012 and July 2013 after rocky cleaning. By dissecting micrographs, an epiphytic diatom, Licmophora sp. and flagellates, were observed on the 9th day. A chlorophyte, Ulothrix flacca was observed after 14 days, Ulva pertusa, Bryopsis pulmosa, crustose coralline algae, and Cladophora spp. were after one month. After two months, a significant species succession was observed from three previous chlorophyte species to crustose coralline algae existed as a dominant species on the panels. In this study, however, any brown algae were not found until three months in the early seaweed succession. All above results indicates that the rocky cleaning is a very efficient method for the establishment of macroalgal assemblages on the artificial reefs.

해수용 역삼투막을 이용한 $1,000,000m^3/day$ 규모의 플랜트에서 오염된 막의 화학세정 효율 평가 (Evaluation on Chemical Cleaning Efficiency of Fouled in $1,000,000m^3/day$ Sea Water Reverse Osmosis Membrane Plant)

  • 박준영;김지훈;정우원;남종우;김영훈;이의종;이용수;전민정;김형수
    • 상하수도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285-291
    • /
    • 2011
  • Membrane fouling is an unavoidable phenomenon and major obstacle in the economic and efficient operation under sea water reverse osmosis (SWRO). When fouling occurs on the membrane surface, the permeate quantity and quality decrease, the trans-membrane pressure (TMP) and operation costs increase, and the membrane may be damaged. Therefore, chemical cleaning process is important to prevent permeate flow from decreasing in RO membrane filtration process. This study focused on proper chemical cleaning condition for Shuaibah RO plant in Saudi Arabia. Several chemical agents were used for chemical cleaning at different contact time and concentrations of chemicals. Also autopsy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LOI, FT-IR, FEEM, SEM and EDX for assessment of fouling. Specially, FEEM analysis method was thought as analyzing and evaluating tool available for selection of the first applied chemical cleaning dose to predict potential organic fouling. Also, cleaning time should be considered by the condition of RO membrane process since the cleaning time depends on the membrane fouling rate. If the fouling exceeds chemical cleaning guideline, to perfectly remove the fouling, certainly, the chemical cleaning is increased with membrane fouling rate influenced by raw water properties, pre-treatment condition and the point of the chemical cleaning operation time. Also choice of cleaning chemicals applied firstly is import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