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lay water content

검색결과 402건 처리시간 0.027초

토목섬유 보강이 고함수비 점성토의 다짐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Geosynthetic Reinforcement on Compaction of High Water Content Clay)

  • 노한성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21권2호
    • /
    • pp.67-84
    • /
    • 2005
  • 본 연구는 포화된 연약 점성토에 대한 보강효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롤러 다짐장비를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시료는 12시간 수침으로 포화 상태를 만들었으며, 철재 롤러로 평면변형을 상태에서 5cm 층 두께로 4층의 다짐을 실시하였다. 보강효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무보강 조건 및 부직포와 직포로 구성된 복합보강재를 사용한 보강조건으로 다짐 공시체를 제작하였다. 복합보강재의 배수효과와 인장 보강효과로 고함수비 점성토의 지지력을 증가시켜, 보강토에 대하여 큰 다짐하중을 가할 수 있게 되어 보다 큰 밀도를 효과적으로 얻을 수 있다. 또한 다짐 작업시 보강재에 의해 연직재하 하중에 대한 전단저항 반력의 감소에 의해 다짐효율을 증가시킨다. 공시체 저면에서의 최대 연직응력은 다짐두께가증가 할수록 감소하게 된다. 한편 보강재는 롤러의 연직하부의 지반강성을 증가시켜 응력집중현상이 발생한다. 이로인하여 공시체 저면에서 보다 높은 연직응력 수준을 유지하며 보다 효과적인 다짐 특성을 제공하게 된다. 시험결과로부터 연약점성토의 효과적인 다짐을 위해서는 보강재가 필수적으로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

점토목재파티클보드로 제조된 Clay-Woodceramics의 성질 (Properties of Clay-Woodceramics from 3 layers-clay-woodparticleboard)

  • 이화형;김관의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1권5호
    • /
    • pp.80-87
    • /
    • 2003
  • 본 연구는 목재파레트폐잔재 파티클과 페놀수지(고형분함량 50%, 함지율 30%) 및 점토를 사용하여 3층 점토목질파티클보드를 제조하고 소정의 탄화온도(400℃, 600℃, 800℃)에서 탄화하여 Clay-Woodceramics를 제조한 후 물리·기계적성질을 검토하였다. 점토의 효과를 구명하기 위하여 전건파티클중량의 10%, 20%, 30%를 첨가하였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Clay-Woodceramics의 탄화수율은 탄화온도가 높을수록 감소하였고, 폭 및 두께 수축율은 증가하였다. 그러나 Clay첨가량이 많을수록 탄화수율은 증가하였으며 폭 및 두께 수축율은 감소하였다. 2. Clay-Woodceramics의 비중은 탄화온도가 높을수록 증가하며, 흡습율도 증가하였다. Clay의 첨가량이 많을수록 같은 온도조건에서 높은 비중을 나타냈으며, 흡습율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그러나 흡수율은 제조조건에 따른 통계적인 차이가 없었다. 3. 탄화온도가 높아짐에 따라 Clay-Woodceramics의 휨강도 및 휨탄성계수는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Micro-Fiber 흔라네 의한 준설해성점토의 보강효과 (Reinforcing Effect of Dredged Marine Clay Mixed with Micro-Fiber)

  • 박영목;우문정;허상목;정연인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19권4호
    • /
    • pp.75-81
    • /
    • 2003
  • 초연약 고소성의 준설해성점토를 보강하기 위하여 Micro-Fiber(MF)재를 혼합하여 다양한 실내시험을 수행하였다. 준설점토의 함수비를 3종으로 조정하고 각각의 시료에 MF를 길이와 혼합율을 변화시키면서 일축압축 및 삼축압축 시험을 통하여 보강특성을 검토하였다. 또한, 양생일수벽로 강도증가 경향을 평가하였으며, 폐석회(Waste Lime, WL)의 추가혼합이 보강기능을 증대시키는지 여부를 검토하였다. 실험결과, MF를 혼합함에 따라 준설점토의 강도가 자연함수비에 무관하게 약 50% 증가하였으며, MF의 길이가 길수록 보강효과가 크게 나타났다. 또한, 합리적인 MF의 혼합율은 2% 정도이며, 추가적으로 폐석회를 약 10% 혼합할 경우 중장비주행이 가능한 보강효과가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Sand Drain에 의한 점성토의 압밀 특성 (A Study on Consolidation Characteristics in Marine Clay by Sand Drain)

  • 전용백;곽수정
    • 한국산업융합학회 논문집
    • /
    • 제7권1호
    • /
    • pp.83-89
    • /
    • 2004
  • The analysis about consolidation characteristic in soft clay has been depending one-dimension consolidation analysis. but, drain and undrain zone are explicated as homogeneous by consolidation behavior following consoli- dated settlementsoft in soft clay. 1) Established sand drain in soft clay in many types, and measured water content, unconfined compression strength, vertical stress, horizontal stress, vertical settlement, pore water pressure. 2) Arranged the result from the test and numerically explicated effective stress, total stress, and effective stress path at the drain and undrain zone. 3) We also analyzed and comparied elastic and elastic-plastic in soft clay using measured data. The result analyzed does not approach to a special theory, but, it is well in accord with the result of other investigator's study in the same condition.

  • PDF

Geomechanical properties of synthesised clayey rocks in process of high-pressure compression and consolidation

  • Liu, Taogen;Li, Ling;Liu, Zaobao;Xie, Shouyi;Shao, Jianfu
    • Geomechanics and Engineering
    • /
    • 제20권6호
    • /
    • pp.537-546
    • /
    • 2020
  • Oil and natural gas reserves have been recognised abundantly in clayey rich rock formations in deep costal reservoirs.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sedimentary history of those reservoir rocks to well explore these natural resources. This work designs a group of laboratory experiments to mimic the physical process of the sedimentary clay-rich rock formation. It presents characterisation results of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artificial clayey rocks synthesized from illite clay, quartz sand and brine water by high-pressure consolidation tests. Special focus is given on the effects of illite clay content and high-stress consolidation on the physical properties. Multi-step loaded consolidation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with stress up to 35 MPa on mixtures constituting of the illite clay, quartz sand and brine water with five initial illite clay contents (w=85%, 70%, 55%, 40% and 25%). Compressibility and void ratio were characterised throughout the physical compaction process of the mixtures constituting of five illite clay contents and their water permeability was measured as well. Results show that the applied stress induces a great reduction of clayey rock void ratio. Illite clay contents has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compressibility, void ratio and the permeability of the physically synthesized clayey rocks. There is a critical illite clay content w=70% that induces the minimum void ratio in the physically synthesised clayey rocks. The SEM study indicates, in the high-pressure synthesised clayey rocks with high illite clay contents, the illite clay minerals are located in layers and serve as the material matrix, and the quartz minerals fill in the inter-mineral pores or are embedded in the illite clay matrix. The arrangements of the minerals in microscale originate the structural anisotropy of the high-pressure synthesised clayey rock. The test findings can give an intuitive physical understanding of the deep-buried clayey rock basins in energy reservoirs.

준설 연약 점토의 전단강도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trength Characteristics of Dredged Soft Clay)

  • 이송;윤돈규;백영식
    • 한국지반공학회지:지반
    • /
    • 제10권4호
    • /
    • pp.153-166
    • /
    • 1994
  • 본 논문에서는 연속재하압밀시험을 적용하여 준설토의 거동을 연구하고 얇은 판을 이용하여 준설토의 강도 시험을 실시하는 새로운 실험 방법을 고안하여 실험을 하였다. 이 경우 준설토의 유동적 특성은 Bingham 모델로 설명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을 위하여 정적 관입시험과 유동적 관입시험을 실시하였는데 두 방법은 모두 합 리적이고 실용성이 있었다. 특히 실험을 통하여 얻은 결론에 따르면 점토질이 많은 흙이나 실트 질 흙 모두에 대해서 함수비가 액성한계의 두배보다 적어지면 강도가 급격히 증가하는 반면,소 성지수의 경우 소성지수로 정규화한 함수비값이 실트는 10, 점토는 5이하가 되면서 소성지수로 정규화한 함수비값의 강도가 급격히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Geotechnical characteristics and consolidation properties of Tianjin marine clay

  • Lei, Huayang;Feng, Shuangxi;Jiang, Yan
    • Geomechanics and Engineering
    • /
    • 제16권2호
    • /
    • pp.125-140
    • /
    • 2018
  • Tianjin, which is located on the west shore of the Bohai Sea, is part of China's Circum-Bohai-Sea Region, where very weak clay is deposited. From the 1970s to the early $21^{st}$ century, Tianjin marine clay deposits have been the subject of numerous geotechnical investigations. Because of these deposits' geological complexity, great depositional thickness, high water content, large void ratio, excessive settlement, and low shear strength, the geotechnical properties of Tianjin marine clay need to be summarized and evaluated based on various in situ and laboratory tests so that Tianjin can safely and economically sustain more infrastructure in the coming decades. In this study, the properties of Tianjin marine clay, especially its consolidation properties, are summarized, evaluated and discussed. The focus is on establishing correlations between the geotechnical property indexes and mechanical parameters of Tianjin marine clay. These correlations include the correlations between the water content and the void ratio, the depth and the undrained shear strength, the liquid limit and the compression index, the tip resistance and the constrained modulus, the plasticity index and the ratio of undrained shear strength and the preconsolidation pressure. In addition, the primary consolidation properties of Tianjin marine clay, such as the intrinsic compression line (ICL), sedimentation compression line (SCL), compression index, $C_c$, coefficient of consolidation, $C_v$, and hydraulic conductivity change index, $C_{kv}$, are evaluated and discussed. A secondary consolidation property, i.e., the secondary compression index, $C_a$, is also investigated, and the results show that the ratio of $C_a/C_c$ for Tianjin marine clay can be used to calculate $C_a$ in secondary consolidation settlement predictions.

함수비 증가에 따른 모래질 점토기둥의 붕괴실험 및 입자법 시뮬레이션 (Flow Tests of Sandy-Clay Column due to Increasing Water Content and Their Simulation Using Particle Method)

  • 박성식;창한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30권11호
    • /
    • pp.25-37
    • /
    • 2014
  • 현장 지반에는 점토 또는 모래만 존재하기 보다는 다양한 크기의 흙이 서로 섞여 존재하는 경우가 많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이 모래가 포함된 점토에서 함수비 증가에 따른 흙의 유동 특성을 예측하기 위해 흙기둥 붕괴실험과 이를 위해 개발한 입자법으로 대변형 시뮬레이션을 실시하였다. 먼저 카올리나이트에 모래 함유량을 0, 10, 25, 그리고 50%까지 증가시키면서 직경 7cm, 높이 13cm의 흙기둥 붕괴실험을 실시하였으며, 시간에 따른 흙기둥의 형상 변화를 관찰하였다. 모래 함유량이 다른 각각의 흙기둥에 함수비를 40, 60, 그리고 80%로 증가시키면서 총 12 종류의 흙기둥 붕괴실험을 실시하였으며, 본 연구에서 개발한 입자법으로 시간에 따른 흙기둥의 변화를 시뮬레이션하였다. 점토의 함수비와 모래 함유량에 따른 비배수전단강도와 소성지수의 변화를 고려한 최대소성전단계수를 입자법의 점성항에 적용하여 토사 대변형을 시뮬레이션하였다. 실험 결과 모래 함유량이 동일한 경우 함수비가 증가할수록 변형이 크게 발생하였으며, 동일한 함수비라도 모래 함유량이 증가함에 따라 흙기둥의 변형은 크게 발생하였다. 최대 변형은 함수비 80%, 모래 함유량 50%인 흙기둥의 직경이 7cm에서 22cm로 3배 이상 발생하였으며, 이와 같은 흙기둥 실험에서 관찰된 토사의 대변형 거동 및 응력 변화를 개발한 입자법이 비교적 잘 예측할 수 있었다.

Chamotte질 내화물의 강도에 미치는 유이 Silica의 영향 (The Effect of Free Silica on the Strength of Chamotte Refractory)

  • 박금철;최영섭
    • 한국세라믹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35-44
    • /
    • 1976
  • The effect of quartz which exists in clays, especially in kaolin used for the production of chamotte sagger, on the strength of refractory was examined. In this study, a mixture of chamotte 50%, kaolin 25%, plastic clay 25% in ternary component system was selected as a batch composition. To this mixture 1%, 3% and 5% of feldspar and sericite were added respectively. The plastic clay used here was separated under 170 mesh by dry process. Feldspar and sericite were separated under 325 mesh by dry process. Feldspar and sericite were separated under 325 mesh by dry process. In order to change the particle size and the content of quartz, the kaolin was separated under 60, 115, 170 and 325 mesh by wet process, substituted quartz for coarse parts of it. Chamotte was classified into three grades, coarse (5-10mesh): medium (10-20mesh): fine(20-115mesh) and the ratio was 1:1:1. Samples were formed in 0.8xIx10cm size with 12.5% water at 160kg/$\textrm{cm}^2$ pressure, and fired at 130$0^{\circ}C$ for 1 hr. The fired samples were ivnestigated by means of x-ray diffraction analysis and microscopic observation, and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m were also examined, such as firing shrinkage, apparent specific gravity and bulk specific gravity, apparent porosity, water absorption and modulus of rupture. The obtained results are as follows: 1. When screened kaolin with low content of quartz was added to fixed chamotte-plastic clay system, the sample lowered modulus of rupture and increased apparent porosity as the size of kaolin became finer. 2. When kaolin under 325 mesh with 7.2-15.81% quartz between 60-325 mesh was added to fixed chamotte-plastic clay system, the sample had higher apparent porosity and lower modulus of ruputure as the size and the amount of quartz became larger. 3. The addition of feldspar and sericite to chamotte-plastic clay system improved apparent porosity and modulus of rupture. The effect of feldspar was better when quartz content was low, although that of sericite was better than quartz content was high.

  • PDF

점토함유량에 따른 편마풍화토 비탈면의 안정성 평가 (Stability Evaluation of Weathered Gneiss Soil Slopes according to Clay Content)

  • 박현수;김병수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24권10호
    • /
    • pp.15-23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국내의 대표적 풍화토인 편마풍화토에 점토함유량 0%, 5%, 10%의 혼합토로 조성된 비탈면에 대해 강우 시 침투거동을 조사하고, 강우침투로 인한 불포화 비탈면의 안정성을 검토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불포화 함수특성시험을 통해 함수특성곡선을 획득했고, 포화 삼축압축시험을 통해 강도정수를 얻었다. 얻어진 결과를 토대로, 침투해석과 안정해석을 통해 비탈면의 강우침투로 인한 포화대 형성과 안전성에 점토함유량과 선행강우 효과를 나타내는 초기흡수력이 미치는 영향에 대해 조사하였다. 그 결과, 지반의 초기흡수력이 높을수록 비탈면의 포화대 형성이 늦춰졌다는 것을 알았다. 또한 점토함유량이 증가할수록 지반의 전단강도 증대와 더불어 강우침투에 대한 저항성을 높이는 효과를 가지며, 비탈면의 안전성을 크게 향상시킨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