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l

검색결과 13,564건 처리시간 0.048초

염스트레스가 담배식물의 광합성, proline 및 이온함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alt Stress on Photosynthesis, Free Proline Content and Ion Content in Tobacco.)

  • 이상각;신주식;석영선;배길관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215-219
    • /
    • 1998
  • 본 실험은 담배의 염스트레스에 대한 생장특성 및 생리적반응을 구명하기 위하여 NaCl을 농도별로 처리하여 시험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NaCl농도가 높아질수록 생장은 크게 억제되었으며, 90mM의 지상부/지하부율이 약 2.0이하에서 생육형질이 크게 감소하여 생리적인 제한농도로 나타났다. 광합성량, 증산량 및 수분이용효율은 NaCl농도가 높아질수록 감소하였으며, 광합성량은 60mM에서 대조구의 50%의 감소로 염해에 민감하게 반응하였으며, 증산량과 수분이용효율은 처리농도간에 큰 차이는 없었다. 잎수분포텐셀은 염농도의 증가에 따라 낮아졌으며 30mM에서 대조구의 2배로 낮아졌으며 처리농도간에는 120mM에서 크게 감소하였다. Proline함량은 NaCl농도가 높아짐에 따라 120mM가지는 일정하게 증가하다가 150mM에서 감소하였다. NaCl농도에 따라 $Ca^{2+}$, $Mg^{2+}$, $K^+$의 함량은 90mM까지는 증가하였고, 120mM이상에서는 감소하였다. $K^+$은 염농도의 증가에 따라 완만히 증가하다가 150mM이상에서 급격히 증가하였다. $Cl^-$은 염농도의 증가에 따라 30mM의 일시적 증가외는 처리간의 차이는 없이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K^+/Na^+$율은 염농도가 높아질수록 감소하였으며 90mM의 1.0이하에서 세포내의 항상성이 유지되는 농도로 나타났다. $K^+$$Na^+$함량과는 부의 상관을, $K^+/Na^+$율과 단백질함량과는 정의 상관을 나타냈다.

  • PDF

지하수의 Br : Cl 함량비를 이용한 울산지역 해수침입 연구 (Study on the Possibility of Seawater Intrusion in the Ulsan Area Using Br : Cl Weight Ratios of Groundwater)

  • 조병욱;이병대;윤욱;임현철
    • 자원환경지질
    • /
    • 제36권5호
    • /
    • pp.339-347
    • /
    • 2003
  • 울산광역시에 대한 해수침입 가능성을 171개 지하수 수질분석 자료를 이용하여 연구하였다. 연구지역에서 Cl의 함량이 높은 지역은 남구의 태화강 주변 저지대로서 최대 11,300 mg/L이고, 동구 해안일대는 지질학적 특성 때문에 상당히 낮은 Cl 함량을 보인다. Cl의 함량이 낮을수록 해수의 Br:Cl 함량비인 $34.7{\times}10^{-4}$에서 크게 벗어나지만, Cl의 함량이 100 mg/L 이상인 지하수는 해수의 Br:Cl 비인 $34.7{\times}10^{-4}$에 근접함을 보인다. 171개 지하수 중 Cl의 함량이 500 mg/L이상 되는 11개 시료의 Cl, Br, K, Na의 조성비는 해수와 비슷하나, Ca, Mg, $SO_4$, $HCO_3$, $SiO_2$의 조성비는 해수와 다르다. Cl함량이 500 mg/L 이상인 11개 지하수 시료의 Na/Cl 몰비는 0.35∼2.08의 범위이며(해수 0.75), Ca/Cl 몰비는 0.001∼0.20의 범위(해수 0.02), Mg/Cl 농도비는 0.001∼0.22의 범위(해수 0.09)를 보인다. 따라서 현재 태화강 일대 지하수의 Cl 함량이 높은 것은 해수침입보다는 과거 도시화 이전 충적층에 축적되어 있었던 염분이 고립되어 나타나는 현상으로 추정되며, 이 염분의 농도는 지하수 유출량보다는 유입량이 더 많은 도시지역 지하수 시스템을 고려할 때 시간이 지남에 따라서 점점 낮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1,4,8,11-테트라아자사이클로테트라데칸의 높은 스핀 다섯배위철(II) 착화합물과 1,5,8,12-테트라아자도데칸의 높은 스핀 여섯배위철(II) 착화합물의 합성 (Preparation of High Spin Five-Coordinate Iron(II) Complexes of 1,4,8,11-Tetraazacyclotetradecane and High Spin Six-Coordinate Iron(II) Complexes of 1,5,8,12-Tetraazadodecane)

  • 백명현
    • 대한화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39-145
    • /
    • 1980
  • 마크로사이클리간드인 1,4,8,11-테트라아자사이클로테트라데칸 (cyclam)과 비환형 리간드인 1,5,8,12-테트라아자도데칸 (3,2,3-tet)의 높은 스핀철(Ⅱ) 착화합물이 합성되었다. 낮은 스핀인 $[Fe(cyclam)(CH_3CN)_2](ClO_4)_2$는 메탄올속에서 염소이온과 반응하여 높은 스핀인 $[Fe(cyclam)Cl]ClO_4$를 생성한다. $[Fe(cyclam)(CH_3CN)_2](ClO_4)_2$는 낮은 스핀이지만 $[Fe(3,2,3-tet)(CH_3CN)_2](ClO_4)_2$는 높은 스핀을 가지며 이 차이는 비환형 리간드가 환형 리간드보다 압축효과가 작은 것으로 설명된다. $[Fe(cyclam)Cl]ClO_4$의 합성은 마크로사이클리간드가 불포화되어 있거나 치환체가 있어야 높은 스핀 다섯배위철(II) 착화합물의 합성이 가능하다는 지금까지의 전해에 반대되는 증거가 된다. $[Fe(cyclam)Cl]ClO_4$$[Fe(3,2,3-tet)(CH_3CN)_2](ClO_4)_2$는 일산화탄소와 반응해서 각기 낮은 스핀 여섯배위인 $[Fe(cyclam)Cl(CO)]ClO_4$$[Fe(3.2,3-tet)(CH_3CN)(CO)](ClO_4)_2$를 만든다.

  • PDF

염화(鹽貨)구리와 염화철(鹽貨鐵) 혼합용액(混合溶液)의 조성(組成)이 pH와 용액전위(溶液電位)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 of Composition on the pH and Solution Potential of Mixed Solutions of Copper and Iron Chloride)

  • 이만승;손성호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17권6호
    • /
    • pp.17-23
    • /
    • 2008
  • 염화 제 2철용액에 의한 구리황화광의 침출액을 모사하기 위해 $FeCl_3$-$FeCl_2$-$CuCl_2$-CuCl-NaCl-HCl-$H_2O$의 조성을 지닌 합성용액을 제조하였다. 합성용액에서 염화철과 염화구리의 농도를 0.1에서 1 m까지 변화시키며 성분의 농도변화에 따른 $25^{\circ}C$에서 용액의 pH와 전위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염산의 농도가 일정한 조건에서 CuCl의 농도를 증가시키면 용액의 pH는 증가하였다. 그러나 염산과 CuCl의 농도가 일정한 조건에서 다른 용질의 농도를 증가시키면 수소이온의 활동도계수가 증가하면서 용액의 pH는 감소하였다. CuCl의 농도를 증가시키면 염화 제 1구리이온이 안정해지는 방향으로 반응이 진행하나 $FeCl_3$은 반대의 효과를 나타냈다.

NaCl Stress에 따른 보리 유묘의 생육특성 및 세포학적 반응 (Growth and Histological Characteristics of Barley (Hordium vulgare L.) Seedling to NaCl Stress)

  • 조진웅;김충수;이석영;박기선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335-340
    • /
    • 1998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morphological responses of barley seedlings to NaCl stress and to investigate histological changes of cells with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TEM) after NaCl stress. Plant height and root length of 10-day old barley seedlings with NaCl stress were reduced and inhibition level was found to be more severe in the plant height than in the root length. The leaf length, leaf width and leaf area were shorter as well with NaCl stress than without NaCl stress. However,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number of roots between NaCl treatments. The weight of dry matter decreased at higher NaCl concentrations, especially at 100mM NaCl. The water content of shoots tend to decrease at higher NaCl concentrations, but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water content of roots, The reduced sugar content was greatly increase than starch. Cellulose content was higher in NaCl stressed-plant than control, and tended to decreased at higher NaCl concentrations. Lignin content also decreased NaCl stressed-plant but there was no tendency at NaCl stress concentrations. Electric conductivity of cell sap with seedlings was high with NaCl stressed-plant. Amount of cell sap gradually increased with time in the roots than in the shoots, The grana of chloroplasts was changed by 150mM NaCl concentration. The christe of mitochondria in root meristematic sells ruined in structure and cell wall of leaf and root was also ruined by NaCl stress.

  • PDF

유도결합 $Cl_2$$HBr/Cl_2$ 플라즈마를 이용한 STI용 실리콘 Shallow trench 식각공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ilicon shallow trench etch process for STI using inductively coupled $Cl_2$ and TEX>$HBr/Cl_2$ plasmas)

  • 이주훈;이영준;김현수;이주욱;이정용;염근영
    • 한국진공학회지
    • /
    • 제6권3호
    • /
    • pp.267-274
    • /
    • 1997
  • 고밀도 유도결합 $Cl_2$ 및 HBr/$Cl_2$ 플라즈마를 이용하여 차세대 반도체 집적회로에 사용가능한 STI(Shallow Trench Isolation)구조에서 trench 식각시 trench etch profile 및 격자손상에 영향을 미치는 공정변수의 효과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식각결과 $Cl_2$만을 사용한 경우에는 trench 식각공정 동안 화학적 측면식각의 증가로 인하여 등방성 식각이 얻어지고 이는 유도입력 전력이 증가하고 바이어스 전압이 감소함에 따라 이의 경향이 증가하였다. 측면식각의 정도는 $Cl_2$$N_2$$O_2$의 첨가에 따라 감소하였다. 순수 HBr을 사용한 경우에 있어서는 Br 라디칼이 Cl 라디칼에 비하여 자발적인 실리콘 식각의 민감도가 감소하여 positive angle의 식각형상이 얻어졌으며 HBr내에 $Cl_2$의 증가에 따라 이방성 식각이 얻어졌 다. 물리적인 격자손상을 투과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 <$Cl_2/N_2$및 HBr을 함유한 식각가 스를 사용한 경우에 trench표면에서 결함이 관찰되었다.

  • PDF

NaCl 함량에 따른 내염성 느타리버섯 선발과 재배적 특성 (Cultural characteristics and selection of saline tolerant Pleurotus ostreatus at different NaCl concentration medium)

  • 최종인;지정현;하태문;주영철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65-70
    • /
    • 2005
  • 국내의 NaCl 함유한 부존자원중 버섯배지화 하기 위하여 내염성 느타리버섯 균주를 선발하고, 선발된 균주를 NaCl 함유 톱밥배지에서 재배하여 생장 및 형태적 특성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가. 느타리 버섯 64품종중 NaCl이 3% 첨가한 PDA 배지에서 김제 10호, 농기2-1호, 명월, 병느타리1호, 부평소엽1호, 삼복, 춘추2호 등이 다른품종에 비해 균사생장 및 균사밀도가 양호하였다. 나. 명월은 NaCl 0.5%, 김제10호, 부평소엽1호는 1.0%, 농기2-1호, 병느타리1호, 삼복, 춘추느타리 2호는 1.5%까지 자실체 형성이 가능하였다. 다. 톱밥배지에서 염농도가 높아질수록 배양기간이 길어졌으며 대가 짧아지고 가늘어졌으며 수량이 감소했다. 라. 배지내에 NaCl 함량이 높아질수록 버섯의 $K_2O$, CaO 흡수능은 감소되었으며 자실체내의 NaCl함량은 배지내 NaCl농도가 높을수록 증가하였다.

  • PDF

$BCl_3/Cl_2/Ar$ 고밀도 플라즈마에 의한 $(Ba, Sr)TiO_3$ 박막의 식각 메커니즘 연구 (A Study on the Etching Mechanism of $(Ba, Sr)TiO_3$ thin Film by High Density $BCl_3/Cl_2/Ar$ Plasma)

  • 김승범;김창일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SD
    • /
    • 제37권11호
    • /
    • pp.18-24
    • /
    • 2000
  • (Ba,Sr)$TiO_3$ 박막은 ULSI-DRAM 즉 1-4 Gbit급 DRAM용 셀(cell) 커패시터의 새로운 유전물질로 각광받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ICP 장비에서 $BCl_3/Cl_2/Ar$ 플라즈마로 (Ba,Sr)$TiO_3$ 박막을 식각하였다. 이때 RF power/dc bias voltage는 600W/-250V, 반응로의 압력은 10mTorr 이었다. $Cl_2/(Cl_2+Ar)$은 0.2로 고정하였고, $BCl_3$ 가스를 첨가하면서 (Ba,Sr)$TiO_3$ 박막을 식각하였다. $BCl_3$ 가스를 10% 첨가하였을 때, $480{\AA}/min$으로 (Ba,Sr)$TiO_3$ 박막은 가장 높은 식각 속도를 나타내었다. $Cl_2/Ar$가스에 $BCl_3$의 첨가 비에 따른 Cl, BCl 및 B의 라디칼 밀도를 optical emission spectroscopy(OES)에 의해 구하였다. $BCl_3$를 10% 첨가하였을 때 Cl의 라디칼 밀도가 가장 높았다. (Ba,Sr)$TiO_3$ 박막의 표면반응을 규명하기 위하여 XPS 분석을 수행한 결과 이온 bombardment 식각이 Ba-O 결합을 파괴하고 Ba와 Cl의 결합형태인 $BaCl_2$을 제거하기 위하여 필요하다. Sr과 Cl의 결합의 양은 많지 않고, Sr은 주로 물리적인 스퍼터링에 의하여 제거된다. Ti와 Cl은 화학적으로 반응하여 $TiCl_4$ 결합형태로 용이하게 제거된다. 식각후 단면사진을 SEM을 통해 본 결과 식각단면이 약 65~70$^{\circ}$ 정도였다.

  • PDF

유기-티탄화학 (제2보). Dichlorodiacetatotitanium (IV) 여러 알콜과의 가용매반응 (Organotitanium Chemistry II. Solvolytic Reaction of Dichlorodiacetatotitanium (IV) with Various Alcohols)

  • 이후성;어용선;손연수;최규원
    • 대한화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174-181
    • /
    • 1973
  • 이클로리도비스아세테이토 티탄(IV)은 알콜에 녹을 때 화학반응을 일으킨다. $TiCl_2(OAc)_2$의 이러한 가알콜분해 반응을 여러 형태의 알콜에 대하여 반응 용액의 핵자기 공명스펙트럼과 분리된 반응 생성물의 화학분석결과 등을 이용하여 완전히 구명하였다. $TiCl_2(OAc)_2$와 1급 알콜과의 반응은 다음과 같은 2단계의 리간드 치환반응이 정량적으로 일어남을 알았다. $TiCl_2(OAc)_2+ROH{\to}TiCl_2(OAc)_2(OR)+AcOH$, $TiCl_2(OAc)_2(OR)+ROH{\to}TiCl_2(OAc)_2+AcOH$ 또한 $TiCl_2(OAc)_2$가 알콜에 녹을 때 최초의 가용성 분자 형태는 $TiCl_2(OAc)(OR)$임을 알 수 있었다. 3급 알콜과의 가알콜분해 반응은 1급 알콜때와는 상당히 다름을 알 수 있었다. 즉 3급 부칠 알콜과 $TiCl_2(OAc)_2$의 몰비가 1:2이하인 경우에는 다음과 같은 치환 반응만 선택적으로 일어난다. $TiCl_2(OAc)_2+t-ButOH\toTiCl_2(OAc)_2+t-ButCl$그러나 위의 몰비가 1:2이상이 되면 이러한 반응과 병행하여 1급 알콜과의 첫단계 반응과 똑같은 형의 치환 반응이 경쟁적으로 일어남을 발견하였다. 3급 알콜과의 반응이 1급 알콜과의 반응과 또 다른 점은 $TiCl_2(OAc)_2$중의 두 개의 클로리도리간드 또는 두 개의 아세테이토리간드 중 하나만이 3급 부칠알콜의 OH또는 t-ButO기와 치환된다는 사실이다.

  • PDF

Study of the Effects of Sodium Chloride on Segregation-Distorter Action in D. melanogaster: 4. Treatment of Sodium Chloride on the Pupal Stages

  • Chung, Yong-Jai;Kang, Moon-Ju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125-131
    • /
    • 1971
  • 초파리의 번데기 시기에 NaCl을 처리하였을때 우활율과 SD작용에 변동이 있는가를 보기 위하여 6가지 계통, 즉 SD 계통 4가지와 다른계통 2가지를 써서 6가지 농도의 NaCl사육배지를 만들어 실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우화율(즉 NaCl에 대한 저항성)은 계통간이나 NaCl의 농도간이나 다같이 매우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고 있다. 2. 우화율은 NaCl 농도가 높을수록 낮아지는 경향이 있으며, 이 저하는 완만한 편이고 발생의 각 단계중에서 번데기 시기가 NaCl의 영향을 가장 적게 받는다. 3. SD계통의 우화율은 다른 계통에 비하여 대체로 낮은 편인데, 이것은 SD계통이 NaCl에 대한 저항성이 다른 계통에 비하여 약한 것을 말한다. 4. SD작용의 척도라고 볼 수 있는 k 값은 NaCl의 농도간에 유의한 차가 없으나 계통간에는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고 있으며, Original-SD 계통의 k값은 Recombinant-SD계통의 k값보다 높고 또한 안정성을 나타내고 있다. 5. NaCl은 SD작용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며 발생의 어느 단계에 NaCl을 처리하거나 관계없이 일단 우화만 되면 SD작용에는 변동이 없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