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ity Regeneration

검색결과 293건 처리시간 0.022초

감성적 도시재생관광지 관광자의 시간관과 지각된 만족, 행동의도 간의 구조관계 분석 (Structural Relationship Analysis between Tourists' Time Perception, Perceived Satisfaction and Behavioral Intention of Nostalgic Urban Regeneration Tourist Destination)

  • 이재달
    • 토지주택연구
    • /
    • 제13권1호
    • /
    • pp.23-38
    • /
    • 2022
  • 최근 도시관광이 도시경쟁력의 주요 지표로 평가됨에 따라 관광지로서의 도시기능 강화에 관심을 집중하고 있다. 오늘날 수많은 오래된 원도심은 산업화와 도시화 과정에서 인구감소, 전통산업의 소멸, 생활환경 악화 등의 사회현상으로 고통 받고 있으며, 이러한 현상은 도시기능을 저하시키고 도시경쟁력을 약화시키고 있다. 따라서 쇠퇴하는 도시는 도시기능 강화를 통한 도시경쟁력 회복방안 마련이 필연적이다. 이러한 추세를 반영하여, 본 연구는 쇠퇴한 도시의 물리적 공간과 역사적, 사회문화적 자산을 감성적 관광목적지 콘텐츠로 발굴하여 사회문화적 도시재생을 통한 구도심 경쟁력회복에 초점을 맞추었다. 감성적 도시재생 관광지는 일반 관광지와 달리 과거와 현재, 미래가 공존하는 시간적 관점을 갖고 있다. 본 연구는 관광자의 관광행동 분석을 통해 도시재생관광지의 개발전략을 위해, 감성적 도시재생관광지 관광자의 시간적 관점, 관광 만족도, 행동의도 간의 영향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감성적 도시재생관광지를 방문한 관광객을 대상으로 획득한 자료로, 분석에 필요한 구성변인을 추출하여 구조방정식모형(SEM)을 이용한 변인간 구조관계를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도시재생관광지를 찾는 관광객들의 가장 중요한 관광행태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과거의 소중한 추억에서 비롯된 과거지향적 시간관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도시관광, 도시재생 관광, 도시재생관광목적지 관광이라는 학술적 연구분야 확장에 기여할 것이다. 이와 동시에 도시재생사업의 계획수립과 도시재생지역의 관광 콘텐츠 개발을 통한 쇠퇴도시의 지속가능한 발전전략을 수립에 실무적으로도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U-City 활성화를 위한 유비쿼터스도시의 건설 등에 관한 법률의 개정방향 (A Study on the Direction of Legal System Improvement for Ubiquitous City Activation)

  • 장환영;사공호상;이재용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23권4호
    • /
    • pp.67-78
    • /
    • 2015
  • 유비쿼터스도시의 건설 등에 관한 법률은 2010년까지 신도시 지역에 활발히 추진된 U-City 사업의 제도적 근간으로 작용하여 왔다. 그러나 최근 기성시가지 재활성화, 도시재생 중심으로 국가의 도시정책이 변화됨에 따라 신도시 중심의 절차법적 성격이 강한 U-City법 개정에 관한 요구가 증대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가 도시정책의 변화와 U-City를 둘러싼 여건변화를 감안하여 U-City법 개정방향을 U-City 사업다양화, U-City 관리운영 강화, U-City 사업지원으로 설정하고 그에 따른 세부 추진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국가 도시정책 흐름 및 수요를 반영함에 있어 실무적 관점에서 현행 U-City법이 가지는 문제점을 살피고 그 개선방안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지속적인 U-City 발전 및 확산을 법제도적으로 지원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국내.외 U-City 논문의 연구동향 (Research Trends of U-City Theses in Korea and Oversea)

  • 김걸;천정윤;신동빈;임시영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53-61
    • /
    • 2011
  • 본 연구는 U-City 논문의 연구동향을 파악하여 미래도시나 U-City 연구의 향후 과제를 도출하고 발전방향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1990년대 중반부터 2010년까지의 국내 외 U-City 및 미래도시 관련 논문을 대상으로 메타키워드를 추출하고, 시계열적 키워드 분석을 통해 국내 외 논문의 연구경향을 비교분석 하였다. 연구 결과 국내 논문과 해외 논문 모두 기술에 관련된 연구가 많았지만 국내에서는 기술과 방법론, 서비스, 계획 및 관리 분야가 초기부터 지속적으로 연구된 반면 해외 논문은 기술 및 방법론에 대한 연구가 선행된 후 모델을 통해 도시에 적용하는 연구가 이어지는 경향을 파악할 수 있었다. 또한 국내에서는 도시재생이나 도시의 공간적 스케일을 고려한 다양한 주제별 연구가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향후에는 U-City가 도시에 적용될 수 있는 다양한 주제의 연구가 필요하다.

통합적인 친환경 설계를 지향하며 (미국의 녹색도시와 도시재생 사례를 중심으로) (Toward Integrated Design for Sustainable Architecture (Focused on the Green City and Sustainable Regeneration Projects in the United States))

  • 정재희
    • 건축사
    • /
    • 통권515호
    • /
    • pp.72-76
    • /
    • 2012
  • 미국에서의 친환경적이고 지속가능한 도시설계 사례를 중심으로 통합적인 친환경 설계 프로세서에 대해 살펴보고 우리나라 친환경 설계에의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번 호에서는 세번째 사례로 Transbay Transit Center Master Plan을 소개하고자 한다.

  • PDF

통합적인 친환경 설계를 지향하며 (미국의 녹색도시와 도시재생 사례를 중심으로) (Toward Integrated Design for Sustainable Architecture (Focussed on the Green City and Sustainable Regeneration Projects in the United States))

  • 정재희
    • 건축사
    • /
    • 통권517호
    • /
    • pp.68-71
    • /
    • 2012
  • 미국에서의 친환경적이고 지속가능한 도시설계 사례를 중심으로 통합적인 친환경 설계 프로세스에 대해 살펴보고 우리나라 친환경 설계에의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번 호는 마지막 완결편으로 지금까지 4회 연재한 사례들에 대한 시사점을 종합하고자 한다.

  • PDF

통합적인 친환경 설계를 지향하며 (미국의 녹색도시와 도시재생 사례를 중심으로) (Toward Integrated Design for Sustainable Architecture (Focused on the Green City and Sustainable Regeneration Projects in the United States))

  • 정재희
    • 건축사
    • /
    • 통권514호
    • /
    • pp.68-71
    • /
    • 2012
  • 미국에서의 친환경적이고 지속가능한 도시설계 사례를 중심으로 통합적인 친환경 설계 프로세스에 대해 살펴보고 우리나라 친환경 설계에의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번 호에서는 두번째 사례로 Parkmerced Vision Plan을 소개하고자 한다.

  • PDF

통합적인 친환경 설계를 지향하며 (미국의 녹색도시와 도시재생 사례를 중심으로) (Toward Integrated Design for Sustainable Architecture (Focused on the Green City and Sustainable Regeneration Projects in the United States))

  • 정재희
    • 건축사
    • /
    • 통권516호
    • /
    • pp.67-71
    • /
    • 2012
  • 미국에서의 친환경적이고 지속가능한 도시설계 사례를 중심으로 통합적인 친환경 설계 프로세스에 대해 살펴보고 우리나라 친환경 설계에의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번 호에서는 네번째 사례로 University of California, Merced Master Plan을 소개하고자 한다.

  • PDF

낙후된 골목의 효과적인 재생을 위한 정체성의 필요성과 구성요소에 관한 사례연구 (A case Study about the Need of Identity and Components in Order to Effectively Regenerate Backward Alley)

  • 박건우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6권3호
    • /
    • pp.3-12
    • /
    • 2017
  • From the stages of formation, to the processes of change, the alleys with long history not only reflect on the trends of the area, but also have a historical and cultural value as a place where the local residents make living and socialize. However, due to the rapid growth of the city's civilization, and industrialization, there has been a great amount of loss in the roles of the rural areas while urban areas have been expanding over time. The rural areas including the old alleys have been neglected and fell far behind in the processes of growth overall, and therefore, it became harder to trace the old days as well as the old emotion that we used to see. Nowadays, there are various cases in terms of alley regeneration project as people are getting more interested in it. The alley regeneration projects can be divided into two different backgrounds; a part of urban regeneration project by the government and local organizations and the other developed by the trends. This research, with successful case studies, is for analyzing the direction of the ultimate goal and the identity that only the alleys have. As the alleys contain history, tradition and culture of the community, we need to not only preserve but also maintain all of these since it will affect the goal and the establishment of identity of the alley regeneration projects as a significant factor. In addition, in order to attract visitors from diverse cultures, providing cultural or artistic experiences and aesthetic landscapes will be importantly considered as an additional factor for the research. In other words, through this research, I would like to demonstrate that it is the most important for the alleys fell far behind to establish its identity for continuous successful eyre generation projects, which are not temporary.

ANP 분석을 활용한 도시재생 활성화지역 선정지표 개발 : 공주시를 대상으로 (A study on the indicator development for the selection of urban regeneration areas through analytic network process : a case study of Gong-ju)

  • 정연준;이경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1호
    • /
    • pp.115-123
    • /
    • 2017
  • 최근 전국적으로 많은 지자체들이 도시재생특별법에 따라 도시재생사업을 추진하고 있지만 한정적인 도시재생 예산으로 인해 우선 추진지역의 선정이 불가피한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는 지역여건과 도시특성을 반영한 도시재생 활성화지역 선정지표를 도출하고 전문가 설문조사와 ANP 분석을 활용한 가중치 산정을 통해 공주시를 대상으로 한 객관적인 도시재생 활성화지역 선정지표를 개발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 고찰 및 관련 사례분석을 통해 58개 도시재생 지표를 도출하고, 공주시 지역여건 및 도시특성을 고려하여 최종적으로 5개 분야, 16개 지표를 공주시 도시재생 활성화지역 선정지표로 제시하였다. 이어서 도시재생 분야 전문가 6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및 ANP 분석을 수행한 결과 인구특성(0.244)의 중요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이어서 산업경제(0.218), 정책추진 여건(0.193), 사회문화(0.188), 물리환경(0.158)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16개 세부지표의 가중치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물은 도시재생사업 성공가능성이 높은 대상지를 선정하는 기준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며, 도시재생사업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주민갈등을 최소화하고 효과적인 도시재생사업을 추진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Estimation of Carbon Stock in the Chir Pine (Pinus roxburghii Sarg.) Plantation Forest of Kathmandu Valley, Central Nepal

  • Sharma, Krishna Prasad;Bhatta, Suresh Prashad;Khatri, Ganga Bahadur;Pajiyar, Avinash;Joshi, Daya Krishna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36권1호
    • /
    • pp.37-46
    • /
    • 2020
  • Vegetation carbon sequestration and regeneration are the two major parameters of forest research.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vegetation carbon stock and regeneration of community-managed pine plantation of Kathmandu, central Nepal. Vegetation data were collected from 40 circular plots of 10 m radius (for the tree) and 1m radius (for seedling) applying a stratified random sampling and nested quadrat method. The carbon stock was estimated by Chave allometric model and estimated carbon stock was converted into CO2 equivalents. Density-diameter (d-d) curve was also prepared to check the regeneration status and stability of the plantation. A d-d curve indicates the good regeneration status of the forest with a stable population in each size class. Diversity of trees was very low, only two tree species Pinus roxburghii and Eucalyptus citriodora occurred in the sample plots. Pine was the dominant tree in terms of density, basal area, biomass, carbon stock and CO2 stock than the eucalyptus. The basal area, carbon stock and CO2 stock of forest was 33±1.0 ㎡ ha-1, 108±5.0 Mg ha-1 and 394±18 Mg ha-1, respectively. Seedling and tree density of the plantation was 4,965 ha-1 and 339 ha-1 respectively. The forest carbon stock showed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biomass, tree diameter, height and basal area but no relationship with tree density. Canopy cover and tree diameter have a negative effect on seedling density and regeneration. In conclusion, the community forest has a stable population in each size class, sequestering a significant amount of carbon and CO2 emitted from densely populated Kathmandu metro city as the forest biomass hence have a potentiality to mitigate the global climate change.