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ladocera

검색결과 39건 처리시간 0.024초

낙동강 중⋅하류에서 표층 시료와 수직 예망 시료의 동물플랑크톤 군집 구조 차이 비교 (Differences in Zooplankton Community Structure between Surface Water and Vertical Integrated Water in Middle and Down Stream of Nakdong River)

  • 김민석;박혜경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215-222
    • /
    • 2023
  • Zooplankton are primary consumers in the food web connecting primary producers and predators such as small fish, playing an important role in energy transfer in aquatic ecosystems. Therefore, it is essential to understand the zooplankton community structure in material cycle and energy flow in aquatic ecosystems. Zooplankton in large rivers with a low flow rate would distribute vertically as in lakes. In this study, we collected zooplankton by surface water filtration and vertical haul method with 64 ㎛-mesh plankton net at three stations (ND-1, ND-2, ND-3) in Nakdong River fortnightly from June 2018 to December 2019. Species composition and individual densities were analyzed. All three stations showed differences in relative abundance of zooplankton groups between surface water and vertical integrated water, with the largest difference shown in the deepest station, ND-2. In vertically integrated water at ND-2, the relative abundance of rotifera was low by a maximum of 25% and that of cladocera was high by a maximum of 22% compared to surface water sample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surface water filtration method is not enough to represent the community structure of zooplankton compared to the vertical haul method in large rivers.

기수산 물벼룩 Diaphanosoma celebensis의 안정 배양을 위한 배양 용기의 크기 선택 (Selection of Culture Scale for Stable Culture of an Estunrine Cladoceran Diaphanosoma celebensis)

  • 정민민;김형신;노섬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466-469
    • /
    • 1999
  • 전세계의 담수역에 널리 분포하는 Daphnia나 Moins와 같은 담수산 물벼룩은 잉어, 붕어, 금붕어와 같은 담수어의 종묘 생산과정에서 먹이 생물로서 널라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해산어의 종묘 생산 과정에서는 안정 배양, 대량 배양이 어렵다는 이유로 로티퍼나 알테미아 이외에 널리 이용되는 먹이 생물은 거의 없다. 이 연구에서는 해산 물벼룩보다는 비교적 배양이 용이한 기수산물벼룩 D. celebensis의 배양 용기의 크기가 안정배양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종 보존 배양 수준의 40ml 배양에서는 16일간의 배양 기간중 14일째에 최고 밀도가 3.416$\pm$0.396 ind./ml에 달하였다 1,500ml와 15,000ml의 준 대량 배양에서는 각각 배양 개시후 12일째와 21일 째에 14.2$\pm$2.122 ind./ml와 2.489$\pm$1.618 ind./ml의 최고 밀도가 관찰되었다. 그리고 실험 기간중 배양의 안정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실시한 세가지 배양 수량간 상대적 개체군 증식 지수 (RPGI)의 비교 결과에서는 1,500ml의 배양 용기에서 가장 안정적인 증식양상을 보였다. 뿐만 아니라, 매일 수확 가능한 기수산 물벼룩 D. celebensis의 개체수를 계산한 결과에서도 (possible harvesting number/ind./ml/day) 1,500ml의 배양 용기에서 가장 높은 3.567$\pm$0.607ind./ml/day가 수확 가능하였다. 한때 필요성에 의하여 담수산 물벼룩을 해산어의 종묘생산 과정에서 먹이생물로 이용한 시기가 있었다. 그러나, 앞으로는 기수산 물벼룩을 해수에서 배양하여 해산 자치어의 먹이생물로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Competitor density and food concentration: an empirical approach to elucidate the mechanism of seasonal succession of two coexisting Bosmina

  • Mano, Hiroyuki;Sakamoto, Masaki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36권4호
    • /
    • pp.267-271
    • /
    • 2013
  • To examine the density effect and food concentration in the competitive output of two Bosmina species, the population growths of Bosmina fatalis were investigated by manipulating the density of B. longirostris and the concentration of algae. The B. fatalis density did not increase in conditions with abundant B. longirostris regardless of the food concentrations. The B. fatalis increased only at low densities of B. longirostris with high food concentrations. Based on the current results, a possible mechanism underlying the seasonal shift from B. longirostris to B. fatalis in Japanese eutrophic lakes will be explored below.

The Vertical Distribution and Diurnal Migration of Cladocera, Evadne Nordmanii Loven at Different Stations in the Irish Sea.

  • Lee, Jong Wha
    • 한국해양학회지
    • /
    • 제9권1_2호
    • /
    • pp.1-9
    • /
    • 1974
  • The vertical distribution and diurnal migration of Evadne nordmanii has been studied at different stations in the Irish Sea. There are many reports that the migrations of planktonic animals tend to be hampered by thermoclines and haloclines. Physical and chemical factors were compared with vertical distribution and diurnal migrations of the animal. Evadne must be essentially an epiplanktonic form with the ability to endure strong light intensity. The animals generally migrated to the very surface layer from their shallow day strata with the decreased of light intensity. During the night their distribution seems rather random or even throughout all the layers, with a tendency to concentrate at the bottom layers, when the water was homogeneous physically and chemically. E. nordmanii may penetrate minor thermoclines and haloclines, but they may avoid chemically distinct waters or possibly currents.

  • PDF

The Field Observations on the Littoral Swarming of Cladocera (Scapholeberis kingi Sars 1903) and the Correlation with Environmental Factors

  • La, Geung-Hwan;Jeong, Hyun-Gi;Kim, Myoung-Chul;Kim, Hyun-Woo;Joo, Gea-Jae
    • 생태와환경
    • /
    • 제40권4호
    • /
    • pp.581-585
    • /
    • 2007
  • Swarm formation of Scapholeberis kingi Sars 1903 was observed in a shallow reservoir on 27 May 2007 (Dongpan Reservoir) for the first time. Dense swarms composed of asexual females, only occurred during daytime (13:00-17:00, local time) at the littoral zone. Correlation between density of S. kingi and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water temperature and density of juvenile fish were positively significant. Therefore, it is suggested that the swarming of S. kingi seems to be induced for predator avoidance than increase of mating chance, and water temperature may affect their swarming behavior.

The Resting Eggs of Marine Cladocerans in the Intertidal Sea-bottom Sediments of Gomso Bay, Korea: Distribution and Evidence of Egg Banks

  • Jo Soo-Gun;Park Jeong-Ok;Suh Hae-Lip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3권2호
    • /
    • pp.126-134
    • /
    • 2000
  • We investigated the distribution of the marine cladoceran resting eggs in the intertidal sediments of Gomso Bay, Korea and compared the data with those in the subtidal sediments. The abundance of the eggs in the top 6cm of the sediments was higher than that in the other depths. The abundances of the eggs in seaward intertidal sediments below mean sea level (MSL) were higher than those in the sediments over MSL, but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ose in the subtidal sediments. The distribution of the resting eggs of cladocerans in the intertidal sediments was affected by the grain-size and moisture content of sediments.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suggest that the intertidal sediments as well as the subtidal sediments are a potential egg bank which plays important roles in population dynamics of zooplankton in coastal waters, in particular, recruitment of eggs into plankton.

  • PDF

낙동강 본류의 어류상 (Fish Fauna of the Main Channel in the Nakdong River)

  • 조가익;주기재;장민호
    • 생태와환경
    • /
    • 제34권3호통권95호
    • /
    • pp.223-238
    • /
    • 2001
  • 낙동강 본류 및 지천을 중심으로 20개 지점에서 1999년 7월부터 2000년 12월까지 지점별 3${\sim}$7회에 걸쳐 어류상을 조사한 결과 총 17과 48종 4,791개체가 채집되었다. 잉어과 (25종: 상대풍부도 (RA), 91.8%)가 우점하였으며, Zacco platypus (RA: 18.0%)는 우점종으로 나타났으며, 아우점종은 Opsariichthys bidens (17.1%), Squalidus chankaensis tsuchigae (13.2%), Hemibarbus lab대 (9.9%), Z. temmincki (8.2%) 순으로 나타났다. 채집된 종중 한국고유종은 모두 12종으로 나타났다(4과, 1,172개체 , 24.5%). 외래도입종은 Carassius cuvieri (25개체), Micropterus salmoides (214개 체), Lepomis macrochirus (14개 체), Oreochromis niloticus (6개체) 등 4종이 채집되었다. M. salmoides는 낙동강의 중류와 하류부에 고루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집괴분석 결과 세집단으로 나뉘었으며, St. 10(구미)부터 하류집단에 포함되었다. 1990년대 후반 낙동강에 유입된 M. salmoides는 하류부에서 급격히 그 수가 증가하였다(하류 RA 8.8%). M. salmoides의 섭식은 Daphnia sp.가 일반적이었으며 (<100 mm), Cladocera (< 150 mm)와 Insecta (< 200 mm)는 특별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저수지화 성향을 띤 낙동강에서 치어 섭식이 동물플랑크톤 군집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Juvenile Fish Predation on the Zooplankton Community in the Large Regulated Nakdong River, South Korea)

  • 장광현;황순진;장민호;김현우;정광석;주기재
    • 생태와환경
    • /
    • 제34권4호통권96호
    • /
    • pp.310-318
    • /
    • 2001
  • 낙동강에서 치어섭식이 동물플랑크톤에 미치는 영향을 채집된 치어의 소화관조사를 통해 고찰하였다. 조사지역인 낙동강 하류 물금에서는 유량이 감소하고 수체가 정체되는 5월에서 6월사이 5종류의 치어가 높은 밀도를 나타내었다 같은 시기, 동물플랑크톤 군집내에서는 대형윤충류인 Asplanchna spp.와 Brachionus spp., 지각류인 Moina micrura 및 Bosminopsis deitersi의 밀도가 큰 폭으로 감소하였다. 반면, Polyarthra속의 소형윤충류는 최대 밀도를 나타내었다. 채집된 치어의소화관 조사 결과, 15 mm이하의 치어는 대형윤충류 및 지각류를, 15mm 이상의 치어인 경우 지각류를 선택적으로 섭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큰입배스의 치어의 경우, 같은 시기 채집된 치어에 비해 대형이었으며 동물플랑크톤 뿐 아니라 다른 치어를 포식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조사 결과, 이시기의 낙동강 동물플랑크톤 군집내의 대형 윤충류와 지각류의 급격한 밀도 감소는 치어의 섭식으로 인한 것으로 사료된다. 반면, 이러한 밀도감소는 치어의 수가 감소함에 따라 회복되는 경향을 보였다. 부영양화된 낙동강의 경우 배스치어의 섭식으로 인한 치어밀도의 급속한 감소, 풍부한 먹이농도 등이 감소한 지각류의 밀도회복을 유도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진해만 수질 환경과 동물플랑크톤 군집 및 요각류 분포 특성 (Zooplankton Community and Distributions of Copepods in Relation to Eutrophic Evaluation in Chinhae Bay)

  • 강영실;박주석;이삼석;김학균;이필용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415-430
    • /
    • 1996
  • 진해만 해역에 분포하는 동물플랑크톤 군집 및 지표성 요각류의 시공간적 변동을 연구하였으며 이들의 변동양상과 해양 환경과의 관계를 밝혔다. 동물플랑크톤과 수온, 염분 그리고 화학적 산소요구량 (COD)을 진해만내 7개의 정점에서 1993년 2~9월에 매월 1회씩 조사하였다. 동물플랑크톤은 NOR-PAC net로 수직채집하였다. 염분은 8월과 9월에 30.00‰ 이하로 급격히 낮아졌으며 COD는 8월과 9월에 다른 조사월에 비해 월등히 높았다. COD는 만입구에서 만내로 가면서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으나 염분과 동물플랑크톤 출현량은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특히, 진동만에서 COD가 높았으며, 염분과 동물플랑크톤 출현량은 낮았다. 동물플랑크톤은 총 7~14개 군이 출현하였으며, 이중 Noctilura scintillans가 평균 90.6‰ 의 조성률로써 최우점 동물군이였으며 이외에 지각류 (Cladocera)와 요각류 (Copepoda)가 우점종으로 나타났다. 요각류는 월별로 총 6~10개 종이 출현하였으며, 3월과 9월을 제외한 전 조사월에 Acartia emorii와 Acartia hudsonica가 주요 우점종이었다. 다양도는 만 입구에서 만내로 가면서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으며, 2월에 가장 낮고 7월에 가장 높았다. 집괴분석결과 2~4개의 해역으로 대별되었다. 만입구에서 만내로 가면서 해역이 나뉘어졌으며, 조사월에 따라 칠천도~거제도간 해역과 진동만 해역이 다른 군집상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만입구 해역인 해역 I은 난류외양수의 영향을 밟는 해역이며, 해역 II는 해역 I보다는 외양수의 영향을 적게 받는 해역인 것으로 나타났다. 해역 III, IV는 주변의 육상환경에 크게 영향을 받는 해역인 것으로 밝혀졌다.

  • PDF

표준생태독성시험법 개발을 위한 한국산 물벼룩의 최적 사육수 선발 (Selection of Optimal Culture Media for Developing Standard Ecological Toxicity Test Methods using Korean Freshwater Cladocera)

  • 김병석;박연기;박경훈;김진경;신진섭;김진화;윤성명;안용준
    • 농약과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189-195
    • /
    • 2006
  • 본 연구의 목적은 대표적인 한국 담수산 물벼룩을 대상으로 농약의 생태영향을 평가하기 위한 표준 시험법을 개발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국내환경에서의 대표성, 실내사육가능성 및 독성시험에 적합한 크기 등을 고려하여 선발된 4종의 한국산 물벼룩(Daphnia sp., Daphnia obtusa, Moina macrocopa, Simocephalus vetulus)과 국제표준종인 Daphnia magna를 대상으로 실내사육에 적합한 최적 사육수를 선발하고자 하였다. 국내산 물벼룩은 사육수의 경도가 $80{\sim}100$ mg $L^{-1}(CaCO_3)$인 hard water와 $40{\sim}48$ mg $L^{-1}(CaCO_3)$인 soft water 에서 가장 우수한 생육을 보였으나, 우리나라 강물의 경도가 $60.2{\sim}127.2$ mg $L^{-1}(CaCO_3)$의 범위에 있는 점과 칼슘부족이 동물성플랑크톤 갑각류의 종 번식과 군집구조에 중대한 결정요소인 점을 감안하여 우리나라 물벼룩의 실내사육을 위한 최적 사육수로 경도가 $80{\sim}100$ mg $L^{-1}(CaCO_3)$인 hard water를 추천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