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City bus

검색결과 292건 처리시간 0.021초

중앙부 버스 정류장의 이미지와 시각적 선호에 관한 연구;서울시를 중심으로 (Image and Visual Preference of the Median Bus Stops;Focusing on Seoul City)

  • 권니아;임승빈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85-95
    • /
    • 2008
  • 본 연구는 중앙버스전용차로시행에 따라 등장한 중앙부 버스 정류장이 가지는 시각적 이미지와 선호도, 주변 환경과 의 관계성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중앙부 버스 정류장이 위치하는 대상지를 달리하여 그에 대한 경관평가를 시행하고 그 차이를 알아보았다. 중앙버스전용차로제가 시행되고 있는 서울시내 간선 도로 중 각기 다른 환경의 중앙부 버스 정류장을 대표할만한 간선도로 하정로, 한강로, 강남대로의 3곳을 선택하였으며, 대상지의 조건은 소폭가로, 도심 내 광폭가로, 도심 외곽부의 광폭가로였다. 각각의 대상지는 중앙부 버스 정류장이 있는 기존경관, 중앙부 버스 정류장에 수목을 식재한 경관, 중앙부 버스 정류장을 삭제한 경관으로 시뮬레이션하여 경관평가를 시행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앙부 버스 정류장이 가지는 시각적 영향은 중앙부 버스 정류장이 위치하는 가로 환경의 시각적 복잡성 정도에 따라 달라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각적 복잡성이 낮은 지역에서는 중앙부 버스 정류장에 대한 선호도가 높았으나, 시각적 복잡성이 높은 지역에서는 중앙부 버스 정류장에 대한 선호도가 낮았다. 둘째, 중앙부 버스 정류장이 위치하는 지역적 환경에 상관없이 삭제경관보다는 중앙부 버스 정류장이 있는 기존경관과 중앙부 버스 정류장에 수목이 식재된 경관이 더 인상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중앙부 버스 정류장에 수목이 있는 것이 없는 것보다 선호도가 높았으며, 심리적으로 편안함을 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과 같은 결과를 감안하면 추후 계획되는 중앙부 버스 정류장에서는 인상적인 가로경관의 조성과 경관미 추구를 위해 수목을 식재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생각된다.

Levenberg-Marquardt알고리즘을 이용한 시내버스 지연요소 추정 (Estimation of City Bus Delay Element using Levenberg-Marquardt)

  • 이진우;이현미;이현수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2권3호
    • /
    • pp.493-498
    • /
    • 2017
  • 최근 국내 외에서 버스운행의 효율화 및 D2D(: Door to Door)서비스, 대중교통의 자율주행을 위해 교통데이터를 분석하여 다양한 분석결과를 도출해내고 있다. 하지만 대중교통, 특히 버스 지연시간의 예측을 위해 다양한 연구가 수행되고 있으나 단순분석, 데이터 취득의 한계로 현재까지의 연구는 미흡한 상태이다. 본 연구에서는 버스의 운행정보를 기반으로 요일, 날씨, 시간대 등의 데이터를 추가적으로 수집 가공하여 지연시간 추정을 수행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방법은 향후 변수를 추가하여 정확도를 향상시킴으로써 자율주행 대중교통 및 대중교통 관제시스템에 활용이 가능하다.

버스정보안내기 이용요인 및 활성화 방안에 관한 실증연구 : 부산광역시를 중심으로 (An Empirical Study on the Factors to Affect a BIS Use and Its Vitalization Plan : Busan Metropolitan City)

  • 김순자;홍순구;차윤숙;김종원
    • 한국IT서비스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1-14
    • /
    • 2013
  • The government has implemented operating the bus information terminal (hereinafter, 'BIT') to use by building it at a major bus station to solve the problem of traffic congestion. Busan Metropolitan City has been continuously expanding the installation of 'BIT' since 2003. However, there are few research on the factor to use and satisfaction survey on 'BIT' from the perspective of the users. This study, in an effort to inquire into the 'BIT' utilization factor and its vitalization plan, conducted a face to face survey of 172 citizens who had the experience in the 'BIT'. The result of the data analysis showed that usability, convenience, and availability were the critical factors for a BIT use. In addition, the general intention to use 'BIT' was found to be very high as much as 90.7%. The contribu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academic contributions is that it proved the relationship between usability, convenience and the intention to use suggested by the information technology acceptance model is supported even in case of 'BIT.' For the practitioners this study provides ground data for a local government to make a plan of a BIT extension.

대중교통 환승통행량 영향요인 분석: 대구시를 대상으로 (Analyzing Factors Affecting Public Transit Transfer Volume: Focused on Daegu City)

  • 황정훈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179-186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대구시의 지하철과 버스간의 환승통행을 대상으로 환승통행특성을 분석하고 또한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버스와 지하철간의 환승통행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여 이를 통한 대중교통환승센터에서 보다 많은 환승통행량이 처리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모색하였다. 그 결과 환승시간은 환승통행량과 반비례하는 반면, 연계버스 노선수, 지하철역의 공간적 위치, 버스노선의 연계지수는 비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표준화계수로부터 지하철역과 연계되는 버스노선의 특성을 반영한 버스노선의 연계지수가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Bus-tie application scheme of 154 kV class SFCLs in Korean power systems

  • Lee, Seung-Ryul;Yoon, Jae-Young;Park, Jong-Young;Lee, Byong-Jun
    • 한국초전도ㆍ저온공학회논문지
    • /
    • 제11권4호
    • /
    • pp.29-32
    • /
    • 2009
  • This paper proposes the bus-tie application scheme of 154 kV SFCL (superconducting fault current limiter) in Korean power system. The reduced amount of fault current by SFCL is different by where the SFCL is installed. Therefore the inflow ratio of fault current (IRFC) is suggested to consider the effect of an SFCL's location. The proposed scheme was applied to the Korean Power System of 2010, and fault currents were calculated and analyzed with this coefficient. Simulations show that the location with high IRFC is adequate to install SFCL but more consideration of other things is required to determine the location and capacity of SFCL.

시간거리 변화에 따른 한국 도시간 통행흐름의 구조 변화: 고속버스와 철도 이용객을 중심으로 (Structural Changes in the Korean Inter-City Passenger Flows Caused by Time-Distance Changes: Based on the Passengers of Express Bus and Railroad Systems)

  • 정미선;이금숙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50권5호
    • /
    • pp.527-541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시간거리를 크게 단축시킨 고속철도 도입으로 우리나라 도시간 통행흐름에 나타나는 변화를 파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도시간 통행을 담당하고 있는 대표 운송수단인 고속버스와 철도의 운송실적을 바탕으로 고속철도 개통 이전과 이후 각 운송수단의 도시간 통행흐름에 나타나는 변화를 분석한다. 먼저 중력모형을 적용하여 시간거리 매개변수에 대한 운송수단별 도시간 통행량의 관계 변화를 파악한다. 분석결과 고속버스를 이용하는 도시간 통행은 철도에 비해 시간거리에 덜 민감하며 고속철도 도입 이후 그 경향은 더 강화되는 경향을 보인다. 그러나 일반철도를 이용하는 도시간 통행은 시간거리에 좀 더 민감하게 반응하며 고속철도 도입 이후 그 경향은 더욱 강화되어 일반철도를 이용한 장거리 통행량은 점점 더 감소한다. 반면 고속철도를 이용한 도시간 통행량은 장거리 일수록 오히려 증가하는 추세를 보여 중력모형과는 상치되는 양상을 보인다. 더불어 교통인프라의 변화로 나타나는 운송수단별 통행흐름의 공간구조에 나타나는 변화를 파악하기 위하여 MST(Maximum Spanning Tree)기법을 적용하여 각 시점의 운송수단별 허브구조를 비교분석한 결과 고속버스와 일반철도를 이용한 통행흐름은 시간이 경과하면서 계층 수가 늘어나는 변화를 보이지만 고속철도의 경우는 2010년 까지도 서울과 부산을 1차위의 Hub로 하는 단순 계층구조를 나타낸다.

  • PDF

연계버스 서비스권역 결정에 관한 연구 (A Development of an Optimal Feeder-Bus Service Area)

  • 이성모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199-211
    • /
    • 1995
  • 본 연구는 대중교통 활성화에 초점을 맞추어 대중교통의 주축을 이루고 있는 지하철과 버스를 중심으로 연계버스 서비스 권을 설정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연계권역설정은 지하철과 버스의 상호보완적 체계를 이루어 도시체계의 비용손실을 최소화하는데 그 목적이 있으며, 이는 지하철을 중심으로 첨두시 향도심성 대중교통이용자들이 버스로 직접 도심통행시와 인접지하철역까지 버스를 이용하여 환승으로 도심통행시의 편익을 감안한 모형과 그 해법을 제시하였으며, 권역구획은 범용 GIS Package의 IDRISI를 이용하였다.

  • PDF

시티투어 서비스 만족도가 재이용의사에 미치는 영향분석: 수원 시티투어 중심으로 (The Impact of City Tour Satisfaction for the Intention of Re-visit)

  • 김숙희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86-97
    • /
    • 2018
  • 시티투어는 도시의 다양한 역사 문화와 같은 관광자원을 외부 관광객에게 짧은 시간에 알리고, 도시의 이미지 제고에 크게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도시 홍보에도 크나큰 기여를 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수원시를 방문하는 관광객이 수원시를 재방문하거나 주변지인에게 추천하는데 가장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 이용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 하였다. 시티투어 서비스 만족도는 재이용의사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연구가설을 설정하고 구조방정식 모델을 구축하여 검정하였다. 최종모형의 적합도는 통계적 기준에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분석결과 가이드만족도는 0.555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고(p<0.01), 시티투어 운영만족도는 0.203로 5% 유의수준에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버스시설만족도 0.118, 홍보 및 친절만족도 0.178로 정(+)의 값으로 나타났지만 시티투어 재이용의사와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시티투어 서비스 만족도는 재이용의사 및 추천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가이드만족도가 높을수록, 시티투어 운영만족도가 높을수록 시티투어 재이용의사 및 이용 추천의사가 높은 것으로 도출되었다. 연구의 결과는 향후 각 지자체가 운영하고 있는 시티투어 활성화 정책에 유용하게 활용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시내버스 정류소 정차 특성 분석을 통한 정류소 환경 정비 방안 (Bus Stop Design Guide by Identif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Bus Stopping Behaviors and Bus Stop Conditions)

  • 강인구;신강원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9권1호
    • /
    • pp.55-61
    • /
    • 2019
  • 시내버스 승 하차 시 교통사고를 줄이고 좀 더 편리한 시내버스 이용 환경 구축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서는 시내버스의 버스 정류소(Bus Stop) 정차 특성이 정류소 및 정차면 환경과 어느 정도의 연관성을 갖는지를 파악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부산광역시 전 노선을 대상으로 정차면 정위치 정차 준수 유무를 조사하고 주요 간선축인 중앙대로에 위치한 31개 정류소의 운영 현황과 정차면 정위치 정차 유무의 연관성을 분석하여 시내버스 정류소 및 정차면 환경 정비 방안을 제시하였다. 중앙대로 상 정류소 조사 결과 정차면 정위치 정차 준수율은 45.82 %로 나타났으며, 정차면 정위치 준수 유무는 정류소 및 정차면 환경과 어느 정도 연관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정차면 정위치 정차 유도를 통한 교통사고 감소와 편리한 시내버스 이용 환경 구축을 위해서는 정차면 구역 앞 선의 적정 위치 설정, 15 m 이상의 정차면 길이 설정, 버스 진출입을 고려한 정차면 노면표시 표준화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DEA를 활용한 부산광역시 준공영제 시내버스 운용 효율성 평가 연구 (An Analysis on Efficiency and Influencing Factors of the Quasi-Public Bus Operating System in Busan Metropolitan City Using DEA)

  • 성우용;강재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2호
    • /
    • pp.349-367
    • /
    • 2019
  • 부산광역시의 시내버스 준공영제 실시 이후 운영 효율성 요인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DEA 분석결과, CRS의 경우 지하철 1호선과 환승 가능한 버스노선의 연도별 효율성은 2010년도가 가장 높았다. 지하철 2호선과 환승 가능한 버스노선의 연도별 효율성은 CRS 평균이 연차적으로 점차 향상되어 2016년 0.923로 가장 크게 나타났다. 지하철 3호선과 환승 가능한 버스노선의 연도별 효율성이 2009년부터 2015년까지는 점차 향상되는 모습을 보이다가 2016년도에는 다시 하락하였다. 전체 134개 노선의 4개 연도 536개 노선 중 비효율적으로 나타난 노선은 205개이다. 205개 노선의 효율성을 제고하기 위해서는 규모의 축소 즉, 노선의 운행횟수 등을 감축해야 함을 시사하고 있다. 또한 Tobit 회귀분석을 활용하여 분석결과, 운영 효율성 지수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서는 소요시간이 가장 컸고, 그 다음으로 이용객수, 환승객수의 순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