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lass II adolescents

검색결과 13건 처리시간 0.028초

Differences in opening and protrusive mandibular movements between Class I and II malocclusions in healthy adolescents

  • Tuncer, Bureu Balos;Ozogul, Berk;Akkaya, Sevil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41권2호
    • /
    • pp.127-137
    • /
    • 2011
  • Objective: The aim of the study was to compare the opening and protrusive mandibular movements between Class I and Class II malocclusions in healthy adolescents by clinical and axiographic evaluations. Methods: Mechanical axiography was performed on non-orthodontically treated, temporomandibular disorder (TMD)-free adolescents (12 - 16 years) with Class I (n = 38, 16 boys, 22 girls) or Class II (n = 40, 19 boys, 21 girls) malocclusion. Opening and protrusive movements were measured clinically and axiographically. Intergroup comparisons were evaluated by t-tests. Results: In opening movement, the maximum clinical opening capacity was significantly different (p ${\leq}$ 0.05) between the groups. In protrusive movement, the Class II group had significantly greater maximum clinical protrusion (p < 0.001) and maximum axiographic protrusive length (p < 0.01) than the Class I group.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other opening and protrusive axiographic measurements was observed. Conclusions: TMD-free adolescents with Class II malocclusion have increased protrusive capacity compared with TMD-free adolescents with Class I malocclusion; however, the detected differences could be normal variations during adolescence.

Long-term pharyngeal airway changes after bionator treatment in adolescents with skeletal Class II malocclusions

  • Han, Seimin;Choi, Yoon Jeong;Chung, Chooryung J.;Kim, Ji Young;Kim, Kyung-Ho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44권1호
    • /
    • pp.13-19
    • /
    • 2014
  • Objectiv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long-term changes in the pharyngeal airway dimensions after functional appliance treatment in adolescents with skeletal Class II malocclusions. Methods: Pharyngeal airway dimensions were compared between subjects with skeletal Class II malocclusions (n = 24; mean age: $11.6{\pm}1.29$ years) treated with a Class II bionator and age-matched control subjects with skeletal Class I occlusions (n = 24; mean age: $11.0{\pm}1.21$ years) using a series of lateral cephalograms obtained at the initial visit (T0), after treatment (T1), and at the completion of growth (T2). Results: The length of the nasopharyngeal region was similar between adolescents with skeletal Class I and Class II malocclusions at all time points, while the lengths of the upper and lower oropharyngeal regions and the pharyngeal airway areas were significantly smaller in the skeletal Class II adolescents before treatment when compared to the control adolescents (p < 0.05). However, following treatment with a functional appliance, the skeletal Class II adolescents had increased pharyngeal airway dimensions, which became similar to those of the control subjects. Conclusions: Functional appliance therapy can increase the pharyngeal airway dimensions in growing adolescents with skeletal Class II malocclusions, and this effect is maintained until the completion of growth.

골격성 II급 소아·청소년의 상기도 공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CBCT 연구 (Factors Influencing Upper Airway Dimensions in Skeletal Class II Children and Adolescents: A CBCT Study)

  • 김병화;이제우;라지영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8권1호
    • /
    • pp.1-11
    • /
    • 2021
  • 이 연구의 목적은 골격성 2급 부정교합 소아·청소년의 상기도 공간을 분석하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고자 함이다. 총 67명의 골격성 2급 소아·청소년의 CBCT영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상기도 부피와 최소 단면적은 3차원 CBCT 영상을 통해 평가하였으며, 악안면 형태와 골 성숙도는 2차원 두부방사선사진을 통해 평가하였다. 상기도 부피 및 최소 단면적과 다양한 변수들간의 연관성이 분석되었다. 상기도 공간은 최대 성장기 이전의 환자에서 가장 작았으며, 연령과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상기도 부피는 전안면 고경 및 연령과, 최소 단면적은 하악 폭경 및 연령과 가장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골격성 2급 소아·청소년의 상기도 공간은 연령, 골 성숙도, 세 평면에서의 악안면 형태와 유의한 연관성을 가졌다.

성장기 아동과 성인에서의 II급 1류 부정교합치료양상에 관한 두부방사선 계측학적 비교연구 (A COMPARATIVE ANALYSIS OF CLASS II DIVISION 1 TREATMENTS : ADOLESCENTS CONTRASTED WITH ADULTS)

  • 강보선;양원식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247-261
    • /
    • 1995
  • 본 연구는 II급 1류 부정교합의 치료에 있어 치료전의 환자연령에 따른 부정교합치료의 양적 차이를 알아보고, Johnston analysis를 통해 협측 치열군의 교점이 어떤 방법으로 이루어지는지, 즉, 두개저에 대한 또한 상호간에 대한 상, 하악 각각의 성장양과 기저골에 대한 구치의 이동양을 측정하여 구치부의 교정이 어떻게 이루어지는지를 알아보고자 했으며 서울대학교병윈 치과진료부 교정과에 내원하여 II급 1류 부정교합으로 진단되어 상, 하악 제1소구치를 발치하여 치료를 받은 여자환자 52명중 치료전의 연령을 기준으로 성장기 아동군과 성인군으로 대별하여 치료전,후 두부방사선사진을 계측, 비교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치료전,후의 상악골의 전후방적인 위치변화에 대한 비교를 통해서 성장기 아동군과 성인군간의 유의한 차는 없었다. 그러나 하악골의 전후방적 위치변화에 있어서는 두 군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P<0.05) 2. 치료 전,후 수직고경의 변화에 있어, 성장기 아동군에서는 전안면고경, 후안면 고경, 하안면고경 등이 성장과 치료의 효과로 유의성있게 증가하였으며(P<0.001), 성인군에서는 유의성있는 변화가 없었다. 3. 치료전,후 교합평면의 변화에 있어, 성장기 아동군에서는 교합평면의 경사도의 유의성있는 변화가 발견되지 않았으나, 성인군에서는 교합평면의 경사도가 유의성있게 증가하였다. (P<0.05) 4. Johnston analysis를 이용한 분석으로, total molar correction의 양에 있어서 성장기 아동군과 성인군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P<0.05) 6. Johnston analysis를 이용한 분석에 의해 성장기 아동군에서는 total molar correction의 $63\%$가 하악골성장에 의해, $37\%$가 치아이동에 의해 이루어짐을 관찰했다. 성인군에서는 total molar correction의 $99\%$가 치아이동에 의해 이루어졌다.

  • PDF

성장기 II급 부정교합 환아의 기능성 악교정 장치의 치료 효과에 관한 연구 (Study of Functional Appliance for Treatments of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Class II Malocclusion)

  • 강힘찬;이고은;김미선;남옥형;이효설;김광철;최성철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7권3호
    • /
    • pp.235-247
    • /
    • 2020
  • 이 연구의 목적은 소아청소년에서의 2급 부정교합 치료에 사용되는 기능성 악교정 장치의 효과 및 치료 시기에 따른 효과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경희대학교 소아치과에 내원한 2급 부정교합환자 3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치료에 사용된 기능성 악교정 장치에 따라 군을 나누었다. 치료 시기에 따른 비교를 위하여 경추골 성숙도 방법을 이용하여 2개의 군으로 나누어졌다. 각 실험군은 치료 전(T0)과 치료 후(T1)의 측모두부방사선사진을 비교 분석하였다. 기능성 악교정 장치 중, Twin block과 Activator는 하악골의 길이(Co-Gn)와 하안모의 길이(ANS to Me)의 유의한 증가를 보였으며, overjet과 overbite의 유의한 감소를 보였다. 반면 Fränkel appliance를 이용한 환자에서는 상하악 간의 관계 및 overjet의 유의한 개선을 보였다. 최대성장기에 기능성 악교정 장치를 사용하였을 때 최대성장기 전에 사용한 것에 비하여 유의한 하악 길이의 증가, 상악과 하악간의 관계 개선, overjet의 감소, 하악 중절치의 순측 경사의 증가를 보였다. 이 연구를 통하여 2급 부정교합을 가진 소아청소년에서 기능성 악교정 장치의 효과를 검증하였으며, 최대성장기에 치료를 시행하는 것이 더 효과적인 것을 확인하였다.

측모두부 방사선사진을 이용한 골격성 II급 부정교합 청소년의 성장 단계별 상기도부의 계측 분석 (Pharyngeal Airway Dimensions in Skeletal Class II Young Adolescents : Cephalometric Study)

  • 천민경;양선미;김재환;김선미;최남기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5권1호
    • /
    • pp.98-108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소아 및 청소년의 성장단계별(성장급증기 이전, 성장급증기, 성장급증기 이후) 골격성 II급 1류 및 2류 환자의 비인후 및 구강인후 부위인 상기도부의 기도 폭경을 평가하기 위함이다. 골격성 I급 청소년을 대조군으로 하였다. 전남대학교 치과병원 소아치과에 내원한 소아 및 청소년환자 159명(골격성 I급 70명, 골격성 II급 1류 51명, II급 2류 3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측모두부 방사선사진과 수완부 방사선사진을 이용하여 성장단계별로 분류하였다(성장급증기 전, 성장급증기, 성장급증기 후). 상기도부의 해부학적 폭경을 측정하기 위해서 13개의 계측점, 5개의 계측각, 5개의 계측선, 3개의 비율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비인후 및 구강인후 부위의 전후방 폭경은 조사된 모든 그룹에서 성장과 함께 증가하였다. 부정교합에 따른 비인후 기도부위와 상부 구강인후 기도 부위 폭경의 통계적 차이를 밝히지는 못하였으나, 하부 구강인후 기도부의 전후방 폭경은 골격적 II급 부정교합군이 1급 부정교합군보다 더 좁게 나타났다.

청소년 및 성인 환자에서 II급 부정교합 치료시 연조직 변화에 관한 비교 (Comparison of Soft Tissue Changes between Adolescents and Adults in Class II Malocclusion Treatment)

  • 장나영;조진형;이유미;강경화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34권3호
    • /
    • pp.277-294
    • /
    • 2009
  • 본 연구의 목적은 II급 청소년, 성인 환자에서 발치와 비발치 후 연조직 변화를 비교하기 위한 것이었다. 원광대학교 치과병원 교정과에 내원한 환자 68명을 각각 청소년발치군, 청소년비발치군, 성인발치군, 성인비발치군으로 분류하여 치료 전후의 측모 두부방사선사진을 계측하였다. 각 군의 치료 전후를 비교하고 각 군 간의 변화량을 비교하였으며, 그 중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수들의 상관성과 회귀분석을 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청소년과 성인의 발치군에서 비순각은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비발치군에서는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발치군에서는 vertical-U1과 E line-upper lip의 변화량 간에, vertical-U1과 E line-lower lip의 변화량 간에, vertical-L1과 vertical-Li의 변화량 간에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또한 발치군에서 회귀분석을 통해 E line-upper lip, E line-lower lip, Li에 대한 단순회귀방정식이 도출되었다.

가정과 교육에서의 청소년문제 예방교육을 위한 기초 연구 (II) -청소년관련 신문기사분석을 통해 본 청소년 문화 - (A Study on the Preventive Education for Adolescents′s Problems in Home Economic Education (II) - Adolescents′Culture Analyzed with Newspaper Articles Concerning Adolescents -)

  • 배영미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131-144
    • /
    • 1998
  • The lack of characteristical understanding of the Home Economics Education will have difficulty in achieving the goal of the Home Economics Education. To allow the Home Economics Education class in school contribute toward the enhancement of the quality of life, it is inevitable to reinforce the recognition of the importance and necessity of the Home Economics Education and to newly propose a directional guidance forward the coming 21st centur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basic data for planners of the future Home Economics Education by surveying research administrators in charge of programming the overall school curriculum. This study was conducted under the following procedure to have the outcome as follows ; 1. Answers from respondents of age over 50 or careers over 16 years tended to grasp the goal of Home Economics Education in relation to the enhancement of quality of life rather than to the accumulation of knowledge, skill or capacity. 2. Of all the surveyed, 9.64% regarded Home Economics Education as an essential part of school education and the positive ratio was higher with younger respondents. 3. To the question asking if the high school Home Economics Education could have influence on one's capacity, 97.2% of the answerers said yes. The respondents with career under 15 year showed 100% of positive agreement in this matter and of age under 40 marked much higher ratio of 98.84% than the elders. 4. The overall recognition of the necessity for separate sections in Home Economics Education programmed in accordance with the 6th Revision of High School Curriculum displayed a considerably high ratio, with a little differences among age and job group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and understand adolescents'culture, thereby to provide fundamental information for Preventive Education for Adolescents'Problems in Home Economic Education. 745 articles collected in computer communication service were used for the analysis. The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cy and percentage using the SPSS/PC+computer program. The most important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 1) Concerning 'Adolescent's Problems's, problems such as violence, homicide and robbery were treated with the greatest frequency. It was also analyzed that the older generations are highly inclined to understand adolescents'culture as a negative one, for example, 'delinquency'or 'immaturity'. 2) Although the area of 'Adolescents'Education'was treated most frequently reflecting the high educational concern in our society, the significant part of those articles were on wrongful educational administration. As much as 70.6% of the articles analyzed were on 'Education'and 'Problems'. Thereby it may be concluded that the other areas such as health, activities, worries, values and harmful environments ere treated respectively as only a 'subculture'or'fragmentary culture'. The articles containing correlations and interactions among them and certain alternative proposals were very rare. 3) The areas such as 'Worries and Counselling'and 'Health'were occupying only a small portion of the articles. The articles which were treating the practical worries and their resolutions were even rarer. 4) 'Values'of the adolescents tended to be viewed by the older generations very negatively. It was also found that the older generations gave the tendency to see the 'consumption culture'of the adolescents as a kind of 'counter culture'or'subculture'.

  • PDF

양산시 14~16세 청소년의 전치부 외상 상태에 대한 조사연구 (A Study on the Status of Dental Trauma in 14 - 16 Year-Old Adolescents in Yangsan)

  • 김종수;김형준;김지연;정태성;김신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1권3호
    • /
    • pp.199-206
    • /
    • 2014
  • 치아외상은 현대사회에서 점차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어린이와 청소년에서 빈발한다. 그러나 치아외상의 위험성이 부각되고 있는 것에 반해, 이에 대한 국내 연구는 미미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청소년의 치아 외상 유병률을 조사하고 위험요인을 평가하며 외상에 대한 주관적 인지정도를 파악할 목적으로 시행되었다. 양산시 소재 중학교에 재학중인 청소년 1,371명을 대상으로 임상검사 및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임상검사 상 치아 외상 유병률은 16.8%로 남자(19.2%)가 여자(13.7%)에 비해 높게 나타났고(p < 0.05), 외상 병력이 있는 사람의 일인 당 평균 외상 치아 수는 1.34개였다. 치종 별로는 상악 중절치에서, 외상의 유형에 따른 분류에서는 법랑질 파절에서 가장 높은 비중을 보였다. Class II division 1과 8.0 mm 이상의 수평피개가 외상의 위험요인으로 판단되었다(p < 0.05). 설문조사로 드러난 본인의 외상 인지도는 임상 검사의 결과와 일치하지 않았고, 치아 외상으로 인한 치료 결과에 대하여 남자가 더 높은 만족도를 나타냈다(p < 0.05).

상악 제2대구치를 발거하고 치료한 성장기 II급 부정교합 환자의 치료전 특성 (Pretreatment characteristics of adolescents with Class II malocclusion treated by maxillary second molar extraction)

  • 김재형;김정일;임용규;이동렬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182-195
    • /
    • 2005
  • 본 연구의 목적은 성장기 el급 부정교합 환자에서 상악 제2대구치를 발거하고 치료한 증례와 비발거로 치료한 증례 중 비교적 양호한 결과를 얻은 증례들을 후향적으로 관찰하여 두 군간의 치료 전 측모 두부방사선 사진 상에서 골격성 치성, 연조직 특성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II급 구치 및 견치관계를 보이고 7mm 이하의 수평피개. 중등도 이하의 총생을 갖는 51명의 환자를 18명의 상악 제2대구치 발거 치료군과 33명의 비발거 치료군으로 분류하여 비교하였다. 두 군간의 비교는 t-검정법으로 시행하였고 판별분석을 통해 두 군을 판별해 주는 주요 항목들을 알아보았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골격성 특성 중, 전후방적인 계측 항목에서는 유의성 있는 차이를 보이는 항목은 없었으며 $AB-MP(^{\circ)$ $Na-Me(^{\circ})$, AVD (anterior vertical dimension, mm) 와 같은 수직적 계측 항목에서만 유의성 있는 차이를 보였다 (p<0.05). 치성 특성 중에서는 상하악 제1대구치의 위치 및 경사도와 관련된 항목 및 상악 제3대구치의 경사도에서 유의성 있는 차이를 보였으며 특히 발거군에서 상악 제1대구치의 교합평면 및 FH 평면에 대한 근심경사도가 더 컸다. 두 군 간에 유의성 있는 차이를 보이는 계측 항목들(U8-FH$(^{\circ})$는 제외)을 이용하여 발거군과 상악 제3대구치가 양호했던 비발거 증례군에 대해 증감 판별분석을 시행하였으며 그 결과 양 군을 판별하는데 기여도가 높은 항목은 U6-VRL(mm), $AB-MP(^{\circ)$으로 나타났다. 이 두 항목으로 이루어진 판별식을 도출한 바 본 연구에 이용된 발거군과 비발거군 증례들의 $78.4\%$를 정확히 분류해 낼 수 있었다. 또한 본 연구에 사용된 모든 계측 항목들(U8-FH$(^{\circ})$는 제외)을 이용하여 발거군과 비발거군에 대해 증감 판별 분석을 시행한 결과 U8-VRL(mm). $AB-MP(^{\circ)$, 그리고 $U7-FH (^{\circ})$가 양 군을 분별하는데 유의성이 있었고 이 세 항목들을 이용한 판별식을 통해서 $89.2\%$를 정확히 분류해 낼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